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란산 원유 중국 민간 정유소에 넘긴 업체 제재
입력 2025.05.14 (10:15)
수정 2025.05.14 (10: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의 제재를 피해 이란산 원유를 중국의 소규모 민간 정유소들에 넘기는 데 관여한 20여 개 기업이 미국 재무부의 제재 대상 목록에 추가됐습니다.
미국 재무부 외국자산통제국(OFAC)은 현지 시각 13일 보도자료에서 이 업체들이 "이란의 불법적 국제 원유 거래"에 가담했다며 제재를 발표했습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미국은 이란 정권이 테러리즘과 살상 무기 확산을 계속 지원하는 한 이 주요 수입원을 계속 표적으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제재 대상 기업들은 홍콩에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밖에 중국 본토, 싱가포르, 세이셸 등에 있는 업체들도 있었습니다.
미국 재무부 발표에 따르면 이 기업들은 이란군 총참모부가 운영하는 '세페르 에너지 자한 나마 파르스 컴퍼니'가 중국의 소규모 민간 정유소들에 매년 수십억 달러 규모의 원유를 수출할 수 있도록 원산지 기록 조작 등을 중간에서 도왔습니다.
세페르 에너지가 중국의 대규모 국영 정유소가 아니라 '찻주전자 정유소'라고 불리는 민간 소규모 정유소에 원유를 수출한 이유는 감시의 눈길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재무부는 설명했습니다.
미국 재무부는 중국 소재 찻주전자 정유소 한 곳을 올해 3월 처음으로 제재 대상 목록에 올린 데 이어 4월에 다른 한 곳을 추가했습니다.
세페르 에너지는 이미 2023년 11월에 미국 재무부의 제재 대상 목록에 올랐습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이란과 핵협상을 벌이는 와중에도 지속하고 있는 '최대 압박'의 일환인 동시에 중국에 대한 경고의 의미도 겸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재무부 외국자산통제국(OFAC)은 현지 시각 13일 보도자료에서 이 업체들이 "이란의 불법적 국제 원유 거래"에 가담했다며 제재를 발표했습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미국은 이란 정권이 테러리즘과 살상 무기 확산을 계속 지원하는 한 이 주요 수입원을 계속 표적으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제재 대상 기업들은 홍콩에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밖에 중국 본토, 싱가포르, 세이셸 등에 있는 업체들도 있었습니다.
미국 재무부 발표에 따르면 이 기업들은 이란군 총참모부가 운영하는 '세페르 에너지 자한 나마 파르스 컴퍼니'가 중국의 소규모 민간 정유소들에 매년 수십억 달러 규모의 원유를 수출할 수 있도록 원산지 기록 조작 등을 중간에서 도왔습니다.
세페르 에너지가 중국의 대규모 국영 정유소가 아니라 '찻주전자 정유소'라고 불리는 민간 소규모 정유소에 원유를 수출한 이유는 감시의 눈길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재무부는 설명했습니다.
미국 재무부는 중국 소재 찻주전자 정유소 한 곳을 올해 3월 처음으로 제재 대상 목록에 올린 데 이어 4월에 다른 한 곳을 추가했습니다.
세페르 에너지는 이미 2023년 11월에 미국 재무부의 제재 대상 목록에 올랐습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이란과 핵협상을 벌이는 와중에도 지속하고 있는 '최대 압박'의 일환인 동시에 중국에 대한 경고의 의미도 겸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이란산 원유 중국 민간 정유소에 넘긴 업체 제재
-
- 입력 2025-05-14 10:15:54
- 수정2025-05-14 10:25:31

미국 정부의 제재를 피해 이란산 원유를 중국의 소규모 민간 정유소들에 넘기는 데 관여한 20여 개 기업이 미국 재무부의 제재 대상 목록에 추가됐습니다.
미국 재무부 외국자산통제국(OFAC)은 현지 시각 13일 보도자료에서 이 업체들이 "이란의 불법적 국제 원유 거래"에 가담했다며 제재를 발표했습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미국은 이란 정권이 테러리즘과 살상 무기 확산을 계속 지원하는 한 이 주요 수입원을 계속 표적으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제재 대상 기업들은 홍콩에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밖에 중국 본토, 싱가포르, 세이셸 등에 있는 업체들도 있었습니다.
미국 재무부 발표에 따르면 이 기업들은 이란군 총참모부가 운영하는 '세페르 에너지 자한 나마 파르스 컴퍼니'가 중국의 소규모 민간 정유소들에 매년 수십억 달러 규모의 원유를 수출할 수 있도록 원산지 기록 조작 등을 중간에서 도왔습니다.
세페르 에너지가 중국의 대규모 국영 정유소가 아니라 '찻주전자 정유소'라고 불리는 민간 소규모 정유소에 원유를 수출한 이유는 감시의 눈길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재무부는 설명했습니다.
미국 재무부는 중국 소재 찻주전자 정유소 한 곳을 올해 3월 처음으로 제재 대상 목록에 올린 데 이어 4월에 다른 한 곳을 추가했습니다.
세페르 에너지는 이미 2023년 11월에 미국 재무부의 제재 대상 목록에 올랐습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이란과 핵협상을 벌이는 와중에도 지속하고 있는 '최대 압박'의 일환인 동시에 중국에 대한 경고의 의미도 겸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재무부 외국자산통제국(OFAC)은 현지 시각 13일 보도자료에서 이 업체들이 "이란의 불법적 국제 원유 거래"에 가담했다며 제재를 발표했습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미국은 이란 정권이 테러리즘과 살상 무기 확산을 계속 지원하는 한 이 주요 수입원을 계속 표적으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제재 대상 기업들은 홍콩에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밖에 중국 본토, 싱가포르, 세이셸 등에 있는 업체들도 있었습니다.
미국 재무부 발표에 따르면 이 기업들은 이란군 총참모부가 운영하는 '세페르 에너지 자한 나마 파르스 컴퍼니'가 중국의 소규모 민간 정유소들에 매년 수십억 달러 규모의 원유를 수출할 수 있도록 원산지 기록 조작 등을 중간에서 도왔습니다.
세페르 에너지가 중국의 대규모 국영 정유소가 아니라 '찻주전자 정유소'라고 불리는 민간 소규모 정유소에 원유를 수출한 이유는 감시의 눈길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재무부는 설명했습니다.
미국 재무부는 중국 소재 찻주전자 정유소 한 곳을 올해 3월 처음으로 제재 대상 목록에 올린 데 이어 4월에 다른 한 곳을 추가했습니다.
세페르 에너지는 이미 2023년 11월에 미국 재무부의 제재 대상 목록에 올랐습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이란과 핵협상을 벌이는 와중에도 지속하고 있는 '최대 압박'의 일환인 동시에 중국에 대한 경고의 의미도 겸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정지주 기자 jjcheong@kbs.co.kr
정지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