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 총장의 고통분담…정부 지원금 중단에 급여 1/4 자진 삭감
입력 2025.05.15 (10:58)
수정 2025.05.15 (10: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반기를 든 뒤 정부 지원금이 중단된 미국 하버드대의 앨런 가버 총장이 급여 4분의 1을 자진 삭감했습니다.
현지 시각 14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하버드대는 다음 회계연도가 시작되는 7월 1일부터 가버 총장의 급여가 25% 삭감된다고 밝혔습니다.
가버 총장의 정확한 연봉 수준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전임자들은 약 100만 달러(약 14억 원)의 연봉을 받았습니다. 가버 총장의 연봉도 전임자들과 비슷한 수준이라면 다음 회계연도에는 약 25만 달러(약 3억 5,000만 원)를 덜 받게 될 전망입니다.
이 같은 조치는 최근 하버드대의 재정적 타격과 관련한 고통 분담 차원으로 보입니다.
앞서 트럼프 정부는 캠퍼스 내 유대인 혐오 근절 등을 이유로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기를 비롯해 입학정책과 교수진 채용에 정부가 감시할 수 있는 권한을 하버드대에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하버드대는 '학문의 자유'를 이유로 이를 거부했습니다.
특히 하버드대는 트럼프 행정부의 교칙 변경 요구 공문까지 공개하면서 반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는 26억 달러(약 3조 6,400억 원)에 달하는 연방정부의 연구자금 지원을 중단했습니다.
재정적 타격을 받은 하버드대는 교직원에 대한 성과급 인상을 보류하고, 신규 채용을 중단하는 등 자구책을 발표했습니다. 하버드대 보건대학원은 박사과정 학생 정원과 셔틀버스 운행 감축을 비롯해 컴퓨터 구매 제한 등 긴축 조치를 시행 중입니다. 하버드대의 종신 교수 90명은 자발적으로 급여 10% 삭감을 학교 측에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하버드대는 연방정부의 연구자금 지원 중단으로 발생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다음 회계연도에 2억 5,000만 달러(약 3,500억 원)를 투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버드대는 "중단되거나 취소된 연방정부의 자금 전액을 보완할 수는 없지만, 핵심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재정 자원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버드대는 약 530억 달러(약 74조 3,000억 원)의 기금을 보유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자금은 용도 제한 탓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현지 시각 14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하버드대는 다음 회계연도가 시작되는 7월 1일부터 가버 총장의 급여가 25% 삭감된다고 밝혔습니다.
가버 총장의 정확한 연봉 수준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전임자들은 약 100만 달러(약 14억 원)의 연봉을 받았습니다. 가버 총장의 연봉도 전임자들과 비슷한 수준이라면 다음 회계연도에는 약 25만 달러(약 3억 5,000만 원)를 덜 받게 될 전망입니다.
이 같은 조치는 최근 하버드대의 재정적 타격과 관련한 고통 분담 차원으로 보입니다.
앞서 트럼프 정부는 캠퍼스 내 유대인 혐오 근절 등을 이유로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기를 비롯해 입학정책과 교수진 채용에 정부가 감시할 수 있는 권한을 하버드대에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하버드대는 '학문의 자유'를 이유로 이를 거부했습니다.
특히 하버드대는 트럼프 행정부의 교칙 변경 요구 공문까지 공개하면서 반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는 26억 달러(약 3조 6,400억 원)에 달하는 연방정부의 연구자금 지원을 중단했습니다.
재정적 타격을 받은 하버드대는 교직원에 대한 성과급 인상을 보류하고, 신규 채용을 중단하는 등 자구책을 발표했습니다. 하버드대 보건대학원은 박사과정 학생 정원과 셔틀버스 운행 감축을 비롯해 컴퓨터 구매 제한 등 긴축 조치를 시행 중입니다. 하버드대의 종신 교수 90명은 자발적으로 급여 10% 삭감을 학교 측에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하버드대는 연방정부의 연구자금 지원 중단으로 발생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다음 회계연도에 2억 5,000만 달러(약 3,500억 원)를 투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버드대는 "중단되거나 취소된 연방정부의 자금 전액을 보완할 수는 없지만, 핵심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재정 자원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버드대는 약 530억 달러(약 74조 3,000억 원)의 기금을 보유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자금은 용도 제한 탓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하버드대 총장의 고통분담…정부 지원금 중단에 급여 1/4 자진 삭감
-
- 입력 2025-05-15 10:58:27
- 수정2025-05-15 10:59:49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반기를 든 뒤 정부 지원금이 중단된 미국 하버드대의 앨런 가버 총장이 급여 4분의 1을 자진 삭감했습니다.
현지 시각 14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하버드대는 다음 회계연도가 시작되는 7월 1일부터 가버 총장의 급여가 25% 삭감된다고 밝혔습니다.
가버 총장의 정확한 연봉 수준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전임자들은 약 100만 달러(약 14억 원)의 연봉을 받았습니다. 가버 총장의 연봉도 전임자들과 비슷한 수준이라면 다음 회계연도에는 약 25만 달러(약 3억 5,000만 원)를 덜 받게 될 전망입니다.
이 같은 조치는 최근 하버드대의 재정적 타격과 관련한 고통 분담 차원으로 보입니다.
앞서 트럼프 정부는 캠퍼스 내 유대인 혐오 근절 등을 이유로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기를 비롯해 입학정책과 교수진 채용에 정부가 감시할 수 있는 권한을 하버드대에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하버드대는 '학문의 자유'를 이유로 이를 거부했습니다.
특히 하버드대는 트럼프 행정부의 교칙 변경 요구 공문까지 공개하면서 반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는 26억 달러(약 3조 6,400억 원)에 달하는 연방정부의 연구자금 지원을 중단했습니다.
재정적 타격을 받은 하버드대는 교직원에 대한 성과급 인상을 보류하고, 신규 채용을 중단하는 등 자구책을 발표했습니다. 하버드대 보건대학원은 박사과정 학생 정원과 셔틀버스 운행 감축을 비롯해 컴퓨터 구매 제한 등 긴축 조치를 시행 중입니다. 하버드대의 종신 교수 90명은 자발적으로 급여 10% 삭감을 학교 측에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하버드대는 연방정부의 연구자금 지원 중단으로 발생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다음 회계연도에 2억 5,000만 달러(약 3,500억 원)를 투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버드대는 "중단되거나 취소된 연방정부의 자금 전액을 보완할 수는 없지만, 핵심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재정 자원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버드대는 약 530억 달러(약 74조 3,000억 원)의 기금을 보유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자금은 용도 제한 탓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현지 시각 14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하버드대는 다음 회계연도가 시작되는 7월 1일부터 가버 총장의 급여가 25% 삭감된다고 밝혔습니다.
가버 총장의 정확한 연봉 수준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전임자들은 약 100만 달러(약 14억 원)의 연봉을 받았습니다. 가버 총장의 연봉도 전임자들과 비슷한 수준이라면 다음 회계연도에는 약 25만 달러(약 3억 5,000만 원)를 덜 받게 될 전망입니다.
이 같은 조치는 최근 하버드대의 재정적 타격과 관련한 고통 분담 차원으로 보입니다.
앞서 트럼프 정부는 캠퍼스 내 유대인 혐오 근절 등을 이유로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기를 비롯해 입학정책과 교수진 채용에 정부가 감시할 수 있는 권한을 하버드대에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하버드대는 '학문의 자유'를 이유로 이를 거부했습니다.
특히 하버드대는 트럼프 행정부의 교칙 변경 요구 공문까지 공개하면서 반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는 26억 달러(약 3조 6,400억 원)에 달하는 연방정부의 연구자금 지원을 중단했습니다.
재정적 타격을 받은 하버드대는 교직원에 대한 성과급 인상을 보류하고, 신규 채용을 중단하는 등 자구책을 발표했습니다. 하버드대 보건대학원은 박사과정 학생 정원과 셔틀버스 운행 감축을 비롯해 컴퓨터 구매 제한 등 긴축 조치를 시행 중입니다. 하버드대의 종신 교수 90명은 자발적으로 급여 10% 삭감을 학교 측에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하버드대는 연방정부의 연구자금 지원 중단으로 발생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다음 회계연도에 2억 5,000만 달러(약 3,500억 원)를 투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버드대는 "중단되거나 취소된 연방정부의 자금 전액을 보완할 수는 없지만, 핵심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재정 자원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버드대는 약 530억 달러(약 74조 3,000억 원)의 기금을 보유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자금은 용도 제한 탓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