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56%,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미국 경제에 좋은 일”
입력 2025.05.14 (08:42)
수정 2025.05.14 (08: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인 과반이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가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워싱턴 D.C.의 싱크탱크 한미경제연구소(KEI)는 여론조사 기관 유거브와 함께 작년 12월 17일부터 올해 1월2일 사이에 미국 애리조나·아칸소·플로리다·조지아·미시간·뉴욕·테네시·텍사스·워싱턴·위스콘신 등 10개 주에 거주하는 성인 1,500명을 상대로 진행한 ‘무역 및 외국의 대미 투자’ 관련 인식조사(오차범위 ±8.21%P)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소개했습니다.
특정 국가 기업의 대미 투자가 미국 경제에 좋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서 한국 기업에 대해 응답자의 55.6%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중국, 사우디아라비아보다는 높았지만, 일본, 독일보다는 낮았습니다.
또 ‘특정 국가 기업의 미국 내 첨단기술 분야 제조업 공장 투자가 미국 경제에 좋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서 한국 기업에 대해 57.2%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직전 실시된 이번 조사에서 관세를 인상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26.6%, 관세를 낮춰야 한다는 응답자는 21%에 달했으며, 현상 유지를 지지한 응답자가 35%였습니다.
또 관세가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자 비율은 34%였던 반면, 해가 될 것이라는 응답자 비율은 41.5%로 집계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미국 워싱턴 D.C.의 싱크탱크 한미경제연구소(KEI)는 여론조사 기관 유거브와 함께 작년 12월 17일부터 올해 1월2일 사이에 미국 애리조나·아칸소·플로리다·조지아·미시간·뉴욕·테네시·텍사스·워싱턴·위스콘신 등 10개 주에 거주하는 성인 1,500명을 상대로 진행한 ‘무역 및 외국의 대미 투자’ 관련 인식조사(오차범위 ±8.21%P)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소개했습니다.
특정 국가 기업의 대미 투자가 미국 경제에 좋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서 한국 기업에 대해 응답자의 55.6%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중국, 사우디아라비아보다는 높았지만, 일본, 독일보다는 낮았습니다.
또 ‘특정 국가 기업의 미국 내 첨단기술 분야 제조업 공장 투자가 미국 경제에 좋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서 한국 기업에 대해 57.2%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직전 실시된 이번 조사에서 관세를 인상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26.6%, 관세를 낮춰야 한다는 응답자는 21%에 달했으며, 현상 유지를 지지한 응답자가 35%였습니다.
또 관세가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자 비율은 34%였던 반면, 해가 될 것이라는 응답자 비율은 41.5%로 집계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인 56%,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미국 경제에 좋은 일”
-
- 입력 2025-05-14 08:42:42
- 수정2025-05-14 08:47:44

미국인 과반이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가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워싱턴 D.C.의 싱크탱크 한미경제연구소(KEI)는 여론조사 기관 유거브와 함께 작년 12월 17일부터 올해 1월2일 사이에 미국 애리조나·아칸소·플로리다·조지아·미시간·뉴욕·테네시·텍사스·워싱턴·위스콘신 등 10개 주에 거주하는 성인 1,500명을 상대로 진행한 ‘무역 및 외국의 대미 투자’ 관련 인식조사(오차범위 ±8.21%P)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소개했습니다.
특정 국가 기업의 대미 투자가 미국 경제에 좋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서 한국 기업에 대해 응답자의 55.6%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중국, 사우디아라비아보다는 높았지만, 일본, 독일보다는 낮았습니다.
또 ‘특정 국가 기업의 미국 내 첨단기술 분야 제조업 공장 투자가 미국 경제에 좋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서 한국 기업에 대해 57.2%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직전 실시된 이번 조사에서 관세를 인상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26.6%, 관세를 낮춰야 한다는 응답자는 21%에 달했으며, 현상 유지를 지지한 응답자가 35%였습니다.
또 관세가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자 비율은 34%였던 반면, 해가 될 것이라는 응답자 비율은 41.5%로 집계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미국 워싱턴 D.C.의 싱크탱크 한미경제연구소(KEI)는 여론조사 기관 유거브와 함께 작년 12월 17일부터 올해 1월2일 사이에 미국 애리조나·아칸소·플로리다·조지아·미시간·뉴욕·테네시·텍사스·워싱턴·위스콘신 등 10개 주에 거주하는 성인 1,500명을 상대로 진행한 ‘무역 및 외국의 대미 투자’ 관련 인식조사(오차범위 ±8.21%P)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소개했습니다.
특정 국가 기업의 대미 투자가 미국 경제에 좋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서 한국 기업에 대해 응답자의 55.6%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중국, 사우디아라비아보다는 높았지만, 일본, 독일보다는 낮았습니다.
또 ‘특정 국가 기업의 미국 내 첨단기술 분야 제조업 공장 투자가 미국 경제에 좋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서 한국 기업에 대해 57.2%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직전 실시된 이번 조사에서 관세를 인상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26.6%, 관세를 낮춰야 한다는 응답자는 21%에 달했으며, 현상 유지를 지지한 응답자가 35%였습니다.
또 관세가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자 비율은 34%였던 반면, 해가 될 것이라는 응답자 비율은 41.5%로 집계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정지주 기자 jjcheong@kbs.co.kr
정지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