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개헌, 장기 집권 시도”…“김문수 개헌, 선거용 얕은 술수”
입력 2025.05.19 (19:06)
수정 2025.05.19 (19: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일제히 띄운 개헌안을 두고 정치권 공방이 뜨겁습니다.
이 후보는 4년 연임제와 결선투표제 도입을, 김 후보는 임기 단축 개헌안 내놨는데, 각 후보 진영에선 서로의 개헌안을 두고 맞붙었습니다.
방준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제시한 개헌안은 대통령 4년 연임제와 국회의 총리 추천, 계엄 선포 요건 강화 등을 담았습니다.
여기에 김문수 후보는 차기 대통령 임기 3년으로 단축과 4년 중임제, 대통령 불소추 특권 폐지하는 등의 개헌안을 역제안했습니다.
개헌 논의가 다시 본격화할 조짐을 보이자 양 후보 측은 서로의 개헌안을 두고 신경전에 나섰습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후보의 '연임제'를 두고 장기 집권 시도라고 주장했습니다.
[나경원/국민의힘 선대위 공동선대위원장 : "이재명 후보가 슬쩍 끼워 넣은 연임 두 글자에 푸틴의 그림자가 어른거립니다. 연임은 장기 집권을 가능케 하는 혹세무민의 단어입니다."]
권력 분산보다는 정치적 셈법을 위한 개헌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김용태/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 "겉으로는 권력을 분산하겠다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행정부 견제 장치를 무력화하고 입법 권력을 의회 다수당 중심으로 집중시키겠다는 설계입니다."]
민주당은 연임제 지적은 정략적 공격이라며 차기 대통령은 마지막 5년 단임제가 될 거라고 말했습니다.
[강금실/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총괄선대위원장 : "연임제는 대통령에게 중임제보다 더 불리합니다. 그럼에도, 이 후보의 연임 표현을 장기 집권 의도라고 공격하는 것은 어불성설이고…."]
김 후보가 개헌을 논할 자격이 없다고도 날을 세웠습니다.
[윤여준/더불어민주당 상임총괄선대위원장 : "사죄 맨 앞에 윤석열 전 대통령을 세워야 합니다. 대국민 사과 없는 개헌 주장은 불리한 선거 국면을 모면해 보려는 얕은 술수에 불과합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개헌과 관련해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방준원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김유진
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일제히 띄운 개헌안을 두고 정치권 공방이 뜨겁습니다.
이 후보는 4년 연임제와 결선투표제 도입을, 김 후보는 임기 단축 개헌안 내놨는데, 각 후보 진영에선 서로의 개헌안을 두고 맞붙었습니다.
방준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제시한 개헌안은 대통령 4년 연임제와 국회의 총리 추천, 계엄 선포 요건 강화 등을 담았습니다.
여기에 김문수 후보는 차기 대통령 임기 3년으로 단축과 4년 중임제, 대통령 불소추 특권 폐지하는 등의 개헌안을 역제안했습니다.
개헌 논의가 다시 본격화할 조짐을 보이자 양 후보 측은 서로의 개헌안을 두고 신경전에 나섰습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후보의 '연임제'를 두고 장기 집권 시도라고 주장했습니다.
[나경원/국민의힘 선대위 공동선대위원장 : "이재명 후보가 슬쩍 끼워 넣은 연임 두 글자에 푸틴의 그림자가 어른거립니다. 연임은 장기 집권을 가능케 하는 혹세무민의 단어입니다."]
권력 분산보다는 정치적 셈법을 위한 개헌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김용태/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 "겉으로는 권력을 분산하겠다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행정부 견제 장치를 무력화하고 입법 권력을 의회 다수당 중심으로 집중시키겠다는 설계입니다."]
민주당은 연임제 지적은 정략적 공격이라며 차기 대통령은 마지막 5년 단임제가 될 거라고 말했습니다.
[강금실/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총괄선대위원장 : "연임제는 대통령에게 중임제보다 더 불리합니다. 그럼에도, 이 후보의 연임 표현을 장기 집권 의도라고 공격하는 것은 어불성설이고…."]
김 후보가 개헌을 논할 자격이 없다고도 날을 세웠습니다.
[윤여준/더불어민주당 상임총괄선대위원장 : "사죄 맨 앞에 윤석열 전 대통령을 세워야 합니다. 대국민 사과 없는 개헌 주장은 불리한 선거 국면을 모면해 보려는 얕은 술수에 불과합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개헌과 관련해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방준원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김유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재명 개헌, 장기 집권 시도”…“김문수 개헌, 선거용 얕은 술수”
-
- 입력 2025-05-19 19:06:46
- 수정2025-05-19 19:59:00

[앵커]
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일제히 띄운 개헌안을 두고 정치권 공방이 뜨겁습니다.
이 후보는 4년 연임제와 결선투표제 도입을, 김 후보는 임기 단축 개헌안 내놨는데, 각 후보 진영에선 서로의 개헌안을 두고 맞붙었습니다.
방준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제시한 개헌안은 대통령 4년 연임제와 국회의 총리 추천, 계엄 선포 요건 강화 등을 담았습니다.
여기에 김문수 후보는 차기 대통령 임기 3년으로 단축과 4년 중임제, 대통령 불소추 특권 폐지하는 등의 개헌안을 역제안했습니다.
개헌 논의가 다시 본격화할 조짐을 보이자 양 후보 측은 서로의 개헌안을 두고 신경전에 나섰습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후보의 '연임제'를 두고 장기 집권 시도라고 주장했습니다.
[나경원/국민의힘 선대위 공동선대위원장 : "이재명 후보가 슬쩍 끼워 넣은 연임 두 글자에 푸틴의 그림자가 어른거립니다. 연임은 장기 집권을 가능케 하는 혹세무민의 단어입니다."]
권력 분산보다는 정치적 셈법을 위한 개헌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김용태/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 "겉으로는 권력을 분산하겠다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행정부 견제 장치를 무력화하고 입법 권력을 의회 다수당 중심으로 집중시키겠다는 설계입니다."]
민주당은 연임제 지적은 정략적 공격이라며 차기 대통령은 마지막 5년 단임제가 될 거라고 말했습니다.
[강금실/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총괄선대위원장 : "연임제는 대통령에게 중임제보다 더 불리합니다. 그럼에도, 이 후보의 연임 표현을 장기 집권 의도라고 공격하는 것은 어불성설이고…."]
김 후보가 개헌을 논할 자격이 없다고도 날을 세웠습니다.
[윤여준/더불어민주당 상임총괄선대위원장 : "사죄 맨 앞에 윤석열 전 대통령을 세워야 합니다. 대국민 사과 없는 개헌 주장은 불리한 선거 국면을 모면해 보려는 얕은 술수에 불과합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개헌과 관련해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방준원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김유진
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일제히 띄운 개헌안을 두고 정치권 공방이 뜨겁습니다.
이 후보는 4년 연임제와 결선투표제 도입을, 김 후보는 임기 단축 개헌안 내놨는데, 각 후보 진영에선 서로의 개헌안을 두고 맞붙었습니다.
방준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제시한 개헌안은 대통령 4년 연임제와 국회의 총리 추천, 계엄 선포 요건 강화 등을 담았습니다.
여기에 김문수 후보는 차기 대통령 임기 3년으로 단축과 4년 중임제, 대통령 불소추 특권 폐지하는 등의 개헌안을 역제안했습니다.
개헌 논의가 다시 본격화할 조짐을 보이자 양 후보 측은 서로의 개헌안을 두고 신경전에 나섰습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후보의 '연임제'를 두고 장기 집권 시도라고 주장했습니다.
[나경원/국민의힘 선대위 공동선대위원장 : "이재명 후보가 슬쩍 끼워 넣은 연임 두 글자에 푸틴의 그림자가 어른거립니다. 연임은 장기 집권을 가능케 하는 혹세무민의 단어입니다."]
권력 분산보다는 정치적 셈법을 위한 개헌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김용태/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 "겉으로는 권력을 분산하겠다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행정부 견제 장치를 무력화하고 입법 권력을 의회 다수당 중심으로 집중시키겠다는 설계입니다."]
민주당은 연임제 지적은 정략적 공격이라며 차기 대통령은 마지막 5년 단임제가 될 거라고 말했습니다.
[강금실/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총괄선대위원장 : "연임제는 대통령에게 중임제보다 더 불리합니다. 그럼에도, 이 후보의 연임 표현을 장기 집권 의도라고 공격하는 것은 어불성설이고…."]
김 후보가 개헌을 논할 자격이 없다고도 날을 세웠습니다.
[윤여준/더불어민주당 상임총괄선대위원장 : "사죄 맨 앞에 윤석열 전 대통령을 세워야 합니다. 대국민 사과 없는 개헌 주장은 불리한 선거 국면을 모면해 보려는 얕은 술수에 불과합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개헌과 관련해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방준원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김유진
-
-
방준원 기자 pcbang@kbs.co.kr
방준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제 21대 대통령 선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