APEC 고용노동장관회의 공동성명 채택…“지속가능 노동시장 협력”

입력 2025.05.12 (18:37) 수정 2025.05.12 (18: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 고용노동부를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회원국 고용노동 분야 장관들이 지속 가능한 노동 시장과 일자리 유연화를 위한 협력을 공식적으로 약속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오늘(12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제7차 APEC 고용노동장관회의 본회의에서 21개 회원 경제체가 미래 노동시장 대응을 위한 정책 방향 및 의지를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인공지능(AI) 확산에 따른 미래 일자리 문제와 관련해 청년과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 지원을 강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미래를 위한 지속 가능한 노동시장과 일자리’를 주제로 2014년 베트남 회의 후 11년 만에 열렸습니다.

국내 개최는 1997년 서울 회의 후 28년 만입니다.

회원 경제체들은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면서도 일자리 격차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정책과 협력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이를 통해 ‘유연하고 활력있는 노동시장’과 ‘미래 일자리 대응과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부문에서 다양한 협력 방안을 추진하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구체적으로 ▲ 노동시장 양극화와 구조적 불균형·차별 해소 및 공정한 고용 관행 촉진 ▲ 모든 근로자를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회안전망 제공 촉진 ▲ 신기술을 활용해 산업안전보건 기준 개선 및 직장 내 폭력 및 괴롭힘 개선 ▲ 기술 격차 완화를 위한 회원국 간 지식 및 모범사례 공유 촉진 등을 약속했습니다.

또 ▲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과 지속적 고용 촉진 ▲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와 일·생활 균형 지원 강화 ▲ 중장년층의 맞춤형 재교육과 유연 근무제도 활성화 ▲ 회원국 간 직업훈련 모범사례 공유·협력 촉진 ▲ 장애인의 직업능력개발 및 양질의 고용 기회 확대 ▲ 대외환경 변화에 대응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촉진 등도 합의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회의 성과를 구체화하고 실천하기 위해 가칭 ‘APEC 지속 가능한 일자리 포럼’을 신설해 내년 서울에서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이번에 채택된 공동성명은 APEC 경제체들의 합의 내용으로, 법적 구속력은 없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PEC 고용노동장관회의 공동성명 채택…“지속가능 노동시장 협력”
    • 입력 2025-05-12 18:37:51
    • 수정2025-05-12 18:49:36
    경제
우리 고용노동부를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회원국 고용노동 분야 장관들이 지속 가능한 노동 시장과 일자리 유연화를 위한 협력을 공식적으로 약속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오늘(12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제7차 APEC 고용노동장관회의 본회의에서 21개 회원 경제체가 미래 노동시장 대응을 위한 정책 방향 및 의지를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인공지능(AI) 확산에 따른 미래 일자리 문제와 관련해 청년과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 지원을 강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미래를 위한 지속 가능한 노동시장과 일자리’를 주제로 2014년 베트남 회의 후 11년 만에 열렸습니다.

국내 개최는 1997년 서울 회의 후 28년 만입니다.

회원 경제체들은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면서도 일자리 격차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정책과 협력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이를 통해 ‘유연하고 활력있는 노동시장’과 ‘미래 일자리 대응과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부문에서 다양한 협력 방안을 추진하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구체적으로 ▲ 노동시장 양극화와 구조적 불균형·차별 해소 및 공정한 고용 관행 촉진 ▲ 모든 근로자를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회안전망 제공 촉진 ▲ 신기술을 활용해 산업안전보건 기준 개선 및 직장 내 폭력 및 괴롭힘 개선 ▲ 기술 격차 완화를 위한 회원국 간 지식 및 모범사례 공유 촉진 등을 약속했습니다.

또 ▲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과 지속적 고용 촉진 ▲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와 일·생활 균형 지원 강화 ▲ 중장년층의 맞춤형 재교육과 유연 근무제도 활성화 ▲ 회원국 간 직업훈련 모범사례 공유·협력 촉진 ▲ 장애인의 직업능력개발 및 양질의 고용 기회 확대 ▲ 대외환경 변화에 대응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촉진 등도 합의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회의 성과를 구체화하고 실천하기 위해 가칭 ‘APEC 지속 가능한 일자리 포럼’을 신설해 내년 서울에서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이번에 채택된 공동성명은 APEC 경제체들의 합의 내용으로, 법적 구속력은 없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