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믿을 편의점 유통기한…‘타임바코드’도 무용지물?
입력 2025.05.19 (18:15)
수정 2025.05.19 (18: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비싼 물가에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편의점 도시락 찾는 분들 많은데요.
도시락 유통기한을 속여 표시한 업체가 당국에 적발됐습니다.
편의점에서 바코드를 찍어서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을 걸러내는데 이마저도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김하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식약처 단속반이 공장 창고에 들어가 상자 안에 담긴 도시락을 살핍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관 : "5월 7일 수요일 14시 32분. 제조 일자 25년 5월 7일 19시."]
오후 2시에 만들었지만 5시간 뒤인 저녁 7시에 만든 것처럼 거짓으로 표시를 해 놓은 겁니다.
이렇게 조작된 제품은 도시락, 샌드위치, 햄버거 등 모두 천8백여 개였습니다.
평소 싼값에 편의점 도시락을 사 먹었던 소비자들은 황당하고 불안합니다.
[문시환/대학생 : "편의점 도시락은 즉석으로 제조되는 게 아니고 한참 동안 보관이 되잖아요. 유통기한이 지났다고 하면 많이 배신감이 들 것 같아요."]
편의점에는 도시락, 김밥, 샌드위치 등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의 경우 바코드를 찍으면 경고음이 울리는 '타임바코드' 시스템이 도입돼 있습니다.
하지만 애초에 제조 일자를 속여 팔면 '타임바코드'가 있어도 무용지물이 되는 겁니다.
전남 장성에 있는 적발 업체는 광주, 세종, 대구, 부산 등에까지 제품을 납품해 왔습니다.
적발 당시 제품들은 즉시 압류됐지만 적발 전에 얼마나 유통됐는지는 수사해 봐야 알 수 있습니다.
[백남이/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관리총괄과 사무관 : "원인 파악을 하고 자료가 제출되면 면밀히 검토해서 앞으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 관리를 강화하겠습니다."]
식약처는 이 업체를 식품표시 광고법 위반 혐의로 고발하고 관할 지자체에 행정 처분을 요청했습니다.
KBS 뉴스 김하은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영상편집:고응용
요즘 비싼 물가에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편의점 도시락 찾는 분들 많은데요.
도시락 유통기한을 속여 표시한 업체가 당국에 적발됐습니다.
편의점에서 바코드를 찍어서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을 걸러내는데 이마저도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김하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식약처 단속반이 공장 창고에 들어가 상자 안에 담긴 도시락을 살핍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관 : "5월 7일 수요일 14시 32분. 제조 일자 25년 5월 7일 19시."]
오후 2시에 만들었지만 5시간 뒤인 저녁 7시에 만든 것처럼 거짓으로 표시를 해 놓은 겁니다.
이렇게 조작된 제품은 도시락, 샌드위치, 햄버거 등 모두 천8백여 개였습니다.
평소 싼값에 편의점 도시락을 사 먹었던 소비자들은 황당하고 불안합니다.
[문시환/대학생 : "편의점 도시락은 즉석으로 제조되는 게 아니고 한참 동안 보관이 되잖아요. 유통기한이 지났다고 하면 많이 배신감이 들 것 같아요."]
편의점에는 도시락, 김밥, 샌드위치 등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의 경우 바코드를 찍으면 경고음이 울리는 '타임바코드' 시스템이 도입돼 있습니다.
하지만 애초에 제조 일자를 속여 팔면 '타임바코드'가 있어도 무용지물이 되는 겁니다.
전남 장성에 있는 적발 업체는 광주, 세종, 대구, 부산 등에까지 제품을 납품해 왔습니다.
적발 당시 제품들은 즉시 압류됐지만 적발 전에 얼마나 유통됐는지는 수사해 봐야 알 수 있습니다.
[백남이/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관리총괄과 사무관 : "원인 파악을 하고 자료가 제출되면 면밀히 검토해서 앞으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 관리를 강화하겠습니다."]
식약처는 이 업체를 식품표시 광고법 위반 혐의로 고발하고 관할 지자체에 행정 처분을 요청했습니다.
KBS 뉴스 김하은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영상편집:고응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못 믿을 편의점 유통기한…‘타임바코드’도 무용지물?
-
- 입력 2025-05-19 18:15:23
- 수정2025-05-19 18:40:06

[앵커]
요즘 비싼 물가에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편의점 도시락 찾는 분들 많은데요.
도시락 유통기한을 속여 표시한 업체가 당국에 적발됐습니다.
편의점에서 바코드를 찍어서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을 걸러내는데 이마저도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김하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식약처 단속반이 공장 창고에 들어가 상자 안에 담긴 도시락을 살핍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관 : "5월 7일 수요일 14시 32분. 제조 일자 25년 5월 7일 19시."]
오후 2시에 만들었지만 5시간 뒤인 저녁 7시에 만든 것처럼 거짓으로 표시를 해 놓은 겁니다.
이렇게 조작된 제품은 도시락, 샌드위치, 햄버거 등 모두 천8백여 개였습니다.
평소 싼값에 편의점 도시락을 사 먹었던 소비자들은 황당하고 불안합니다.
[문시환/대학생 : "편의점 도시락은 즉석으로 제조되는 게 아니고 한참 동안 보관이 되잖아요. 유통기한이 지났다고 하면 많이 배신감이 들 것 같아요."]
편의점에는 도시락, 김밥, 샌드위치 등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의 경우 바코드를 찍으면 경고음이 울리는 '타임바코드' 시스템이 도입돼 있습니다.
하지만 애초에 제조 일자를 속여 팔면 '타임바코드'가 있어도 무용지물이 되는 겁니다.
전남 장성에 있는 적발 업체는 광주, 세종, 대구, 부산 등에까지 제품을 납품해 왔습니다.
적발 당시 제품들은 즉시 압류됐지만 적발 전에 얼마나 유통됐는지는 수사해 봐야 알 수 있습니다.
[백남이/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관리총괄과 사무관 : "원인 파악을 하고 자료가 제출되면 면밀히 검토해서 앞으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 관리를 강화하겠습니다."]
식약처는 이 업체를 식품표시 광고법 위반 혐의로 고발하고 관할 지자체에 행정 처분을 요청했습니다.
KBS 뉴스 김하은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영상편집:고응용
요즘 비싼 물가에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편의점 도시락 찾는 분들 많은데요.
도시락 유통기한을 속여 표시한 업체가 당국에 적발됐습니다.
편의점에서 바코드를 찍어서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을 걸러내는데 이마저도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김하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식약처 단속반이 공장 창고에 들어가 상자 안에 담긴 도시락을 살핍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관 : "5월 7일 수요일 14시 32분. 제조 일자 25년 5월 7일 19시."]
오후 2시에 만들었지만 5시간 뒤인 저녁 7시에 만든 것처럼 거짓으로 표시를 해 놓은 겁니다.
이렇게 조작된 제품은 도시락, 샌드위치, 햄버거 등 모두 천8백여 개였습니다.
평소 싼값에 편의점 도시락을 사 먹었던 소비자들은 황당하고 불안합니다.
[문시환/대학생 : "편의점 도시락은 즉석으로 제조되는 게 아니고 한참 동안 보관이 되잖아요. 유통기한이 지났다고 하면 많이 배신감이 들 것 같아요."]
편의점에는 도시락, 김밥, 샌드위치 등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의 경우 바코드를 찍으면 경고음이 울리는 '타임바코드' 시스템이 도입돼 있습니다.
하지만 애초에 제조 일자를 속여 팔면 '타임바코드'가 있어도 무용지물이 되는 겁니다.
전남 장성에 있는 적발 업체는 광주, 세종, 대구, 부산 등에까지 제품을 납품해 왔습니다.
적발 당시 제품들은 즉시 압류됐지만 적발 전에 얼마나 유통됐는지는 수사해 봐야 알 수 있습니다.
[백남이/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관리총괄과 사무관 : "원인 파악을 하고 자료가 제출되면 면밀히 검토해서 앞으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 관리를 강화하겠습니다."]
식약처는 이 업체를 식품표시 광고법 위반 혐의로 고발하고 관할 지자체에 행정 처분을 요청했습니다.
KBS 뉴스 김하은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영상편집:고응용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