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원 중단에 남아공 에이즈 의료인 8천명 실직
입력 2025.05.16 (19:43)
수정 2025.05.16 (1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지원 중단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후천성면역결핍증(에이즈) 프로그램 의료 종사자 8천명이 실직했다고 현지 일간지 더시티즌이 보도했습니다.
아론 모초알레디 남아공 보건부 장관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남아공의 HIV/에이즈 프로그램에 제공했던 연간 약 4억3천600만 달러(약 6천89억원)의 자금 지원을 중단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과 함께 미국 정부의 대외 원조를 일시 중단하며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해외 원조 프로그램으로 꼽히는 '에이즈 퇴치를 위한 대통령의 긴급계획'(PEPFAR)의 자금 송금을 차단했습니다. 남아공 HIV/에이즈 프로그램 연간 예산 25억 달러(약 3조5천억원)의 17% 정도를 차지합니다.
모초알레디 장관은 "남아공 HIV/에이즈 프로그램 의료 종사자는 전국 27개 지역에 27만1천606명에 달한다"며 "이 가운데 PEPFAR의 지원을 받는 1만5천539명 중 8천61명이 실직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럼에도 남은 인력과 인프라로 HIV/에이즈 프로그램은 계속 작동하고 있다고 모초알레디 장관은 강조했습니다.
그는 "나머지 7천478명은 적어도 올해 9월까지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자금을 지원받기 때문에 여전히 고용돼 있다"며 "그들은 여전히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모초알레디 장관은 미국의 지원 중단 이후 남아공의 HIV/에이즈 프로그램이 무너지고 있다는 최근 현지 언론 보도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상당한 인력 감축에도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남아공 비정부기구(NGO)가 운영하고 미국 국제개발처(USAID)가 자금을 지원했던 12개의 전문 HIV클리닉이 폐쇄됐지만, 이들 클리닉에서 치료받던 6만 명 이상의 환자를 주립 보건 시설에 등록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유엔에이즈기구에 따르면 남아공에는 약 770만 명의 HIV 감염 환자가 있습니다. 이 가운데 600만명에 가까운 환자가 HIV/AIDS 프로그램으로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습니다.
모초알레디 장관은 다른 정부와 구호 기관에 지원을 요청하고 있지만 새로운 자금이 확보되지는 않았다면서도 "어떤 상황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으로 이 프로그램이 무너지고 연기 속으로 사라지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아론 모초알레디 남아공 보건부 장관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남아공의 HIV/에이즈 프로그램에 제공했던 연간 약 4억3천600만 달러(약 6천89억원)의 자금 지원을 중단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과 함께 미국 정부의 대외 원조를 일시 중단하며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해외 원조 프로그램으로 꼽히는 '에이즈 퇴치를 위한 대통령의 긴급계획'(PEPFAR)의 자금 송금을 차단했습니다. 남아공 HIV/에이즈 프로그램 연간 예산 25억 달러(약 3조5천억원)의 17% 정도를 차지합니다.
모초알레디 장관은 "남아공 HIV/에이즈 프로그램 의료 종사자는 전국 27개 지역에 27만1천606명에 달한다"며 "이 가운데 PEPFAR의 지원을 받는 1만5천539명 중 8천61명이 실직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럼에도 남은 인력과 인프라로 HIV/에이즈 프로그램은 계속 작동하고 있다고 모초알레디 장관은 강조했습니다.
그는 "나머지 7천478명은 적어도 올해 9월까지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자금을 지원받기 때문에 여전히 고용돼 있다"며 "그들은 여전히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모초알레디 장관은 미국의 지원 중단 이후 남아공의 HIV/에이즈 프로그램이 무너지고 있다는 최근 현지 언론 보도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상당한 인력 감축에도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남아공 비정부기구(NGO)가 운영하고 미국 국제개발처(USAID)가 자금을 지원했던 12개의 전문 HIV클리닉이 폐쇄됐지만, 이들 클리닉에서 치료받던 6만 명 이상의 환자를 주립 보건 시설에 등록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유엔에이즈기구에 따르면 남아공에는 약 770만 명의 HIV 감염 환자가 있습니다. 이 가운데 600만명에 가까운 환자가 HIV/AIDS 프로그램으로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습니다.
모초알레디 장관은 다른 정부와 구호 기관에 지원을 요청하고 있지만 새로운 자금이 확보되지는 않았다면서도 "어떤 상황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으로 이 프로그램이 무너지고 연기 속으로 사라지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지원 중단에 남아공 에이즈 의료인 8천명 실직
-
- 입력 2025-05-16 19:43:38
- 수정2025-05-16 19:45:29

미국의 지원 중단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후천성면역결핍증(에이즈) 프로그램 의료 종사자 8천명이 실직했다고 현지 일간지 더시티즌이 보도했습니다.
아론 모초알레디 남아공 보건부 장관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남아공의 HIV/에이즈 프로그램에 제공했던 연간 약 4억3천600만 달러(약 6천89억원)의 자금 지원을 중단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과 함께 미국 정부의 대외 원조를 일시 중단하며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해외 원조 프로그램으로 꼽히는 '에이즈 퇴치를 위한 대통령의 긴급계획'(PEPFAR)의 자금 송금을 차단했습니다. 남아공 HIV/에이즈 프로그램 연간 예산 25억 달러(약 3조5천억원)의 17% 정도를 차지합니다.
모초알레디 장관은 "남아공 HIV/에이즈 프로그램 의료 종사자는 전국 27개 지역에 27만1천606명에 달한다"며 "이 가운데 PEPFAR의 지원을 받는 1만5천539명 중 8천61명이 실직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럼에도 남은 인력과 인프라로 HIV/에이즈 프로그램은 계속 작동하고 있다고 모초알레디 장관은 강조했습니다.
그는 "나머지 7천478명은 적어도 올해 9월까지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자금을 지원받기 때문에 여전히 고용돼 있다"며 "그들은 여전히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모초알레디 장관은 미국의 지원 중단 이후 남아공의 HIV/에이즈 프로그램이 무너지고 있다는 최근 현지 언론 보도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상당한 인력 감축에도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남아공 비정부기구(NGO)가 운영하고 미국 국제개발처(USAID)가 자금을 지원했던 12개의 전문 HIV클리닉이 폐쇄됐지만, 이들 클리닉에서 치료받던 6만 명 이상의 환자를 주립 보건 시설에 등록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유엔에이즈기구에 따르면 남아공에는 약 770만 명의 HIV 감염 환자가 있습니다. 이 가운데 600만명에 가까운 환자가 HIV/AIDS 프로그램으로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습니다.
모초알레디 장관은 다른 정부와 구호 기관에 지원을 요청하고 있지만 새로운 자금이 확보되지는 않았다면서도 "어떤 상황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으로 이 프로그램이 무너지고 연기 속으로 사라지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아론 모초알레디 남아공 보건부 장관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남아공의 HIV/에이즈 프로그램에 제공했던 연간 약 4억3천600만 달러(약 6천89억원)의 자금 지원을 중단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과 함께 미국 정부의 대외 원조를 일시 중단하며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해외 원조 프로그램으로 꼽히는 '에이즈 퇴치를 위한 대통령의 긴급계획'(PEPFAR)의 자금 송금을 차단했습니다. 남아공 HIV/에이즈 프로그램 연간 예산 25억 달러(약 3조5천억원)의 17% 정도를 차지합니다.
모초알레디 장관은 "남아공 HIV/에이즈 프로그램 의료 종사자는 전국 27개 지역에 27만1천606명에 달한다"며 "이 가운데 PEPFAR의 지원을 받는 1만5천539명 중 8천61명이 실직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럼에도 남은 인력과 인프라로 HIV/에이즈 프로그램은 계속 작동하고 있다고 모초알레디 장관은 강조했습니다.
그는 "나머지 7천478명은 적어도 올해 9월까지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자금을 지원받기 때문에 여전히 고용돼 있다"며 "그들은 여전히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모초알레디 장관은 미국의 지원 중단 이후 남아공의 HIV/에이즈 프로그램이 무너지고 있다는 최근 현지 언론 보도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상당한 인력 감축에도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남아공 비정부기구(NGO)가 운영하고 미국 국제개발처(USAID)가 자금을 지원했던 12개의 전문 HIV클리닉이 폐쇄됐지만, 이들 클리닉에서 치료받던 6만 명 이상의 환자를 주립 보건 시설에 등록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유엔에이즈기구에 따르면 남아공에는 약 770만 명의 HIV 감염 환자가 있습니다. 이 가운데 600만명에 가까운 환자가 HIV/AIDS 프로그램으로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습니다.
모초알레디 장관은 다른 정부와 구호 기관에 지원을 요청하고 있지만 새로운 자금이 확보되지는 않았다면서도 "어떤 상황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으로 이 프로그램이 무너지고 연기 속으로 사라지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김양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