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 공백’ 메워주는 착한 ‘로봇’
입력 2025.05.19 (06:35)
수정 2025.05.19 (08: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도움이 필요한 고령자는 계속 늘고 있는데, 이들을 돌 볼 사람을 구하기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게 대한민국의 현실입니다.
이른바 '돌봄 공백'이 현실화하고 있는 건데요.
그 대안으로 '로봇'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보도에 강나루 기자입니다.
[리포트]
뇌출혈로 쓰러진 뒤 몸 한쪽을 제대로 쓸 수 없는 60대 남성입니다.
식사를 하기 힘들 정도로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제는 보행보조로봇 덕에 조금씩 걸을 수도 있습니다.
[이동규/69살 : "오른쪽이 마비다 보니까 힘들어요. 그런데 이런 걸 착용하니까 좀 걷기가 훨씬 낫고 생활하기 좋아요."]
몸이 불편한 고령자의 목욕이나 용변을 돕는 건 가족에게도 쉽지 않은 일, 로봇의 도움을 받으면 돌봄이 조금은 수월해집니다.
[송원경/국립재활원 재활보조기술연구과장 : "삶의 의욕이 생긴다고 할 정도로 단순 신체적인 돌봄뿐만 아니라 그런 정신적인 것까지 만져줄 수 있는 그런 기술들…."]
AI가 탑재된 이 로봇은 홀로 지내는 어르신들의 말벗이 되어줍니다.
우울감을 줄여주고 치매도 예방해 준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좋지요? 손님 오시니까 좋지요? 많이 좋지요?) 할아버지, 손님 오시면 정말 즐거워."]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위해 전등을 켜주거나.
["(전등 켜줘.) 네, 전등을 켜드릴게요."]
통신망이 연결돼 있어 돌봄 로봇에 긴급 구조 메시지도 보낼 수 있습니다.
["지금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해당 지역 어르신들은…"]
[김지희/돌봄로봇업체 대표 : "어르신께서 좋아하는 노래도 들려드리고 어르신이 이제 응급 상황이 됐었을 때 119도 호출할 수가 있는…."]
돌봄 로봇 등 이른바 '에이지 테크' 산업에 3천억 원을 투입하겠다는 게 정부의 계획, 그러나 완전 상용화까지는 비싼 가격 등 넘어야 할 산이 남아 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 고영민/영상편집:김인수
도움이 필요한 고령자는 계속 늘고 있는데, 이들을 돌 볼 사람을 구하기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게 대한민국의 현실입니다.
이른바 '돌봄 공백'이 현실화하고 있는 건데요.
그 대안으로 '로봇'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보도에 강나루 기자입니다.
[리포트]
뇌출혈로 쓰러진 뒤 몸 한쪽을 제대로 쓸 수 없는 60대 남성입니다.
식사를 하기 힘들 정도로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제는 보행보조로봇 덕에 조금씩 걸을 수도 있습니다.
[이동규/69살 : "오른쪽이 마비다 보니까 힘들어요. 그런데 이런 걸 착용하니까 좀 걷기가 훨씬 낫고 생활하기 좋아요."]
몸이 불편한 고령자의 목욕이나 용변을 돕는 건 가족에게도 쉽지 않은 일, 로봇의 도움을 받으면 돌봄이 조금은 수월해집니다.
[송원경/국립재활원 재활보조기술연구과장 : "삶의 의욕이 생긴다고 할 정도로 단순 신체적인 돌봄뿐만 아니라 그런 정신적인 것까지 만져줄 수 있는 그런 기술들…."]
AI가 탑재된 이 로봇은 홀로 지내는 어르신들의 말벗이 되어줍니다.
우울감을 줄여주고 치매도 예방해 준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좋지요? 손님 오시니까 좋지요? 많이 좋지요?) 할아버지, 손님 오시면 정말 즐거워."]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위해 전등을 켜주거나.
["(전등 켜줘.) 네, 전등을 켜드릴게요."]
통신망이 연결돼 있어 돌봄 로봇에 긴급 구조 메시지도 보낼 수 있습니다.
["지금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해당 지역 어르신들은…"]
[김지희/돌봄로봇업체 대표 : "어르신께서 좋아하는 노래도 들려드리고 어르신이 이제 응급 상황이 됐었을 때 119도 호출할 수가 있는…."]
돌봄 로봇 등 이른바 '에이지 테크' 산업에 3천억 원을 투입하겠다는 게 정부의 계획, 그러나 완전 상용화까지는 비싼 가격 등 넘어야 할 산이 남아 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 고영민/영상편집:김인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돌봄 공백’ 메워주는 착한 ‘로봇’
-
- 입력 2025-05-19 06:35:55
- 수정2025-05-19 08:02:08

[앵커]
도움이 필요한 고령자는 계속 늘고 있는데, 이들을 돌 볼 사람을 구하기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게 대한민국의 현실입니다.
이른바 '돌봄 공백'이 현실화하고 있는 건데요.
그 대안으로 '로봇'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보도에 강나루 기자입니다.
[리포트]
뇌출혈로 쓰러진 뒤 몸 한쪽을 제대로 쓸 수 없는 60대 남성입니다.
식사를 하기 힘들 정도로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제는 보행보조로봇 덕에 조금씩 걸을 수도 있습니다.
[이동규/69살 : "오른쪽이 마비다 보니까 힘들어요. 그런데 이런 걸 착용하니까 좀 걷기가 훨씬 낫고 생활하기 좋아요."]
몸이 불편한 고령자의 목욕이나 용변을 돕는 건 가족에게도 쉽지 않은 일, 로봇의 도움을 받으면 돌봄이 조금은 수월해집니다.
[송원경/국립재활원 재활보조기술연구과장 : "삶의 의욕이 생긴다고 할 정도로 단순 신체적인 돌봄뿐만 아니라 그런 정신적인 것까지 만져줄 수 있는 그런 기술들…."]
AI가 탑재된 이 로봇은 홀로 지내는 어르신들의 말벗이 되어줍니다.
우울감을 줄여주고 치매도 예방해 준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좋지요? 손님 오시니까 좋지요? 많이 좋지요?) 할아버지, 손님 오시면 정말 즐거워."]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위해 전등을 켜주거나.
["(전등 켜줘.) 네, 전등을 켜드릴게요."]
통신망이 연결돼 있어 돌봄 로봇에 긴급 구조 메시지도 보낼 수 있습니다.
["지금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해당 지역 어르신들은…"]
[김지희/돌봄로봇업체 대표 : "어르신께서 좋아하는 노래도 들려드리고 어르신이 이제 응급 상황이 됐었을 때 119도 호출할 수가 있는…."]
돌봄 로봇 등 이른바 '에이지 테크' 산업에 3천억 원을 투입하겠다는 게 정부의 계획, 그러나 완전 상용화까지는 비싼 가격 등 넘어야 할 산이 남아 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 고영민/영상편집:김인수
도움이 필요한 고령자는 계속 늘고 있는데, 이들을 돌 볼 사람을 구하기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게 대한민국의 현실입니다.
이른바 '돌봄 공백'이 현실화하고 있는 건데요.
그 대안으로 '로봇'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보도에 강나루 기자입니다.
[리포트]
뇌출혈로 쓰러진 뒤 몸 한쪽을 제대로 쓸 수 없는 60대 남성입니다.
식사를 하기 힘들 정도로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제는 보행보조로봇 덕에 조금씩 걸을 수도 있습니다.
[이동규/69살 : "오른쪽이 마비다 보니까 힘들어요. 그런데 이런 걸 착용하니까 좀 걷기가 훨씬 낫고 생활하기 좋아요."]
몸이 불편한 고령자의 목욕이나 용변을 돕는 건 가족에게도 쉽지 않은 일, 로봇의 도움을 받으면 돌봄이 조금은 수월해집니다.
[송원경/국립재활원 재활보조기술연구과장 : "삶의 의욕이 생긴다고 할 정도로 단순 신체적인 돌봄뿐만 아니라 그런 정신적인 것까지 만져줄 수 있는 그런 기술들…."]
AI가 탑재된 이 로봇은 홀로 지내는 어르신들의 말벗이 되어줍니다.
우울감을 줄여주고 치매도 예방해 준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좋지요? 손님 오시니까 좋지요? 많이 좋지요?) 할아버지, 손님 오시면 정말 즐거워."]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위해 전등을 켜주거나.
["(전등 켜줘.) 네, 전등을 켜드릴게요."]
통신망이 연결돼 있어 돌봄 로봇에 긴급 구조 메시지도 보낼 수 있습니다.
["지금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해당 지역 어르신들은…"]
[김지희/돌봄로봇업체 대표 : "어르신께서 좋아하는 노래도 들려드리고 어르신이 이제 응급 상황이 됐었을 때 119도 호출할 수가 있는…."]
돌봄 로봇 등 이른바 '에이지 테크' 산업에 3천억 원을 투입하겠다는 게 정부의 계획, 그러나 완전 상용화까지는 비싼 가격 등 넘어야 할 산이 남아 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 고영민/영상편집:김인수
-
-
강나루 기자 naru@kbs.co.kr
강나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