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통제 실패” 젠슨 황 비판에도…백악관 “대중국 AI 칩 수출 확대는 안보 위협”

입력 2025.05.22 (10:03) 수정 2025.05.22 (10: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대중국 첨단 반도체 수출 규제 조치가 실패했다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작심 발언에도 불구하고 미국 정부의 수출 규제는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의 인공지능(AI) 수석 정책 고문 스리람 크리슈난은 현지 시각 21일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우리는 분명히 젠슨 황에 대해 큰 존경심을 갖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고성능 반도체 칩인) GPU가 물리적으로 중국 내부에 들어가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에 대해서는 초당적이고 광범위한 우려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크리슈난 고문은 트럼프 행정부가 여전히 중국에 대한 AI 칩 수출 확대는 안보 위험을 불러올 것이라고 보지만, 미국의 다른 무역 상대국에 대한 광범위한 수출 제한은 재검토해야 한다는 황 CEO의 견해에는 동의한다고 했습니다.

그는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에 대해서는 GPU부터 AI 모델, 그리고 관련한 모든 것이 미국의 AI 기술로 이루어지길 원한다”면서 “그 점에 대해서는 젠슨과 저, 그리고 우리 모두 동의하는 부분”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크리슈난 고문은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순방 기간 미국 기업들이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에서 발표한 프로젝트가 급증한 것을 예로 들었습니다.

그러면서 이 협력 사업에는 첨단 기술이 중국이나 다른 적대국에 불법적으로 이전되는 것을 막는 보안 규정이 여전히 포함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이 협력 사업이나 GPU는 주로 미국의 하이퍼스케일러(대규모 데이터센터 보유 회사)와 미국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미국 기업에 의해 운영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크리슈난 고문의 이 같은 발언은 황 CEO가 미국 정부를 향해 강력한 공개 발언을 한 지 몇시간 만에 나왔습니다.

황 CEO는 이날 타이완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미디어 Q&A’ 행사에서 “(미국의) 수출 통제는 실패했다. 팩트들이 그것을 말해주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황 CEO는 “우리는 수출 규제로 H20 제품을 중국에 출하할 수 없게 됐고, 그 결과 수십억 달러 규모의 재고를 전액 손실 처리해야 했다”고 토로했습니다.

이어 “중국 시장은 매우 중요하다. 중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컴퓨팅 시장이며, 내년 AI 시장 전체가 약 500억 달러 규모일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또 “중국은 전 세계 AI 개발자의 50%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들이 아키텍처를 개발할 때 엔비디아, 또는 적어도 미국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잊지 말아야 할 점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기술 기업 중 하나인 화웨이가 빠르게 혁신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그들은 우리가 중국에 돌아오지 않길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황 CEO는 “지금의 정책 방향은 잘못됐다고 생각한다”며 “미국 정부가 이 금지가 효과적이지 않다는 점을 인식하고 현장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 즉 ‘현장의 진실’이 정책결정자들에게 영향을 줘 우리가 다시 중국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정책이 바뀌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출 통제 실패” 젠슨 황 비판에도…백악관 “대중국 AI 칩 수출 확대는 안보 위협”
    • 입력 2025-05-22 10:03:58
    • 수정2025-05-22 10:06:47
    국제
미국의 대중국 첨단 반도체 수출 규제 조치가 실패했다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작심 발언에도 불구하고 미국 정부의 수출 규제는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의 인공지능(AI) 수석 정책 고문 스리람 크리슈난은 현지 시각 21일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우리는 분명히 젠슨 황에 대해 큰 존경심을 갖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고성능 반도체 칩인) GPU가 물리적으로 중국 내부에 들어가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에 대해서는 초당적이고 광범위한 우려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크리슈난 고문은 트럼프 행정부가 여전히 중국에 대한 AI 칩 수출 확대는 안보 위험을 불러올 것이라고 보지만, 미국의 다른 무역 상대국에 대한 광범위한 수출 제한은 재검토해야 한다는 황 CEO의 견해에는 동의한다고 했습니다.

그는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에 대해서는 GPU부터 AI 모델, 그리고 관련한 모든 것이 미국의 AI 기술로 이루어지길 원한다”면서 “그 점에 대해서는 젠슨과 저, 그리고 우리 모두 동의하는 부분”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크리슈난 고문은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순방 기간 미국 기업들이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에서 발표한 프로젝트가 급증한 것을 예로 들었습니다.

그러면서 이 협력 사업에는 첨단 기술이 중국이나 다른 적대국에 불법적으로 이전되는 것을 막는 보안 규정이 여전히 포함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이 협력 사업이나 GPU는 주로 미국의 하이퍼스케일러(대규모 데이터센터 보유 회사)와 미국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미국 기업에 의해 운영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크리슈난 고문의 이 같은 발언은 황 CEO가 미국 정부를 향해 강력한 공개 발언을 한 지 몇시간 만에 나왔습니다.

황 CEO는 이날 타이완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미디어 Q&A’ 행사에서 “(미국의) 수출 통제는 실패했다. 팩트들이 그것을 말해주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황 CEO는 “우리는 수출 규제로 H20 제품을 중국에 출하할 수 없게 됐고, 그 결과 수십억 달러 규모의 재고를 전액 손실 처리해야 했다”고 토로했습니다.

이어 “중국 시장은 매우 중요하다. 중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컴퓨팅 시장이며, 내년 AI 시장 전체가 약 500억 달러 규모일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또 “중국은 전 세계 AI 개발자의 50%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들이 아키텍처를 개발할 때 엔비디아, 또는 적어도 미국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잊지 말아야 할 점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기술 기업 중 하나인 화웨이가 빠르게 혁신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그들은 우리가 중국에 돌아오지 않길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황 CEO는 “지금의 정책 방향은 잘못됐다고 생각한다”며 “미국 정부가 이 금지가 효과적이지 않다는 점을 인식하고 현장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 즉 ‘현장의 진실’이 정책결정자들에게 영향을 줘 우리가 다시 중국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정책이 바뀌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