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미국 대중국 관세 6개월 뒤에도 30% 전망”
입력 2025.05.16 (17:18)
수정 2025.05.16 (17: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00% 넘는 관세 폭탄을 주고받았던 미국과 중국이 최근 90일간 휴전에 들어가기로 했지만, 이후에도 관세가 좀처럼 내려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현지 시각 13∼14일 아시아·유럽·미국 투자기관 관계자 22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 6개월 뒤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관세율 전망치(중간값)가 30%였다고 15일 보도했습니다.
블룸버그이코노믹스 추산을 보면 관세율 30%는 중단기적으로 중국의 대미국 수출 70%가 사라질 수 있는 수준입니다.
블룸버그는 그러면서도 관세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 속에 6개월 뒤 관세율이 30%보다 높을 것으로 본 응답자와 낮을 것으로 본 응답자가 각각 7명, 6명으로 갈렸다고 전했습니다.
전망치 최곳값은 65%, 최젓값은 10%였습니다.
중간값 기준 1개월·3개월·6개월 뒤 관세율 전망치는 모두 30%였고, 최종적인 무역 합의 이후 관세율 전망은 20%였습니다.
조사 결과는 무역 협상을 통해 관세를 되돌릴 수 있을지에 대한 시장의 낮은 기대를 반영한다는 게 블룸버그 해석입니다.
DNB은행의 켈리 첸 이코노미스트는 미중 무역 합의가 피상적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면서 “잠재적 협상 마감 시한인 내년 미국 중간선거 전에 미중 간에 상대적 입장을 충분히 바꿀 시간이 부족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 관세를 발표하고 중국에 대한 추가관세율을 145%로 끌어올렸으며, 중국도 미국에 125%의 보복 관세로 맞대응했습니다.
악화 일로를 걷던 미중 관계는 이달 10∼11일 스위스에서 열린 고위급 협상 후 양측이 서로에 대한 관세를 115%포인트씩 내리기로 하면서 휴전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당시에도 중국을 상대로 무역전쟁에 나선 바 있으며, 블룸버그이코노믹스는 이때 매긴 대중국 관세율이 평균 12% 정도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번 설문 조사 응답자 대부분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부과된 대중국 관세는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봤습니다.
이를 낮추면 중국에 과도하게 양보했다는 지지층의 비판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기관 관계자 17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중국 자산이 연말까지 현 수준에서 크지 않은 변동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중간값 기준 역내위안/달러 환율은 7.2위안, 10년물 중국 국채 금리는 1.7%, CSI 300 주가지수(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는 4,000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한국시간 이날 오후 3시 47분 역내위안/달러 환율은 7.20위안, 10년물 국채 금리는 1.679%, 오후 3시 32분 기준 CSI 300지수는 3,884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애버딘투자의 로버트 길훌리 이코노미스트는 “관세 관련 호재는 중국의 완화적 통화정책 정도를 낮춰 환율 상방을 제한할 것”이라면서도 “관세 타격이 드러나고 경기가 둔화하면서 중국 당국이 결국 위안화 약세를 용인할 것”이라고 봤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블룸버그 통신은 현지 시각 13∼14일 아시아·유럽·미국 투자기관 관계자 22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 6개월 뒤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관세율 전망치(중간값)가 30%였다고 15일 보도했습니다.
블룸버그이코노믹스 추산을 보면 관세율 30%는 중단기적으로 중국의 대미국 수출 70%가 사라질 수 있는 수준입니다.
블룸버그는 그러면서도 관세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 속에 6개월 뒤 관세율이 30%보다 높을 것으로 본 응답자와 낮을 것으로 본 응답자가 각각 7명, 6명으로 갈렸다고 전했습니다.
전망치 최곳값은 65%, 최젓값은 10%였습니다.
중간값 기준 1개월·3개월·6개월 뒤 관세율 전망치는 모두 30%였고, 최종적인 무역 합의 이후 관세율 전망은 20%였습니다.
조사 결과는 무역 협상을 통해 관세를 되돌릴 수 있을지에 대한 시장의 낮은 기대를 반영한다는 게 블룸버그 해석입니다.
DNB은행의 켈리 첸 이코노미스트는 미중 무역 합의가 피상적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면서 “잠재적 협상 마감 시한인 내년 미국 중간선거 전에 미중 간에 상대적 입장을 충분히 바꿀 시간이 부족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 관세를 발표하고 중국에 대한 추가관세율을 145%로 끌어올렸으며, 중국도 미국에 125%의 보복 관세로 맞대응했습니다.
악화 일로를 걷던 미중 관계는 이달 10∼11일 스위스에서 열린 고위급 협상 후 양측이 서로에 대한 관세를 115%포인트씩 내리기로 하면서 휴전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당시에도 중국을 상대로 무역전쟁에 나선 바 있으며, 블룸버그이코노믹스는 이때 매긴 대중국 관세율이 평균 12% 정도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번 설문 조사 응답자 대부분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부과된 대중국 관세는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봤습니다.
이를 낮추면 중국에 과도하게 양보했다는 지지층의 비판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기관 관계자 17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중국 자산이 연말까지 현 수준에서 크지 않은 변동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중간값 기준 역내위안/달러 환율은 7.2위안, 10년물 중국 국채 금리는 1.7%, CSI 300 주가지수(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는 4,000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한국시간 이날 오후 3시 47분 역내위안/달러 환율은 7.20위안, 10년물 국채 금리는 1.679%, 오후 3시 32분 기준 CSI 300지수는 3,884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애버딘투자의 로버트 길훌리 이코노미스트는 “관세 관련 호재는 중국의 완화적 통화정책 정도를 낮춰 환율 상방을 제한할 것”이라면서도 “관세 타격이 드러나고 경기가 둔화하면서 중국 당국이 결국 위안화 약세를 용인할 것”이라고 봤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블룸버그 “미국 대중국 관세 6개월 뒤에도 30% 전망”
-
- 입력 2025-05-16 17:18:02
- 수정2025-05-16 17:19:01

100% 넘는 관세 폭탄을 주고받았던 미국과 중국이 최근 90일간 휴전에 들어가기로 했지만, 이후에도 관세가 좀처럼 내려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현지 시각 13∼14일 아시아·유럽·미국 투자기관 관계자 22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 6개월 뒤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관세율 전망치(중간값)가 30%였다고 15일 보도했습니다.
블룸버그이코노믹스 추산을 보면 관세율 30%는 중단기적으로 중국의 대미국 수출 70%가 사라질 수 있는 수준입니다.
블룸버그는 그러면서도 관세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 속에 6개월 뒤 관세율이 30%보다 높을 것으로 본 응답자와 낮을 것으로 본 응답자가 각각 7명, 6명으로 갈렸다고 전했습니다.
전망치 최곳값은 65%, 최젓값은 10%였습니다.
중간값 기준 1개월·3개월·6개월 뒤 관세율 전망치는 모두 30%였고, 최종적인 무역 합의 이후 관세율 전망은 20%였습니다.
조사 결과는 무역 협상을 통해 관세를 되돌릴 수 있을지에 대한 시장의 낮은 기대를 반영한다는 게 블룸버그 해석입니다.
DNB은행의 켈리 첸 이코노미스트는 미중 무역 합의가 피상적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면서 “잠재적 협상 마감 시한인 내년 미국 중간선거 전에 미중 간에 상대적 입장을 충분히 바꿀 시간이 부족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 관세를 발표하고 중국에 대한 추가관세율을 145%로 끌어올렸으며, 중국도 미국에 125%의 보복 관세로 맞대응했습니다.
악화 일로를 걷던 미중 관계는 이달 10∼11일 스위스에서 열린 고위급 협상 후 양측이 서로에 대한 관세를 115%포인트씩 내리기로 하면서 휴전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당시에도 중국을 상대로 무역전쟁에 나선 바 있으며, 블룸버그이코노믹스는 이때 매긴 대중국 관세율이 평균 12% 정도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번 설문 조사 응답자 대부분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부과된 대중국 관세는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봤습니다.
이를 낮추면 중국에 과도하게 양보했다는 지지층의 비판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기관 관계자 17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중국 자산이 연말까지 현 수준에서 크지 않은 변동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중간값 기준 역내위안/달러 환율은 7.2위안, 10년물 중국 국채 금리는 1.7%, CSI 300 주가지수(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는 4,000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한국시간 이날 오후 3시 47분 역내위안/달러 환율은 7.20위안, 10년물 국채 금리는 1.679%, 오후 3시 32분 기준 CSI 300지수는 3,884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애버딘투자의 로버트 길훌리 이코노미스트는 “관세 관련 호재는 중국의 완화적 통화정책 정도를 낮춰 환율 상방을 제한할 것”이라면서도 “관세 타격이 드러나고 경기가 둔화하면서 중국 당국이 결국 위안화 약세를 용인할 것”이라고 봤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블룸버그 통신은 현지 시각 13∼14일 아시아·유럽·미국 투자기관 관계자 22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 6개월 뒤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관세율 전망치(중간값)가 30%였다고 15일 보도했습니다.
블룸버그이코노믹스 추산을 보면 관세율 30%는 중단기적으로 중국의 대미국 수출 70%가 사라질 수 있는 수준입니다.
블룸버그는 그러면서도 관세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 속에 6개월 뒤 관세율이 30%보다 높을 것으로 본 응답자와 낮을 것으로 본 응답자가 각각 7명, 6명으로 갈렸다고 전했습니다.
전망치 최곳값은 65%, 최젓값은 10%였습니다.
중간값 기준 1개월·3개월·6개월 뒤 관세율 전망치는 모두 30%였고, 최종적인 무역 합의 이후 관세율 전망은 20%였습니다.
조사 결과는 무역 협상을 통해 관세를 되돌릴 수 있을지에 대한 시장의 낮은 기대를 반영한다는 게 블룸버그 해석입니다.
DNB은행의 켈리 첸 이코노미스트는 미중 무역 합의가 피상적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면서 “잠재적 협상 마감 시한인 내년 미국 중간선거 전에 미중 간에 상대적 입장을 충분히 바꿀 시간이 부족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 관세를 발표하고 중국에 대한 추가관세율을 145%로 끌어올렸으며, 중국도 미국에 125%의 보복 관세로 맞대응했습니다.
악화 일로를 걷던 미중 관계는 이달 10∼11일 스위스에서 열린 고위급 협상 후 양측이 서로에 대한 관세를 115%포인트씩 내리기로 하면서 휴전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당시에도 중국을 상대로 무역전쟁에 나선 바 있으며, 블룸버그이코노믹스는 이때 매긴 대중국 관세율이 평균 12% 정도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번 설문 조사 응답자 대부분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부과된 대중국 관세는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봤습니다.
이를 낮추면 중국에 과도하게 양보했다는 지지층의 비판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기관 관계자 17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중국 자산이 연말까지 현 수준에서 크지 않은 변동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중간값 기준 역내위안/달러 환율은 7.2위안, 10년물 중국 국채 금리는 1.7%, CSI 300 주가지수(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는 4,000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한국시간 이날 오후 3시 47분 역내위안/달러 환율은 7.20위안, 10년물 국채 금리는 1.679%, 오후 3시 32분 기준 CSI 300지수는 3,884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애버딘투자의 로버트 길훌리 이코노미스트는 “관세 관련 호재는 중국의 완화적 통화정책 정도를 낮춰 환율 상방을 제한할 것”이라면서도 “관세 타격이 드러나고 경기가 둔화하면서 중국 당국이 결국 위안화 약세를 용인할 것”이라고 봤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홍진아 기자 gina@kbs.co.kr
홍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