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대신 2조 들여 에어컨 M&A…삼성은 왜?

입력 2025.05.15 (06:42) 수정 2025.05.15 (08: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삼성전자, 하면 스마트폰, 반도체…

이런 우리 핵심 산업을 떠올리시죠?

그런데 삼성이 다른 '먹거리'를 찾고 있습니다.

눈에 띄는 핵심 산업이 아닌, 주요 산업을 '보조'하는 업종에 투자하고 있는 건데, 이번엔 냉난방공조 회사를 거액에 사들였습니다.

왜 그럴까요?

하누리 기자입니다.

[리포트]

데이터센터, 우리가 인터넷으로 하는 거의 모든 일을 처리하는 곳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센터 : "하루 24시간, 주 7일, 매년, 연중무휴로 가동해야만 합니다."]

계속 작동하려면, 기계의 '열'을 식혀야 합니다.

방법 중 하나는 일종의 '거대한 에어컨', 냉난방공조를 돌리는 겁니다.

삼성전자가, 독일 기업 '플랙트'를 무려 2조 4천억 원에 사들이며, 뒤늦게 이 분야에 뛰어들었습니다.

[박순철/삼성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지난달 30일 : "보유 현금을 활용한 다양한 주주가치 제고 및 미래 성장을 위한 M&A는 지속 검토 중으로…"]

데이터센터에 넣는 공조기기, 자동차에 넣는 오디오, 삼성이 '미래 성장'을 위해 최근 인수한 업종을 보면 핵심 산업을 '보조'하는 쪽에 투자가 집중돼 있습니다.

[박강호/대신증권 기업리서치부 수석연구위원 : "중국과의 경쟁이 심화하는 관계에서는 새로운 먹거리를 만들어야 하는 부분에 있어서 B2B(기업 간 사업)가 필요한 거고요."]

부진한 반도체, 경쟁 심한 스마트폰의 리스크를 받쳐줄 만한, 안정적 돈줄을 찾는 걸로 보입니다.

[서상영/미래에셋증권 WM혁신본부 상무 : "미래 먹거리는 AI를 통한 소프트웨어 기술에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 기업 위주의 투자와 인수합병은 조금은 조심스럽게 봐야 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삼성은 2분기에는 반도체 등 핵심사업에서 실적을 올리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하누리입니다.

영상편집:장수경/화면제공:마이크로소프트·플랙트그룹 유튜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반도체 대신 2조 들여 에어컨 M&A…삼성은 왜?
    • 입력 2025-05-15 06:42:29
    • 수정2025-05-15 08:07:23
    뉴스광장 1부
[앵커]

삼성전자, 하면 스마트폰, 반도체…

이런 우리 핵심 산업을 떠올리시죠?

그런데 삼성이 다른 '먹거리'를 찾고 있습니다.

눈에 띄는 핵심 산업이 아닌, 주요 산업을 '보조'하는 업종에 투자하고 있는 건데, 이번엔 냉난방공조 회사를 거액에 사들였습니다.

왜 그럴까요?

하누리 기자입니다.

[리포트]

데이터센터, 우리가 인터넷으로 하는 거의 모든 일을 처리하는 곳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센터 : "하루 24시간, 주 7일, 매년, 연중무휴로 가동해야만 합니다."]

계속 작동하려면, 기계의 '열'을 식혀야 합니다.

방법 중 하나는 일종의 '거대한 에어컨', 냉난방공조를 돌리는 겁니다.

삼성전자가, 독일 기업 '플랙트'를 무려 2조 4천억 원에 사들이며, 뒤늦게 이 분야에 뛰어들었습니다.

[박순철/삼성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지난달 30일 : "보유 현금을 활용한 다양한 주주가치 제고 및 미래 성장을 위한 M&A는 지속 검토 중으로…"]

데이터센터에 넣는 공조기기, 자동차에 넣는 오디오, 삼성이 '미래 성장'을 위해 최근 인수한 업종을 보면 핵심 산업을 '보조'하는 쪽에 투자가 집중돼 있습니다.

[박강호/대신증권 기업리서치부 수석연구위원 : "중국과의 경쟁이 심화하는 관계에서는 새로운 먹거리를 만들어야 하는 부분에 있어서 B2B(기업 간 사업)가 필요한 거고요."]

부진한 반도체, 경쟁 심한 스마트폰의 리스크를 받쳐줄 만한, 안정적 돈줄을 찾는 걸로 보입니다.

[서상영/미래에셋증권 WM혁신본부 상무 : "미래 먹거리는 AI를 통한 소프트웨어 기술에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 기업 위주의 투자와 인수합병은 조금은 조심스럽게 봐야 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삼성은 2분기에는 반도체 등 핵심사업에서 실적을 올리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하누리입니다.

영상편집:장수경/화면제공:마이크로소프트·플랙트그룹 유튜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