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생산된 일본 차 역수입, 일 정부 관세협상 카드로 부상”
입력 2025.05.14 (22:11)
수정 2025.05.14 (22: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생산된 일본 자동차 업체의 차량을 역수입하는 방안이 미일 관세 협상의 카드로 일본 정부에서 떠올랐다고 마이니치신문이 14일 보도했습니다.
미국이 25%의 자동차 관세는 협상 대상 밖이라며 일본의 철폐 요구에 난색을 보이는 데 따라 대일 무역적자 축소를 요구하는 미국 측의 긍정적인 반응을 끌어낼 새로운 협상 카드로 이런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일본 업체가 미국에서 생산한 차량을 역수입한다면 안정적인 수요를 기대할 수 있다고 이 신문은 관측했습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미국 빅3 업체의 차량에 대한 일본 시장 수요는 한정적이고 미국 업체들의 판매 노력도 부족하다”고 말했습니다.
1990년대 미일 무역 갈등 시기에도 일본 업체들이 미국에서 생산한 차량을 역수입해 일부 모델은 판매가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앞서 지난 1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미일 2차 관세 협상 등에서 일본 측은 수입차에 대한 안전기준 심사 감소 등을 협상 카드로 제시했으나 미국 측은 25%의 철강·알루미늄 관세와 25%의 자동차 관세는 협의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미국 측은 24%의 상호관세도 모든 나라에 적용하는 10%는 재검토할 수 없으며 상호관세 중 일본에 대한 추가분 14%만 조정할 수 있다는 뜻을 전달했습니다.
하지만 일본이 관세 협상에서 제일 중시하는 부문은 자동차 관세입니다.
일본의 대미 무역에서 최대 수출 품목이 자동차이기 때문입니다.
재무성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미국에 대한 수출액은 21조2천951억엔(약 202조원)으로, 이 가운데 자동차(6조261억엔)가 전체의 28.3%를 차지했습니다. 자동차 부품(1조2천312억엔)까지 합치면 비중이 34.0%에 달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미국이 25%의 자동차 관세는 협상 대상 밖이라며 일본의 철폐 요구에 난색을 보이는 데 따라 대일 무역적자 축소를 요구하는 미국 측의 긍정적인 반응을 끌어낼 새로운 협상 카드로 이런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일본 업체가 미국에서 생산한 차량을 역수입한다면 안정적인 수요를 기대할 수 있다고 이 신문은 관측했습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미국 빅3 업체의 차량에 대한 일본 시장 수요는 한정적이고 미국 업체들의 판매 노력도 부족하다”고 말했습니다.
1990년대 미일 무역 갈등 시기에도 일본 업체들이 미국에서 생산한 차량을 역수입해 일부 모델은 판매가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앞서 지난 1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미일 2차 관세 협상 등에서 일본 측은 수입차에 대한 안전기준 심사 감소 등을 협상 카드로 제시했으나 미국 측은 25%의 철강·알루미늄 관세와 25%의 자동차 관세는 협의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미국 측은 24%의 상호관세도 모든 나라에 적용하는 10%는 재검토할 수 없으며 상호관세 중 일본에 대한 추가분 14%만 조정할 수 있다는 뜻을 전달했습니다.
하지만 일본이 관세 협상에서 제일 중시하는 부문은 자동차 관세입니다.
일본의 대미 무역에서 최대 수출 품목이 자동차이기 때문입니다.
재무성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미국에 대한 수출액은 21조2천951억엔(약 202조원)으로, 이 가운데 자동차(6조261억엔)가 전체의 28.3%를 차지했습니다. 자동차 부품(1조2천312억엔)까지 합치면 비중이 34.0%에 달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서 생산된 일본 차 역수입, 일 정부 관세협상 카드로 부상”
-
- 입력 2025-05-14 22:11:18
- 수정2025-05-14 22:11:55

미국에서 생산된 일본 자동차 업체의 차량을 역수입하는 방안이 미일 관세 협상의 카드로 일본 정부에서 떠올랐다고 마이니치신문이 14일 보도했습니다.
미국이 25%의 자동차 관세는 협상 대상 밖이라며 일본의 철폐 요구에 난색을 보이는 데 따라 대일 무역적자 축소를 요구하는 미국 측의 긍정적인 반응을 끌어낼 새로운 협상 카드로 이런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일본 업체가 미국에서 생산한 차량을 역수입한다면 안정적인 수요를 기대할 수 있다고 이 신문은 관측했습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미국 빅3 업체의 차량에 대한 일본 시장 수요는 한정적이고 미국 업체들의 판매 노력도 부족하다”고 말했습니다.
1990년대 미일 무역 갈등 시기에도 일본 업체들이 미국에서 생산한 차량을 역수입해 일부 모델은 판매가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앞서 지난 1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미일 2차 관세 협상 등에서 일본 측은 수입차에 대한 안전기준 심사 감소 등을 협상 카드로 제시했으나 미국 측은 25%의 철강·알루미늄 관세와 25%의 자동차 관세는 협의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미국 측은 24%의 상호관세도 모든 나라에 적용하는 10%는 재검토할 수 없으며 상호관세 중 일본에 대한 추가분 14%만 조정할 수 있다는 뜻을 전달했습니다.
하지만 일본이 관세 협상에서 제일 중시하는 부문은 자동차 관세입니다.
일본의 대미 무역에서 최대 수출 품목이 자동차이기 때문입니다.
재무성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미국에 대한 수출액은 21조2천951억엔(약 202조원)으로, 이 가운데 자동차(6조261억엔)가 전체의 28.3%를 차지했습니다. 자동차 부품(1조2천312억엔)까지 합치면 비중이 34.0%에 달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미국이 25%의 자동차 관세는 협상 대상 밖이라며 일본의 철폐 요구에 난색을 보이는 데 따라 대일 무역적자 축소를 요구하는 미국 측의 긍정적인 반응을 끌어낼 새로운 협상 카드로 이런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일본 업체가 미국에서 생산한 차량을 역수입한다면 안정적인 수요를 기대할 수 있다고 이 신문은 관측했습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미국 빅3 업체의 차량에 대한 일본 시장 수요는 한정적이고 미국 업체들의 판매 노력도 부족하다”고 말했습니다.
1990년대 미일 무역 갈등 시기에도 일본 업체들이 미국에서 생산한 차량을 역수입해 일부 모델은 판매가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앞서 지난 1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미일 2차 관세 협상 등에서 일본 측은 수입차에 대한 안전기준 심사 감소 등을 협상 카드로 제시했으나 미국 측은 25%의 철강·알루미늄 관세와 25%의 자동차 관세는 협의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미국 측은 24%의 상호관세도 모든 나라에 적용하는 10%는 재검토할 수 없으며 상호관세 중 일본에 대한 추가분 14%만 조정할 수 있다는 뜻을 전달했습니다.
하지만 일본이 관세 협상에서 제일 중시하는 부문은 자동차 관세입니다.
일본의 대미 무역에서 최대 수출 품목이 자동차이기 때문입니다.
재무성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미국에 대한 수출액은 21조2천951억엔(약 202조원)으로, 이 가운데 자동차(6조261억엔)가 전체의 28.3%를 차지했습니다. 자동차 부품(1조2천312억엔)까지 합치면 비중이 34.0%에 달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신선민 기자 freshmin@kbs.co.kr
신선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