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 현안 엇박자 트럼프, 중동 순방도 패싱…이스라엘 “이게 아닌데”

입력 2025.05.14 (10:15) 수정 2025.05.14 (10: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핵심 동맹으로 꼽히는 이스라엘에서 기대와 다른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모습에 대한 당혹감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현지 시각 13일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외교에서 이스라엘이 소외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방문에서 이스라엘이 제외된 것은 차치하더라도 중동 지역의 중요 현안에 대한 결정 과정에서 양국의 공조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미국이 하마스와의 직접 협상을 통해 가자지구에 인질로 억류됐던 미국·이스라엘 이중국적자 에단 알렉산더를 석방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미국은 이 같은 협상 사실을 하마스에 대한 군사작전 확대에 나선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에게 사전에 알리지 않았습니다.

인질이 석방되자 이스라엘 일각에선 하마스에 대한 완전한 승리를 거두기 전에 미국이 네타냐후 총리에게 전쟁을 종결하라는 압박을 가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습니다.

이 같은 관측은 미국과 친(親)이란 예멘 후티 반군과의 휴전 협상에서 이스라엘이 소외된 사실과 맞물려 이스라엘 내부 우려를 증폭시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후티 반군이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겠다는 조건도 없이 공습을 종결하고 휴전을 선언했습니다. 실제로 후티 반군은 휴전 직전엔 텔아비브의 벤구리온 국제공항을 타격했고, 휴전 발표 이후에도 이스라엘에 탄도미사일 공격을 이어 나가고 있습니다.

미국과 이란의 협상도 이스라엘로선 걱정이 될 수밖에 없는 현안입니다. 이스라엘은 안보의 최대 위협으로 꼽히는 이란이 우라늄을 농축하는 것을 절대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의 우라늄 농축 허용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면서 ‘절대 불가’라는 기존 입장에서 선회한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내부에선 트럼프 행정부가 중동 지역에서 미국의 이익을 이스라엘과 분리하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싱크탱크 국가안보연구소(INSS)의 요엘 구잔스키 선임연구원은 “미국은 중동에서 이스라엘을 포함하지 않은 새로운 시나리오를 그리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외교적 성과를 얻으려는 욕구 때문에 이스라엘의 입장을 100% 반영하지 않는 전략적인 결정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경제 분야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스라엘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기로 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이스라엘의 수출품에 17%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스라엘이 당초 기대한 것처럼 ‘특수대우’는 없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싱크탱크 이스라엘민주주의연구소(IDI)의 요하난 플레스너 소장은 “이스라엘인들이 상상한 트럼프 2기는 1기의 연장선이었지만, 이제는 현실을 직시하게 됐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 총리가 아닌 미국 대통령”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요 현안 엇박자 트럼프, 중동 순방도 패싱…이스라엘 “이게 아닌데”
    • 입력 2025-05-14 10:15:55
    • 수정2025-05-14 10:26:06
    국제
미국의 핵심 동맹으로 꼽히는 이스라엘에서 기대와 다른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모습에 대한 당혹감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현지 시각 13일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외교에서 이스라엘이 소외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방문에서 이스라엘이 제외된 것은 차치하더라도 중동 지역의 중요 현안에 대한 결정 과정에서 양국의 공조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미국이 하마스와의 직접 협상을 통해 가자지구에 인질로 억류됐던 미국·이스라엘 이중국적자 에단 알렉산더를 석방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미국은 이 같은 협상 사실을 하마스에 대한 군사작전 확대에 나선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에게 사전에 알리지 않았습니다.

인질이 석방되자 이스라엘 일각에선 하마스에 대한 완전한 승리를 거두기 전에 미국이 네타냐후 총리에게 전쟁을 종결하라는 압박을 가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습니다.

이 같은 관측은 미국과 친(親)이란 예멘 후티 반군과의 휴전 협상에서 이스라엘이 소외된 사실과 맞물려 이스라엘 내부 우려를 증폭시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후티 반군이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겠다는 조건도 없이 공습을 종결하고 휴전을 선언했습니다. 실제로 후티 반군은 휴전 직전엔 텔아비브의 벤구리온 국제공항을 타격했고, 휴전 발표 이후에도 이스라엘에 탄도미사일 공격을 이어 나가고 있습니다.

미국과 이란의 협상도 이스라엘로선 걱정이 될 수밖에 없는 현안입니다. 이스라엘은 안보의 최대 위협으로 꼽히는 이란이 우라늄을 농축하는 것을 절대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의 우라늄 농축 허용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면서 ‘절대 불가’라는 기존 입장에서 선회한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내부에선 트럼프 행정부가 중동 지역에서 미국의 이익을 이스라엘과 분리하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싱크탱크 국가안보연구소(INSS)의 요엘 구잔스키 선임연구원은 “미국은 중동에서 이스라엘을 포함하지 않은 새로운 시나리오를 그리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외교적 성과를 얻으려는 욕구 때문에 이스라엘의 입장을 100% 반영하지 않는 전략적인 결정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경제 분야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스라엘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기로 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이스라엘의 수출품에 17%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스라엘이 당초 기대한 것처럼 ‘특수대우’는 없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싱크탱크 이스라엘민주주의연구소(IDI)의 요하난 플레스너 소장은 “이스라엘인들이 상상한 트럼프 2기는 1기의 연장선이었지만, 이제는 현실을 직시하게 됐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 총리가 아닌 미국 대통령”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