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휴전 기한 없어” vs 파키스탄 “18일 종료”…주장 갈려
입력 2025.05.19 (11:48)
수정 2025.05.19 (11: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규모 무력 충돌로 전면전 직전까지 갔다 휴전한 인도와 파키스탄이 휴전 기한을 놓고 서로 다른 주장을 펴고 있습니다.
현지시각 19일 타임스오브인디아 등에 따르면 인도와 파키스탄은 지난 10일 휴전에 합의했고, 지난 12일에는 양국 군사작전국장(DGMO)이 전화 통화해 휴전을 계속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샤크 다르 파키스탄 부총리 겸 외무장관은 지난 15일 파키스탄 의회에 출석해 두 나라가 지난 18일까지 휴전을 이어가기로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때문에 18일이 지나면 두 나라가 다시 교전을 재개할 것인지를 놓고 불안감이 커진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전날 인도군은 적대 행위 중단에 합의와 관련해 “만료일이 없다”며 현재의 상태가 계속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양국 군 간 특별한 대화는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처럼 휴전 기한을 놓고 두 나라 간 주장이 다른 상황에서 파키스탄군의 주장대로면 지난 18일로 휴전이 끝났지만, 지난밤 두 나라 사이 교전이 벌어졌단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다르 파키스탄 부총리는 이날 중국 베이징으로 출국해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과 만날 예정입니다.
이번 인도와 파키스탄 무력 충돌에서 중국은 양국 고위급과 잇따라 통화하며 두 나라가 휴전할 수 있도록 중재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현지시각 19일 타임스오브인디아 등에 따르면 인도와 파키스탄은 지난 10일 휴전에 합의했고, 지난 12일에는 양국 군사작전국장(DGMO)이 전화 통화해 휴전을 계속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샤크 다르 파키스탄 부총리 겸 외무장관은 지난 15일 파키스탄 의회에 출석해 두 나라가 지난 18일까지 휴전을 이어가기로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때문에 18일이 지나면 두 나라가 다시 교전을 재개할 것인지를 놓고 불안감이 커진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전날 인도군은 적대 행위 중단에 합의와 관련해 “만료일이 없다”며 현재의 상태가 계속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양국 군 간 특별한 대화는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처럼 휴전 기한을 놓고 두 나라 간 주장이 다른 상황에서 파키스탄군의 주장대로면 지난 18일로 휴전이 끝났지만, 지난밤 두 나라 사이 교전이 벌어졌단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다르 파키스탄 부총리는 이날 중국 베이징으로 출국해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과 만날 예정입니다.
이번 인도와 파키스탄 무력 충돌에서 중국은 양국 고위급과 잇따라 통화하며 두 나라가 휴전할 수 있도록 중재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도 “휴전 기한 없어” vs 파키스탄 “18일 종료”…주장 갈려
-
- 입력 2025-05-19 11:48:51
- 수정2025-05-19 11:53:26

대규모 무력 충돌로 전면전 직전까지 갔다 휴전한 인도와 파키스탄이 휴전 기한을 놓고 서로 다른 주장을 펴고 있습니다.
현지시각 19일 타임스오브인디아 등에 따르면 인도와 파키스탄은 지난 10일 휴전에 합의했고, 지난 12일에는 양국 군사작전국장(DGMO)이 전화 통화해 휴전을 계속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샤크 다르 파키스탄 부총리 겸 외무장관은 지난 15일 파키스탄 의회에 출석해 두 나라가 지난 18일까지 휴전을 이어가기로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때문에 18일이 지나면 두 나라가 다시 교전을 재개할 것인지를 놓고 불안감이 커진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전날 인도군은 적대 행위 중단에 합의와 관련해 “만료일이 없다”며 현재의 상태가 계속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양국 군 간 특별한 대화는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처럼 휴전 기한을 놓고 두 나라 간 주장이 다른 상황에서 파키스탄군의 주장대로면 지난 18일로 휴전이 끝났지만, 지난밤 두 나라 사이 교전이 벌어졌단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다르 파키스탄 부총리는 이날 중국 베이징으로 출국해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과 만날 예정입니다.
이번 인도와 파키스탄 무력 충돌에서 중국은 양국 고위급과 잇따라 통화하며 두 나라가 휴전할 수 있도록 중재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현지시각 19일 타임스오브인디아 등에 따르면 인도와 파키스탄은 지난 10일 휴전에 합의했고, 지난 12일에는 양국 군사작전국장(DGMO)이 전화 통화해 휴전을 계속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샤크 다르 파키스탄 부총리 겸 외무장관은 지난 15일 파키스탄 의회에 출석해 두 나라가 지난 18일까지 휴전을 이어가기로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때문에 18일이 지나면 두 나라가 다시 교전을 재개할 것인지를 놓고 불안감이 커진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전날 인도군은 적대 행위 중단에 합의와 관련해 “만료일이 없다”며 현재의 상태가 계속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양국 군 간 특별한 대화는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처럼 휴전 기한을 놓고 두 나라 간 주장이 다른 상황에서 파키스탄군의 주장대로면 지난 18일로 휴전이 끝났지만, 지난밤 두 나라 사이 교전이 벌어졌단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다르 파키스탄 부총리는 이날 중국 베이징으로 출국해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과 만날 예정입니다.
이번 인도와 파키스탄 무력 충돌에서 중국은 양국 고위급과 잇따라 통화하며 두 나라가 휴전할 수 있도록 중재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
양민효 기자 gonggam@kbs.co.kr
양민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