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는 말한다] “탄소중립 선도도시로”…포항서 세계녹색성장포럼 개막
입력 2025.05.15 (12:32)
수정 2025.05.15 (13: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포항시는 국내 철강 산업의 중심지이지만, 동시에 경북 최대, 전국 최상위권의 탄소 배출 도시이기도 합니다.
포항시가 세계 녹색성장 포럼을 열고 글로벌 탄소중립 도시로의 변신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내 산업의 중심지 포항은 철강을 중심으로 국가 산업을 일으켰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매년 전국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는 등 지구 온난화에도 한몫을 하고 있습니다.
포항시는 폐선로를 활용한 철길숲을 조성하는 등 도시 숲을 확대하면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하는 가운데 근본적인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첫 녹색성장포럼이 열렸습니다.
국제기구와 지역 산업계, 시민 등이 머리를 맞대 기후 위기 대응과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을 동시에 실현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최재철/기후변화센터 이사장 : "시민들이 함께해야 되고. 또 시민들이 현장 생활을 하는 도시, 지방 정부가 함께 해야 되고. 온실가스의 주체가 되는 산업계가 함께 해야 된다."]
국제기구에서도 철강 도시 포항의 변신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마쌈바 티오예/유엔기후협약 글로벌 혁신 허브 총괄책임 : "유엔기후협약 글로벌 혁신 허브의 비전인 녹색 성장과 일치된다는 점에서 세계녹색성장포럼은 중요합니다."]
포항시는 수소와 바이오 등 철강 이후의 친환경 산업을 육성하는 한편, 생태 숲 조성과 시민 참여형 탄소중립 정책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입니다.
[이강덕/포항시장 : "탄소를 흡수할 수 있고, 정주 여건을 좀 더 낫게 할 수 있는 그린웨이(친환경 길) 정책을 앞으로 더 많이 추진해서."]
기후 위기 시대에 더욱 중요해지는 탄소 중립 목표, 선언적 수준,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실천이 중요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포항시는 국내 철강 산업의 중심지이지만, 동시에 경북 최대, 전국 최상위권의 탄소 배출 도시이기도 합니다.
포항시가 세계 녹색성장 포럼을 열고 글로벌 탄소중립 도시로의 변신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내 산업의 중심지 포항은 철강을 중심으로 국가 산업을 일으켰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매년 전국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는 등 지구 온난화에도 한몫을 하고 있습니다.
포항시는 폐선로를 활용한 철길숲을 조성하는 등 도시 숲을 확대하면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하는 가운데 근본적인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첫 녹색성장포럼이 열렸습니다.
국제기구와 지역 산업계, 시민 등이 머리를 맞대 기후 위기 대응과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을 동시에 실현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최재철/기후변화센터 이사장 : "시민들이 함께해야 되고. 또 시민들이 현장 생활을 하는 도시, 지방 정부가 함께 해야 되고. 온실가스의 주체가 되는 산업계가 함께 해야 된다."]
국제기구에서도 철강 도시 포항의 변신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마쌈바 티오예/유엔기후협약 글로벌 혁신 허브 총괄책임 : "유엔기후협약 글로벌 혁신 허브의 비전인 녹색 성장과 일치된다는 점에서 세계녹색성장포럼은 중요합니다."]
포항시는 수소와 바이오 등 철강 이후의 친환경 산업을 육성하는 한편, 생태 숲 조성과 시민 참여형 탄소중립 정책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입니다.
[이강덕/포항시장 : "탄소를 흡수할 수 있고, 정주 여건을 좀 더 낫게 할 수 있는 그린웨이(친환경 길) 정책을 앞으로 더 많이 추진해서."]
기후 위기 시대에 더욱 중요해지는 탄소 중립 목표, 선언적 수준,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실천이 중요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후는 말한다] “탄소중립 선도도시로”…포항서 세계녹색성장포럼 개막
-
- 입력 2025-05-15 12:32:29
- 수정2025-05-15 13:05:09

[앵커]
포항시는 국내 철강 산업의 중심지이지만, 동시에 경북 최대, 전국 최상위권의 탄소 배출 도시이기도 합니다.
포항시가 세계 녹색성장 포럼을 열고 글로벌 탄소중립 도시로의 변신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내 산업의 중심지 포항은 철강을 중심으로 국가 산업을 일으켰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매년 전국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는 등 지구 온난화에도 한몫을 하고 있습니다.
포항시는 폐선로를 활용한 철길숲을 조성하는 등 도시 숲을 확대하면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하는 가운데 근본적인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첫 녹색성장포럼이 열렸습니다.
국제기구와 지역 산업계, 시민 등이 머리를 맞대 기후 위기 대응과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을 동시에 실현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최재철/기후변화센터 이사장 : "시민들이 함께해야 되고. 또 시민들이 현장 생활을 하는 도시, 지방 정부가 함께 해야 되고. 온실가스의 주체가 되는 산업계가 함께 해야 된다."]
국제기구에서도 철강 도시 포항의 변신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마쌈바 티오예/유엔기후협약 글로벌 혁신 허브 총괄책임 : "유엔기후협약 글로벌 혁신 허브의 비전인 녹색 성장과 일치된다는 점에서 세계녹색성장포럼은 중요합니다."]
포항시는 수소와 바이오 등 철강 이후의 친환경 산업을 육성하는 한편, 생태 숲 조성과 시민 참여형 탄소중립 정책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입니다.
[이강덕/포항시장 : "탄소를 흡수할 수 있고, 정주 여건을 좀 더 낫게 할 수 있는 그린웨이(친환경 길) 정책을 앞으로 더 많이 추진해서."]
기후 위기 시대에 더욱 중요해지는 탄소 중립 목표, 선언적 수준,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실천이 중요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포항시는 국내 철강 산업의 중심지이지만, 동시에 경북 최대, 전국 최상위권의 탄소 배출 도시이기도 합니다.
포항시가 세계 녹색성장 포럼을 열고 글로벌 탄소중립 도시로의 변신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내 산업의 중심지 포항은 철강을 중심으로 국가 산업을 일으켰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매년 전국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는 등 지구 온난화에도 한몫을 하고 있습니다.
포항시는 폐선로를 활용한 철길숲을 조성하는 등 도시 숲을 확대하면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하는 가운데 근본적인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첫 녹색성장포럼이 열렸습니다.
국제기구와 지역 산업계, 시민 등이 머리를 맞대 기후 위기 대응과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을 동시에 실현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최재철/기후변화센터 이사장 : "시민들이 함께해야 되고. 또 시민들이 현장 생활을 하는 도시, 지방 정부가 함께 해야 되고. 온실가스의 주체가 되는 산업계가 함께 해야 된다."]
국제기구에서도 철강 도시 포항의 변신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마쌈바 티오예/유엔기후협약 글로벌 혁신 허브 총괄책임 : "유엔기후협약 글로벌 혁신 허브의 비전인 녹색 성장과 일치된다는 점에서 세계녹색성장포럼은 중요합니다."]
포항시는 수소와 바이오 등 철강 이후의 친환경 산업을 육성하는 한편, 생태 숲 조성과 시민 참여형 탄소중립 정책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입니다.
[이강덕/포항시장 : "탄소를 흡수할 수 있고, 정주 여건을 좀 더 낫게 할 수 있는 그린웨이(친환경 길) 정책을 앞으로 더 많이 추진해서."]
기후 위기 시대에 더욱 중요해지는 탄소 중립 목표, 선언적 수준,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실천이 중요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
-
김도훈 기자 kinchy@kbs.co.kr
김도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