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수요 증가에…메타, 미국 원전 기업 콘스텔레이션과 20년 계약
입력 2025.06.04 (04:04)
수정 2025.06.04 (04: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은 미국 콘스텔레이션 에너지(Constellation Energy)와 20년간 원전 에너지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현지 시각 3일 밝혔습니다.
최근 빅테크 기업들이 인공지능(AI) 가동에 필요한 데이터 센터 전력 확보에 나선 가운데 메타가 원전 기업과 계약을 체결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메타는 이번 계약에 따라 2027년 6월부터 일리노이주에 위치한 콘스텔레이션의 클린턴 청정에너지 센터(Clinton Clean Energy Center)에서 약 1.1GW(기가와트) 규모의 전력을 구매하게 됩니다.
구체적인 계약 조건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1GW는 약 100만 가구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으로, 콘스텔레이션은 미국 최대 원전 사업자입니다.
콘스텔레이션은 또 클린턴 발전소의 생산량 증대에 투자하게 됩니다.
이 기업은 이미 두 번째 원자로에 대한 연방 정부 승인을 받은 데 이어 추가 원자로 건설 계획도 검토 중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지난해 9월 콘스텔레이션과 미국 역사상 최악의 원전 사고가 발생한 스리마일섬 원전의 재가동으로 생산되는 전력을 20년간 공급받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구글은 최근 신규 원자력 발전소 3곳 개발에 자금 지원을 약속했고, 작년에는 소형 모듈 원자로(SMR) 개발사인 카이로스 파워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아마존은 지난해 3월 서스쿼해나(Susquehanna) 원전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데이터 센터를 인수하고 2023년 10월에는 SMR 개발에 5억 달러 이상을 투자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최근 빅테크 기업들이 인공지능(AI) 가동에 필요한 데이터 센터 전력 확보에 나선 가운데 메타가 원전 기업과 계약을 체결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메타는 이번 계약에 따라 2027년 6월부터 일리노이주에 위치한 콘스텔레이션의 클린턴 청정에너지 센터(Clinton Clean Energy Center)에서 약 1.1GW(기가와트) 규모의 전력을 구매하게 됩니다.
구체적인 계약 조건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1GW는 약 100만 가구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으로, 콘스텔레이션은 미국 최대 원전 사업자입니다.
콘스텔레이션은 또 클린턴 발전소의 생산량 증대에 투자하게 됩니다.
이 기업은 이미 두 번째 원자로에 대한 연방 정부 승인을 받은 데 이어 추가 원자로 건설 계획도 검토 중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지난해 9월 콘스텔레이션과 미국 역사상 최악의 원전 사고가 발생한 스리마일섬 원전의 재가동으로 생산되는 전력을 20년간 공급받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구글은 최근 신규 원자력 발전소 3곳 개발에 자금 지원을 약속했고, 작년에는 소형 모듈 원자로(SMR) 개발사인 카이로스 파워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아마존은 지난해 3월 서스쿼해나(Susquehanna) 원전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데이터 센터를 인수하고 2023년 10월에는 SMR 개발에 5억 달러 이상을 투자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I 수요 증가에…메타, 미국 원전 기업 콘스텔레이션과 20년 계약
-
- 입력 2025-06-04 04:04:37
- 수정2025-06-04 04:08:02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은 미국 콘스텔레이션 에너지(Constellation Energy)와 20년간 원전 에너지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현지 시각 3일 밝혔습니다.
최근 빅테크 기업들이 인공지능(AI) 가동에 필요한 데이터 센터 전력 확보에 나선 가운데 메타가 원전 기업과 계약을 체결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메타는 이번 계약에 따라 2027년 6월부터 일리노이주에 위치한 콘스텔레이션의 클린턴 청정에너지 센터(Clinton Clean Energy Center)에서 약 1.1GW(기가와트) 규모의 전력을 구매하게 됩니다.
구체적인 계약 조건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1GW는 약 100만 가구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으로, 콘스텔레이션은 미국 최대 원전 사업자입니다.
콘스텔레이션은 또 클린턴 발전소의 생산량 증대에 투자하게 됩니다.
이 기업은 이미 두 번째 원자로에 대한 연방 정부 승인을 받은 데 이어 추가 원자로 건설 계획도 검토 중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지난해 9월 콘스텔레이션과 미국 역사상 최악의 원전 사고가 발생한 스리마일섬 원전의 재가동으로 생산되는 전력을 20년간 공급받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구글은 최근 신규 원자력 발전소 3곳 개발에 자금 지원을 약속했고, 작년에는 소형 모듈 원자로(SMR) 개발사인 카이로스 파워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아마존은 지난해 3월 서스쿼해나(Susquehanna) 원전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데이터 센터를 인수하고 2023년 10월에는 SMR 개발에 5억 달러 이상을 투자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최근 빅테크 기업들이 인공지능(AI) 가동에 필요한 데이터 센터 전력 확보에 나선 가운데 메타가 원전 기업과 계약을 체결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메타는 이번 계약에 따라 2027년 6월부터 일리노이주에 위치한 콘스텔레이션의 클린턴 청정에너지 센터(Clinton Clean Energy Center)에서 약 1.1GW(기가와트) 규모의 전력을 구매하게 됩니다.
구체적인 계약 조건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1GW는 약 100만 가구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으로, 콘스텔레이션은 미국 최대 원전 사업자입니다.
콘스텔레이션은 또 클린턴 발전소의 생산량 증대에 투자하게 됩니다.
이 기업은 이미 두 번째 원자로에 대한 연방 정부 승인을 받은 데 이어 추가 원자로 건설 계획도 검토 중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지난해 9월 콘스텔레이션과 미국 역사상 최악의 원전 사고가 발생한 스리마일섬 원전의 재가동으로 생산되는 전력을 20년간 공급받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구글은 최근 신규 원자력 발전소 3곳 개발에 자금 지원을 약속했고, 작년에는 소형 모듈 원자로(SMR) 개발사인 카이로스 파워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아마존은 지난해 3월 서스쿼해나(Susquehanna) 원전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데이터 센터를 인수하고 2023년 10월에는 SMR 개발에 5억 달러 이상을 투자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김진화 기자 evolution@kbs.co.kr
김진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