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 영향 ‘사망 데이터’로 분석해보니 [창+]
입력 2025.05.18 (07:02)
수정 2025.05.18 (08: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사기획 창 '의료붕괴 카운트다운' 중에서)
의정 갈등은 의료 현장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시사기획 창>은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과 함께 사망자 데이터를 분석해봤습니다.
정재훈 / 고려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2024년에는 전년도와 비교해서는 사망률이 오히려 감소한 상황을 보고 있고요. 하지만 이게 착각하시면 안 되는 게 사망률이라고 하는 것은 전체 인구에서 몇 퍼센트가 사망하고 있냐라는 데이터인 겁니다. 하지만 85세 이상의 인구들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사망률 자체는 줄어든다라고 하더라도 사망자의 숫자는 늘어난 것처럼 보일 수가 있습니다. (분모가 커지고 있으니까?) 네." |

그런데, 사망 장소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가 보였습니다.
"상급종합병원에서 생애 마지막을 보내시는 분들의 비율은 한 3% 포인트 정도가 감소한 상황이고 그리고 이 사망의 마지막 장소가 종합병원이나 요양병원이나 아니면 병원이 아닌 장소에서의 사망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요양병원이나 가정에서 임종을 보내시는 분들이 늘어나야 되는 것이 맞는 방향이긴 하지만 이게 강제적으로 일어난 변화라는 게 문제가 있는 것이고요. 상급종합병원에서의 비율이 떨어졌다고 하는 것은 (환자가 지불하는) 비용이 증가했을 가능성도 있다라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

광주지역 요양병원에서는 상급종합병원에 환자 이송 문의 전화를 거의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거절당할 게 뻔하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요양병원에서 숨을 거두는 노인들이 늘었습니다.
지명준 / 광주씨티재활요양병원 원장 "(예년에는) 3, 4명 정도 됐었을 텐데 전원을 못 가고 사망하는 경우가 근데 작년에는 사망한 사람이 일곱 여덟 명 정도였죠. (원장님이 보셨던 환자 중에서만) 네. (전체로 따지면 적지 않긴 하겠네요) 그럴 것 같아요. 어차피 요양병원에서 치료할 수 있는 한계가 있으니까." |

이 요양병원은 광주광역시 내에서 대형병원으로 전원이 되는 몇 안 되는 곳입니다. 그런데도 수술 감소의 영향은 피부로 느껴지는 수준입니다.

박병순 / 광주 세종요양병원 원장 "특히 폐암 환자 같은 경우에는 더블링 타임이라고 해서 암세포 크기가 두 배로 되는 기간이 한 달밖에 되지 않는데 진료 예약 자체를 잡을 수가 없어서 소리 없이 수천 명이 죽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통계에는 잡히지도 않는...) 네 안 나옵니다. (그냥 그대로 악화하고 죽음을 향해 가는 거네요?) 2기가 3기 되고, 3기가 4기 되고, 4기가 4기 말이 되어가고 있어요" |
전공의들이 자리를 비운 사이 수술은 급감했습니다.
주혜진 / 고려대 예방의학교실 박사 "폐암을 예를 들어서 말씀드리면 기존에는 상급종합병원에서 전체 수술의 80% 이상을 담당해 왔었습니다. 그러나 2024년 3월부터는 70% 초반대로 떨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체 수술 건수 같은 경우에도 폐암 수술이 월 평균 상급종합병원에서 900건 이상 이루어지던 것이 200건이 감소하였습니다. 그리고 종합병원에서는 약 200건 정도 월 평균 수술 건수가 이루어졌었다면 40건 정도가 증가해서 이 격차가 생기는 것이죠." |


취재: 범기영
촬영: 오광택
영상편집: 성동혁
자료조사: 백은세
조연출: 최명호 김세빈
방송일시: 2025년 5월 13일(화) 밤10시 KBS1TV/ 유튜브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https://program.kbs.co.kr/1tv/news/sisachang/pc/index.html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Eb31RoX5RnfYENmnyokN8A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changkbs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window.sisa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정갈등 영향 ‘사망 데이터’로 분석해보니 [창+]
-
- 입력 2025-05-18 07:02:42
- 수정2025-05-18 08:29:10
(시사기획 창 '의료붕괴 카운트다운' 중에서)
의정 갈등은 의료 현장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시사기획 창>은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과 함께 사망자 데이터를 분석해봤습니다.
정재훈 / 고려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2024년에는 전년도와 비교해서는 사망률이 오히려 감소한 상황을 보고 있고요. 하지만 이게 착각하시면 안 되는 게 사망률이라고 하는 것은 전체 인구에서 몇 퍼센트가 사망하고 있냐라는 데이터인 겁니다. 하지만 85세 이상의 인구들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사망률 자체는 줄어든다라고 하더라도 사망자의 숫자는 늘어난 것처럼 보일 수가 있습니다. (분모가 커지고 있으니까?) 네." |

그런데, 사망 장소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가 보였습니다.
"상급종합병원에서 생애 마지막을 보내시는 분들의 비율은 한 3% 포인트 정도가 감소한 상황이고 그리고 이 사망의 마지막 장소가 종합병원이나 요양병원이나 아니면 병원이 아닌 장소에서의 사망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요양병원이나 가정에서 임종을 보내시는 분들이 늘어나야 되는 것이 맞는 방향이긴 하지만 이게 강제적으로 일어난 변화라는 게 문제가 있는 것이고요. 상급종합병원에서의 비율이 떨어졌다고 하는 것은 (환자가 지불하는) 비용이 증가했을 가능성도 있다라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

광주지역 요양병원에서는 상급종합병원에 환자 이송 문의 전화를 거의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거절당할 게 뻔하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요양병원에서 숨을 거두는 노인들이 늘었습니다.
지명준 / 광주씨티재활요양병원 원장 "(예년에는) 3, 4명 정도 됐었을 텐데 전원을 못 가고 사망하는 경우가 근데 작년에는 사망한 사람이 일곱 여덟 명 정도였죠. (원장님이 보셨던 환자 중에서만) 네. (전체로 따지면 적지 않긴 하겠네요) 그럴 것 같아요. 어차피 요양병원에서 치료할 수 있는 한계가 있으니까." |

이 요양병원은 광주광역시 내에서 대형병원으로 전원이 되는 몇 안 되는 곳입니다. 그런데도 수술 감소의 영향은 피부로 느껴지는 수준입니다.

박병순 / 광주 세종요양병원 원장 "특히 폐암 환자 같은 경우에는 더블링 타임이라고 해서 암세포 크기가 두 배로 되는 기간이 한 달밖에 되지 않는데 진료 예약 자체를 잡을 수가 없어서 소리 없이 수천 명이 죽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통계에는 잡히지도 않는...) 네 안 나옵니다. (그냥 그대로 악화하고 죽음을 향해 가는 거네요?) 2기가 3기 되고, 3기가 4기 되고, 4기가 4기 말이 되어가고 있어요" |
전공의들이 자리를 비운 사이 수술은 급감했습니다.
주혜진 / 고려대 예방의학교실 박사 "폐암을 예를 들어서 말씀드리면 기존에는 상급종합병원에서 전체 수술의 80% 이상을 담당해 왔었습니다. 그러나 2024년 3월부터는 70% 초반대로 떨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체 수술 건수 같은 경우에도 폐암 수술이 월 평균 상급종합병원에서 900건 이상 이루어지던 것이 200건이 감소하였습니다. 그리고 종합병원에서는 약 200건 정도 월 평균 수술 건수가 이루어졌었다면 40건 정도가 증가해서 이 격차가 생기는 것이죠." |


취재: 범기영
촬영: 오광택
영상편집: 성동혁
자료조사: 백은세
조연출: 최명호 김세빈
방송일시: 2025년 5월 13일(화) 밤10시 KBS1TV/ 유튜브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https://program.kbs.co.kr/1tv/news/sisachang/pc/index.html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Eb31RoX5RnfYENmnyokN8A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changkbs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window.sisa
-
-
범기영 기자 bum710@kbs.co.kr
범기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집단휴진 사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