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교사 10명 가운데 7명 이직·사직 고민”

입력 2025.05.14 (14:39) 수정 2025.05.14 (14: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교사노동조합은 스승의 날을 앞두고 경기지역 교사들의 ‘교직 및 교육현장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한 결과 10명 가운데 7명 이상이 최근 1년간 이직이나 사직을 고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7일까지 온라인으로 이뤄졌으며 조합원 3천408명이 참여했습니다.

현재 교직 생활의 만족도 파악을 위한 “최근 1년간 이직 또는 사직을 고민한 적이 있느냐”는 물음에 응답자의 72.3%가 “그렇다”고 응답했습니다.

이직·사직을 고민한 이유로는 교권 침해 및 과도한 민원이 48.3%로 가장 많았고 낮은 급여, 과도한 업무, 연금 혜택 축소, 관리자 갑질 및 경직된 조직 문화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최근 1년간 교권 침해를 당한 경험을 묻는 항목에서는 56.3%가 학생에게 당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고 56.5%는 학부모에게 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교육정책 수립·이행 등의 과정에 현장의 의견이 잘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96.9%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기 교사 10명 가운데 7명 이직·사직 고민”
    • 입력 2025-05-14 14:39:34
    • 수정2025-05-14 14:44:35
    사회
경기교사노동조합은 스승의 날을 앞두고 경기지역 교사들의 ‘교직 및 교육현장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한 결과 10명 가운데 7명 이상이 최근 1년간 이직이나 사직을 고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7일까지 온라인으로 이뤄졌으며 조합원 3천408명이 참여했습니다.

현재 교직 생활의 만족도 파악을 위한 “최근 1년간 이직 또는 사직을 고민한 적이 있느냐”는 물음에 응답자의 72.3%가 “그렇다”고 응답했습니다.

이직·사직을 고민한 이유로는 교권 침해 및 과도한 민원이 48.3%로 가장 많았고 낮은 급여, 과도한 업무, 연금 혜택 축소, 관리자 갑질 및 경직된 조직 문화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최근 1년간 교권 침해를 당한 경험을 묻는 항목에서는 56.3%가 학생에게 당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고 56.5%는 학부모에게 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교육정책 수립·이행 등의 과정에 현장의 의견이 잘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96.9%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