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파키스탄 외무장관 초청…“전략적 소통 강화할 것”

입력 2025.05.19 (17:08) 수정 2025.05.19 (17: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이 카슈미르 지역 등에서 갈등을 겪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파키스탄 외무장관을 초청해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9일 브리핑에서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외교부장 겸임) 초청으로 이샤크 다르 파키스탄 부총리 겸 외무장관이 19일부터 21일까지 중국을 방문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마오 대변인은 “중국과 파키스탄은 전천후 전략 협력 동반자로, 양국은 고위급 교류와 영역별 협력이 긴밀하다”며 “중국은 이번 방문을 계기로 파키스탄과 전략적 소통·협조를 강화하고 영역별 교류·협력을 심화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르 부총리의 방중이 최근 벌어진 인도와 파키스탄 간 충돌과 관련된 것인지 묻는 질문에 대해 마오 대변인은 “우리는 인도·파키스탄과 계속 소통을 유지하면서 전면적·지속적 휴전 실현과 지역 평화·안정 유지를 위해 건설적 역할을 할 용의가 있다”고 답했습니다.

또 인도군 관계자가 최근 중국이 파키스탄에 방공망과 위성 지원을 했으며 중국 무기가 평균 이하의 성과를 냈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서 마오 대변인은 “인도와 파키스탄은 모두 중국의 중요한 이웃 국가로, 중국은 인도·파키스탄과의 관계를 매우 중시한다”며 “인도·파키스탄 정세가 긴장된 이래 중국은 객관적이고 공정한 입장을 유지하면서 양국에 냉정과 자제력 유지를 호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중국은 파키스탄의 주요 무기 공급국으로,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파키스탄 무기 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81%였습니다.

아울러 중국은 대규모 일대일로 투자 등을 토대로 최근 파키스탄과 관계를 강화해 왔습니다.

반면 중국과 인도는 1962년 국경 문제로 전쟁까지 치른 바 있습니다.

2020년에는 카슈미르 지역의 라다크에서 중국군과 인도군이 충돌하면서 양측 군인 수십 명이 사망하기도 했습니다.

중국은 라다크와 인접한 카슈미르 내 또다른 지역 악사이친을 1962년 전쟁 때 점령한 이후 실효 지배 중입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파키스탄 외무장관 초청…“전략적 소통 강화할 것”
    • 입력 2025-05-19 17:08:38
    • 수정2025-05-19 17:11:01
    국제
인도와 파키스탄이 카슈미르 지역 등에서 갈등을 겪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파키스탄 외무장관을 초청해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9일 브리핑에서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외교부장 겸임) 초청으로 이샤크 다르 파키스탄 부총리 겸 외무장관이 19일부터 21일까지 중국을 방문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마오 대변인은 “중국과 파키스탄은 전천후 전략 협력 동반자로, 양국은 고위급 교류와 영역별 협력이 긴밀하다”며 “중국은 이번 방문을 계기로 파키스탄과 전략적 소통·협조를 강화하고 영역별 교류·협력을 심화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르 부총리의 방중이 최근 벌어진 인도와 파키스탄 간 충돌과 관련된 것인지 묻는 질문에 대해 마오 대변인은 “우리는 인도·파키스탄과 계속 소통을 유지하면서 전면적·지속적 휴전 실현과 지역 평화·안정 유지를 위해 건설적 역할을 할 용의가 있다”고 답했습니다.

또 인도군 관계자가 최근 중국이 파키스탄에 방공망과 위성 지원을 했으며 중국 무기가 평균 이하의 성과를 냈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서 마오 대변인은 “인도와 파키스탄은 모두 중국의 중요한 이웃 국가로, 중국은 인도·파키스탄과의 관계를 매우 중시한다”며 “인도·파키스탄 정세가 긴장된 이래 중국은 객관적이고 공정한 입장을 유지하면서 양국에 냉정과 자제력 유지를 호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중국은 파키스탄의 주요 무기 공급국으로,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파키스탄 무기 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81%였습니다.

아울러 중국은 대규모 일대일로 투자 등을 토대로 최근 파키스탄과 관계를 강화해 왔습니다.

반면 중국과 인도는 1962년 국경 문제로 전쟁까지 치른 바 있습니다.

2020년에는 카슈미르 지역의 라다크에서 중국군과 인도군이 충돌하면서 양측 군인 수십 명이 사망하기도 했습니다.

중국은 라다크와 인접한 카슈미르 내 또다른 지역 악사이친을 1962년 전쟁 때 점령한 이후 실효 지배 중입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