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호우 우려되는 올여름…AI로 대비
입력 2025.05.14 (18:33)
수정 2025.05.14 (18: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올여름도 많은 비가 내릴 거란 예측이 나오는데요.
정부가 홍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종합 대책을 내놨습니다.
정새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가 오늘 발표한 수해 대책의 핵심은 홍수 위험을 더 빠르게 알아채고, 더 널리 알리는 겁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디지털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올여름부터 댐 방류와 강우 상황 등을 가상의 3차원 공간에 구현하는 '댐-하천 가상모형'을 시범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하류의 홍수 가능성을 예측하고 댐 방류량 등을 결정할 계획입니다.
[이승환/환경부 수자원정책관 : "입체 공간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홍수 상황 예측이나 홍수특보 발령 등에 활용하여 직관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전국 국가하천에 설치된 CCTV는 2천7백여 개 가운데 1천 개 이상을 AI CCTV로 바꾸기로 했습니다.
하천 주변의 사람과 차량을 자동 인식해 대피시키기 위한 겁니다.
정부는 홍수 관련 안전 안내 문자 발송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기존에는 전국 2백여 곳의 홍수특보 지점에 대해서만 특보 발령 시 안전 문자를 보냈지만, 올해부터는 전국 9백여 곳의 수위 관측소에서 위험 상황이 예측될 때부터 문자를 보낼 방침입니다.
정부는 아울러 홍수기 전까지 댐 방류량을 늘려 홍수 조절 용량을 지난해보다 10% 늘릴 계획입니다.
또, 장마철에 대비해 수도권 등 일부 지역에서만 실시하던 호우 긴급재난문자를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여름철 재난 인명피해가 시간은 오전, 연령대는 60대 이상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는 걸 고려해, 일몰 전 사전 대피도 적극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이상미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올여름도 많은 비가 내릴 거란 예측이 나오는데요.
정부가 홍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종합 대책을 내놨습니다.
정새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가 오늘 발표한 수해 대책의 핵심은 홍수 위험을 더 빠르게 알아채고, 더 널리 알리는 겁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디지털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올여름부터 댐 방류와 강우 상황 등을 가상의 3차원 공간에 구현하는 '댐-하천 가상모형'을 시범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하류의 홍수 가능성을 예측하고 댐 방류량 등을 결정할 계획입니다.
[이승환/환경부 수자원정책관 : "입체 공간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홍수 상황 예측이나 홍수특보 발령 등에 활용하여 직관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전국 국가하천에 설치된 CCTV는 2천7백여 개 가운데 1천 개 이상을 AI CCTV로 바꾸기로 했습니다.
하천 주변의 사람과 차량을 자동 인식해 대피시키기 위한 겁니다.
정부는 홍수 관련 안전 안내 문자 발송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기존에는 전국 2백여 곳의 홍수특보 지점에 대해서만 특보 발령 시 안전 문자를 보냈지만, 올해부터는 전국 9백여 곳의 수위 관측소에서 위험 상황이 예측될 때부터 문자를 보낼 방침입니다.
정부는 아울러 홍수기 전까지 댐 방류량을 늘려 홍수 조절 용량을 지난해보다 10% 늘릴 계획입니다.
또, 장마철에 대비해 수도권 등 일부 지역에서만 실시하던 호우 긴급재난문자를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여름철 재난 인명피해가 시간은 오전, 연령대는 60대 이상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는 걸 고려해, 일몰 전 사전 대피도 적극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이상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극한호우 우려되는 올여름…AI로 대비
-
- 입력 2025-05-14 18:33:15
- 수정2025-05-14 18:36:21

[앵커]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올여름도 많은 비가 내릴 거란 예측이 나오는데요.
정부가 홍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종합 대책을 내놨습니다.
정새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가 오늘 발표한 수해 대책의 핵심은 홍수 위험을 더 빠르게 알아채고, 더 널리 알리는 겁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디지털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올여름부터 댐 방류와 강우 상황 등을 가상의 3차원 공간에 구현하는 '댐-하천 가상모형'을 시범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하류의 홍수 가능성을 예측하고 댐 방류량 등을 결정할 계획입니다.
[이승환/환경부 수자원정책관 : "입체 공간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홍수 상황 예측이나 홍수특보 발령 등에 활용하여 직관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전국 국가하천에 설치된 CCTV는 2천7백여 개 가운데 1천 개 이상을 AI CCTV로 바꾸기로 했습니다.
하천 주변의 사람과 차량을 자동 인식해 대피시키기 위한 겁니다.
정부는 홍수 관련 안전 안내 문자 발송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기존에는 전국 2백여 곳의 홍수특보 지점에 대해서만 특보 발령 시 안전 문자를 보냈지만, 올해부터는 전국 9백여 곳의 수위 관측소에서 위험 상황이 예측될 때부터 문자를 보낼 방침입니다.
정부는 아울러 홍수기 전까지 댐 방류량을 늘려 홍수 조절 용량을 지난해보다 10% 늘릴 계획입니다.
또, 장마철에 대비해 수도권 등 일부 지역에서만 실시하던 호우 긴급재난문자를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여름철 재난 인명피해가 시간은 오전, 연령대는 60대 이상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는 걸 고려해, 일몰 전 사전 대피도 적극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이상미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올여름도 많은 비가 내릴 거란 예측이 나오는데요.
정부가 홍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종합 대책을 내놨습니다.
정새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가 오늘 발표한 수해 대책의 핵심은 홍수 위험을 더 빠르게 알아채고, 더 널리 알리는 겁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디지털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올여름부터 댐 방류와 강우 상황 등을 가상의 3차원 공간에 구현하는 '댐-하천 가상모형'을 시범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하류의 홍수 가능성을 예측하고 댐 방류량 등을 결정할 계획입니다.
[이승환/환경부 수자원정책관 : "입체 공간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홍수 상황 예측이나 홍수특보 발령 등에 활용하여 직관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전국 국가하천에 설치된 CCTV는 2천7백여 개 가운데 1천 개 이상을 AI CCTV로 바꾸기로 했습니다.
하천 주변의 사람과 차량을 자동 인식해 대피시키기 위한 겁니다.
정부는 홍수 관련 안전 안내 문자 발송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기존에는 전국 2백여 곳의 홍수특보 지점에 대해서만 특보 발령 시 안전 문자를 보냈지만, 올해부터는 전국 9백여 곳의 수위 관측소에서 위험 상황이 예측될 때부터 문자를 보낼 방침입니다.
정부는 아울러 홍수기 전까지 댐 방류량을 늘려 홍수 조절 용량을 지난해보다 10% 늘릴 계획입니다.
또, 장마철에 대비해 수도권 등 일부 지역에서만 실시하던 호우 긴급재난문자를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여름철 재난 인명피해가 시간은 오전, 연령대는 60대 이상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는 걸 고려해, 일몰 전 사전 대피도 적극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이상미
-
-
정새배 기자 newboat@kbs.co.kr
정새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