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 국가들’ 다시 충돌 격화…“인도군, 파키스탄인 1명 사살” [지금뉴스]
입력 2025.05.25 (17: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면전 직전까지 갔던 인도와 파키스탄이 휴전 상태를 이어가는 가운데 파키스탄인 1명이 인도와 국경 지역에서 인도군에 의해 사살돼 양국 간 긴장이 다시 높아지고 있습니다.
25일(현지시각) AFP 통신과 인도 타임스오브인디아(ToI),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지난 23일 밤 인도 서북부 구자라트주 바나스칸타 지역 국경을 넘은 파키스탄인 남성 1명을 사살했다고 인도 국경수비대(BSF)가 전날 밝혔습니다.
BSF는 성명을 통해 "의심스러운 사람 1명"이 국경을 넘어서 인도 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BSF 병력이 "침입자에게 검문을 시도했지만, 그가 계속 다가와서 발포를 촉발했다"면서 "침입자는 현장에서 무력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BSF는 머리가 희끗희끗한 사망자의 시신 사진도 공개했습니다.
이에 대해 파키스탄 정부 관리들은 인도가 사망자의 구체적인 신원을 밝히지 않았으며 관련 언급이 "모호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한 파키스탄 관리는 사망자가 어떻게 그렇게 멀리 국경까지 갔는지 의문을 제기하면서 사망 경위와 신원을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파키스탄 남동부 신드주와 국경을 접한 구자라트주는 마약 밀매의 중심지로 다수의 파키스탄 마약 밀매범들이 현지에서 체포되거나 사살되고 수백만 달러 상당의 마약이 압수된 바 있다고 가디언은 소개했습니다.
한편 약 2주째 휴전 상태를 이어가는 인도와 파키스탄이 세계 각국에 외교 대표단을 각각 파견, 국제사회 여론을 자국에 유리하게 이끌려는 여론전을 시작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습니다.
인도는 이번 주 러시아·스페인, 그리스 등 유럽과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남미 등 지역의 약 30개국에 외교관과 의원 등으로 구성된 7개 대표단을 파견했습니다.
이들은 지난달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26명의 희생자를 낳은 테러 공격에 파키스탄이 연루됐다는 의혹을 상대국 정부에 제기할 것이라고 대표단의 일원인 라지브 쿠마르 라이 의원이 전했습니다.
인도 정부는 또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에 파키스탄에 대한 새로운 조치를 촉구할 계획입니다.
파키스탄은 2022년에 FATF의 테러 자금 지원국 명단에서 빠지면서 무역·투자 접근성이 개선된 바 있는데, 인도 측은 파키스탄을 해당 명단에 다시 올려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파키스탄도 이에 맞서 유럽 3개국과 미국에 관리 7명을 파견해 이번 충돌에서 인도가 아니라 자국이 피해자임을 홍보하기로 했습니다.
파키스탄 대표단은 또 양국 간 평화적인 물 이용을 규정한 인더스강 조약의 효력을 인도가 일방적으로 중단한 것의 부당함을 알릴 예정입니다.
앞서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관광객 등 26명이 사망하는 총기 테러가 발생하자 인도는 테러의 배후에 파키스탄이 있다며 각종 제재를 가했습니다.
이후 두 나라는 미사일을 주고받으며 전면전 직전까지 갔다가 지난 10일 극적으로 휴전에 합의했지만, 인도가 인더스강 조약 효력 중단을 유지하고 있어 양국 간 긴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25일(현지시각) AFP 통신과 인도 타임스오브인디아(ToI),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지난 23일 밤 인도 서북부 구자라트주 바나스칸타 지역 국경을 넘은 파키스탄인 남성 1명을 사살했다고 인도 국경수비대(BSF)가 전날 밝혔습니다.
BSF는 성명을 통해 "의심스러운 사람 1명"이 국경을 넘어서 인도 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BSF 병력이 "침입자에게 검문을 시도했지만, 그가 계속 다가와서 발포를 촉발했다"면서 "침입자는 현장에서 무력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BSF는 머리가 희끗희끗한 사망자의 시신 사진도 공개했습니다.
이에 대해 파키스탄 정부 관리들은 인도가 사망자의 구체적인 신원을 밝히지 않았으며 관련 언급이 "모호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한 파키스탄 관리는 사망자가 어떻게 그렇게 멀리 국경까지 갔는지 의문을 제기하면서 사망 경위와 신원을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파키스탄 남동부 신드주와 국경을 접한 구자라트주는 마약 밀매의 중심지로 다수의 파키스탄 마약 밀매범들이 현지에서 체포되거나 사살되고 수백만 달러 상당의 마약이 압수된 바 있다고 가디언은 소개했습니다.
한편 약 2주째 휴전 상태를 이어가는 인도와 파키스탄이 세계 각국에 외교 대표단을 각각 파견, 국제사회 여론을 자국에 유리하게 이끌려는 여론전을 시작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습니다.
인도는 이번 주 러시아·스페인, 그리스 등 유럽과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남미 등 지역의 약 30개국에 외교관과 의원 등으로 구성된 7개 대표단을 파견했습니다.
이들은 지난달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26명의 희생자를 낳은 테러 공격에 파키스탄이 연루됐다는 의혹을 상대국 정부에 제기할 것이라고 대표단의 일원인 라지브 쿠마르 라이 의원이 전했습니다.
인도 정부는 또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에 파키스탄에 대한 새로운 조치를 촉구할 계획입니다.
파키스탄은 2022년에 FATF의 테러 자금 지원국 명단에서 빠지면서 무역·투자 접근성이 개선된 바 있는데, 인도 측은 파키스탄을 해당 명단에 다시 올려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파키스탄도 이에 맞서 유럽 3개국과 미국에 관리 7명을 파견해 이번 충돌에서 인도가 아니라 자국이 피해자임을 홍보하기로 했습니다.
파키스탄 대표단은 또 양국 간 평화적인 물 이용을 규정한 인더스강 조약의 효력을 인도가 일방적으로 중단한 것의 부당함을 알릴 예정입니다.
앞서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관광객 등 26명이 사망하는 총기 테러가 발생하자 인도는 테러의 배후에 파키스탄이 있다며 각종 제재를 가했습니다.
이후 두 나라는 미사일을 주고받으며 전면전 직전까지 갔다가 지난 10일 극적으로 휴전에 합의했지만, 인도가 인더스강 조약 효력 중단을 유지하고 있어 양국 간 긴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핵 국가들’ 다시 충돌 격화…“인도군, 파키스탄인 1명 사살” [지금뉴스]
-
- 입력 2025-05-25 17:39:39

전면전 직전까지 갔던 인도와 파키스탄이 휴전 상태를 이어가는 가운데 파키스탄인 1명이 인도와 국경 지역에서 인도군에 의해 사살돼 양국 간 긴장이 다시 높아지고 있습니다.
25일(현지시각) AFP 통신과 인도 타임스오브인디아(ToI),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지난 23일 밤 인도 서북부 구자라트주 바나스칸타 지역 국경을 넘은 파키스탄인 남성 1명을 사살했다고 인도 국경수비대(BSF)가 전날 밝혔습니다.
BSF는 성명을 통해 "의심스러운 사람 1명"이 국경을 넘어서 인도 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BSF 병력이 "침입자에게 검문을 시도했지만, 그가 계속 다가와서 발포를 촉발했다"면서 "침입자는 현장에서 무력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BSF는 머리가 희끗희끗한 사망자의 시신 사진도 공개했습니다.
이에 대해 파키스탄 정부 관리들은 인도가 사망자의 구체적인 신원을 밝히지 않았으며 관련 언급이 "모호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한 파키스탄 관리는 사망자가 어떻게 그렇게 멀리 국경까지 갔는지 의문을 제기하면서 사망 경위와 신원을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파키스탄 남동부 신드주와 국경을 접한 구자라트주는 마약 밀매의 중심지로 다수의 파키스탄 마약 밀매범들이 현지에서 체포되거나 사살되고 수백만 달러 상당의 마약이 압수된 바 있다고 가디언은 소개했습니다.
한편 약 2주째 휴전 상태를 이어가는 인도와 파키스탄이 세계 각국에 외교 대표단을 각각 파견, 국제사회 여론을 자국에 유리하게 이끌려는 여론전을 시작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습니다.
인도는 이번 주 러시아·스페인, 그리스 등 유럽과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남미 등 지역의 약 30개국에 외교관과 의원 등으로 구성된 7개 대표단을 파견했습니다.
이들은 지난달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26명의 희생자를 낳은 테러 공격에 파키스탄이 연루됐다는 의혹을 상대국 정부에 제기할 것이라고 대표단의 일원인 라지브 쿠마르 라이 의원이 전했습니다.
인도 정부는 또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에 파키스탄에 대한 새로운 조치를 촉구할 계획입니다.
파키스탄은 2022년에 FATF의 테러 자금 지원국 명단에서 빠지면서 무역·투자 접근성이 개선된 바 있는데, 인도 측은 파키스탄을 해당 명단에 다시 올려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파키스탄도 이에 맞서 유럽 3개국과 미국에 관리 7명을 파견해 이번 충돌에서 인도가 아니라 자국이 피해자임을 홍보하기로 했습니다.
파키스탄 대표단은 또 양국 간 평화적인 물 이용을 규정한 인더스강 조약의 효력을 인도가 일방적으로 중단한 것의 부당함을 알릴 예정입니다.
앞서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관광객 등 26명이 사망하는 총기 테러가 발생하자 인도는 테러의 배후에 파키스탄이 있다며 각종 제재를 가했습니다.
이후 두 나라는 미사일을 주고받으며 전면전 직전까지 갔다가 지난 10일 극적으로 휴전에 합의했지만, 인도가 인더스강 조약 효력 중단을 유지하고 있어 양국 간 긴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25일(현지시각) AFP 통신과 인도 타임스오브인디아(ToI),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지난 23일 밤 인도 서북부 구자라트주 바나스칸타 지역 국경을 넘은 파키스탄인 남성 1명을 사살했다고 인도 국경수비대(BSF)가 전날 밝혔습니다.
BSF는 성명을 통해 "의심스러운 사람 1명"이 국경을 넘어서 인도 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BSF 병력이 "침입자에게 검문을 시도했지만, 그가 계속 다가와서 발포를 촉발했다"면서 "침입자는 현장에서 무력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BSF는 머리가 희끗희끗한 사망자의 시신 사진도 공개했습니다.
이에 대해 파키스탄 정부 관리들은 인도가 사망자의 구체적인 신원을 밝히지 않았으며 관련 언급이 "모호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한 파키스탄 관리는 사망자가 어떻게 그렇게 멀리 국경까지 갔는지 의문을 제기하면서 사망 경위와 신원을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파키스탄 남동부 신드주와 국경을 접한 구자라트주는 마약 밀매의 중심지로 다수의 파키스탄 마약 밀매범들이 현지에서 체포되거나 사살되고 수백만 달러 상당의 마약이 압수된 바 있다고 가디언은 소개했습니다.
한편 약 2주째 휴전 상태를 이어가는 인도와 파키스탄이 세계 각국에 외교 대표단을 각각 파견, 국제사회 여론을 자국에 유리하게 이끌려는 여론전을 시작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습니다.
인도는 이번 주 러시아·스페인, 그리스 등 유럽과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남미 등 지역의 약 30개국에 외교관과 의원 등으로 구성된 7개 대표단을 파견했습니다.
이들은 지난달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26명의 희생자를 낳은 테러 공격에 파키스탄이 연루됐다는 의혹을 상대국 정부에 제기할 것이라고 대표단의 일원인 라지브 쿠마르 라이 의원이 전했습니다.
인도 정부는 또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에 파키스탄에 대한 새로운 조치를 촉구할 계획입니다.
파키스탄은 2022년에 FATF의 테러 자금 지원국 명단에서 빠지면서 무역·투자 접근성이 개선된 바 있는데, 인도 측은 파키스탄을 해당 명단에 다시 올려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파키스탄도 이에 맞서 유럽 3개국과 미국에 관리 7명을 파견해 이번 충돌에서 인도가 아니라 자국이 피해자임을 홍보하기로 했습니다.
파키스탄 대표단은 또 양국 간 평화적인 물 이용을 규정한 인더스강 조약의 효력을 인도가 일방적으로 중단한 것의 부당함을 알릴 예정입니다.
앞서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관광객 등 26명이 사망하는 총기 테러가 발생하자 인도는 테러의 배후에 파키스탄이 있다며 각종 제재를 가했습니다.
이후 두 나라는 미사일을 주고받으며 전면전 직전까지 갔다가 지난 10일 극적으로 휴전에 합의했지만, 인도가 인더스강 조약 효력 중단을 유지하고 있어 양국 간 긴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
-
신선민 기자 freshmin@kbs.co.kr
신선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