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년 전의 기억…이인정의 ‘1980 마나슬루’

입력 2025.05.15 (18: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인정 아시아산악연맹 회장 출판기념회이인정 아시아산악연맹 회장 출판기념회

"책으로 나오기까지 참 긴 시간이 걸렸습니다."

이인정 아시아산악연맹 회장(80)의 책 출판기념회가 15일 서울의 한 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책 이름은 '산악인 이인정과 마나슬루 1980'이다.

이 회장은 1980년 4월 동국산악회 대원들을 이끌고 네팔 히말라야 8천m급 자이언트봉 14개 중의 하나인 마나슬루(8,163m, 세계 8위봉)를 오르는 데 성공했다.

한국의 마나슬루 초등이었다.

그전까지 한국 원정대가 여러 차례 마나슬루 정상을 향해 도전했지만, 대원과 셰르파가 추락사하는 등 매번 실패했다.

또한 1977년 고상돈의 에베레스트 등정 이후 성공한 한국 산악계의 두 번째 자이언트봉 등정이었다.

1980년 마나슬루 등정은 한국 산악인들이 1980년대 들어 더욱 활발하게 히말라야 원정 활동을 펼치게 한 견인차 역할을 했다.

그만큼 한국산악사에 큰 획을 그은 쾌거였다.

1980년 마나슬루 정상에 오른 동국산악회 서동환 대원1980년 마나슬루 정상에 오른 동국산악회 서동환 대원

당시 원정대가 귀국했을 때 서울 도심서 대대적인 축하 카퍼레이드가 열렸다.

원정대 사진전도 열렸고, 최규하 대통령이 청와대로 대원들을 초대해 축하해 줬다.
최규하 대통령이 이인정 마나슬루 원정대장 등을 청와대로 초대최규하 대통령이 이인정 마나슬루 원정대장 등을 청와대로 초대

책에는 동국산악회의 마나슬루 원정 준비, 현지 캠프 생활, 실제 등반 등의 생생한 모습이 실려있다.

이 외에도 엄홍길, 박영석, 김창호 등 후배 산악인들과 함께했던 추억들도 엿볼 수 있다.

대한산악연맹 회장, 한국-네팔 친선협회 회장, 아시아산악연맹 회장 등으로 활동한 장면들도 실려있다.


다음은 이인정 회장, 주요 참석자들의 인터뷰 내용이다.

Q) 책을 출판하게 된 소감?
-이인정 회장 : 45년 만에 책을 만들게 돼 기쁘다. 많은 분이 도와주셨다. 당시 대원들과 지금도 그때 등반을 추억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당시 7명의 대원이 모두 살아있다는 것이다.

Q) 마나슬루 정상에 선 대원인데 당시 느낌은 어땠는지?
-서동환 : 사명감을 갖고 등정했다. 올라갈 때는 날씨가 좋았는데 정상에 도착했을 때 갑자기 안개가 끼었다. 이인정 회장이 당시는 35살이었는데, 원정 전체를 준비하는 과정을 옆에서 봤을 때 정말 대단한 분이라고 생각했다.

Q) 마나슬루 등정은 어떤 의미가 있나?
-엄홍길 대장 : 1980년 등정 이전에 다른 한국 원정대가 여러 번 실패한 곳이어서 마나슬루는 한이 맺힌 산이었다. 동국산악회의 등정 성공은 그래서 의미가 더 크다.

Q) 이인정 회장은 어떤 산악인인가?
-조좌진 대한산악연맹 회장 : 한국 산악사에 큰 이정표를 세운 분이다. 지금도 아시아산악연맹 회장으로서 저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계신다. 책 출판을 정말 축하드린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5년 전의 기억…이인정의 ‘1980 마나슬루’
    • 입력 2025-05-15 18:19:44
    스포츠K
이인정 아시아산악연맹 회장 출판기념회
"책으로 나오기까지 참 긴 시간이 걸렸습니다."

이인정 아시아산악연맹 회장(80)의 책 출판기념회가 15일 서울의 한 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책 이름은 '산악인 이인정과 마나슬루 1980'이다.

이 회장은 1980년 4월 동국산악회 대원들을 이끌고 네팔 히말라야 8천m급 자이언트봉 14개 중의 하나인 마나슬루(8,163m, 세계 8위봉)를 오르는 데 성공했다.

한국의 마나슬루 초등이었다.

그전까지 한국 원정대가 여러 차례 마나슬루 정상을 향해 도전했지만, 대원과 셰르파가 추락사하는 등 매번 실패했다.

또한 1977년 고상돈의 에베레스트 등정 이후 성공한 한국 산악계의 두 번째 자이언트봉 등정이었다.

1980년 마나슬루 등정은 한국 산악인들이 1980년대 들어 더욱 활발하게 히말라야 원정 활동을 펼치게 한 견인차 역할을 했다.

그만큼 한국산악사에 큰 획을 그은 쾌거였다.

1980년 마나슬루 정상에 오른 동국산악회 서동환 대원
당시 원정대가 귀국했을 때 서울 도심서 대대적인 축하 카퍼레이드가 열렸다.

원정대 사진전도 열렸고, 최규하 대통령이 청와대로 대원들을 초대해 축하해 줬다.
최규하 대통령이 이인정 마나슬루 원정대장 등을 청와대로 초대
책에는 동국산악회의 마나슬루 원정 준비, 현지 캠프 생활, 실제 등반 등의 생생한 모습이 실려있다.

이 외에도 엄홍길, 박영석, 김창호 등 후배 산악인들과 함께했던 추억들도 엿볼 수 있다.

대한산악연맹 회장, 한국-네팔 친선협회 회장, 아시아산악연맹 회장 등으로 활동한 장면들도 실려있다.


다음은 이인정 회장, 주요 참석자들의 인터뷰 내용이다.

Q) 책을 출판하게 된 소감?
-이인정 회장 : 45년 만에 책을 만들게 돼 기쁘다. 많은 분이 도와주셨다. 당시 대원들과 지금도 그때 등반을 추억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당시 7명의 대원이 모두 살아있다는 것이다.

Q) 마나슬루 정상에 선 대원인데 당시 느낌은 어땠는지?
-서동환 : 사명감을 갖고 등정했다. 올라갈 때는 날씨가 좋았는데 정상에 도착했을 때 갑자기 안개가 끼었다. 이인정 회장이 당시는 35살이었는데, 원정 전체를 준비하는 과정을 옆에서 봤을 때 정말 대단한 분이라고 생각했다.

Q) 마나슬루 등정은 어떤 의미가 있나?
-엄홍길 대장 : 1980년 등정 이전에 다른 한국 원정대가 여러 번 실패한 곳이어서 마나슬루는 한이 맺힌 산이었다. 동국산악회의 등정 성공은 그래서 의미가 더 크다.

Q) 이인정 회장은 어떤 산악인인가?
-조좌진 대한산악연맹 회장 : 한국 산악사에 큰 이정표를 세운 분이다. 지금도 아시아산악연맹 회장으로서 저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계신다. 책 출판을 정말 축하드린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