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 만에 파업 종료…기본급 3% 인상 합의
입력 2025.06.20 (19:31)
수정 2025.06.20 (20: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광주 시내버스 파업이 2주 만에 끝났습니다.
임금 인상폭을 두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던 노사가 오늘 기본급 3% 인상과 정년 1년 연장에 합의했습니다.
시내버스 운행은 내일 첫차부터 정상화 될 예정입니다.
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5일 첫 파업에 돌입한 광주 시내버스 노조.
파업 2주만에 사측과 임금 및 단체협약에 합의하고 내일 첫차부터 정상 운행하기로 했습니다.
노사는 기본급 3% 인상과 정년을 62세로 1년 연장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월 평균 459만 원 수준인 운전원 임금은 13만 원가량 오르게 됩니다.
[한진욱/광주지역버스노조 부위원장 : "시민들의 불편도 너무 크고 광주시가 시내버스 기사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서 최선을 다해서 노력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에."]
파업은 종료됐지만, 시내버스 준공영제 등 구조적인 문제는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광주시는 가칭 대중교통혁신회의를 구성해 준공영제 개선 방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근로자 처우 개선과 버스 요금 현실화 등을 논의합니다.
광주 시내버스 요금은 카드 기준 천 250원으로 전국 특광역시 중 가장 낮습니다.
[강기정/광주시장 : "전국에서 가장 낮은 요금을 동결해놓고 버스 노동자들의 요구나 준공영제 지원금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생각에 도달했습니다."]
대중교통, 자전거, 보행자 중심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광주시, 광주의 교통 여건에 맞는 합리적인 준공영제 개편안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영상편집:이성훈
광주 시내버스 파업이 2주 만에 끝났습니다.
임금 인상폭을 두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던 노사가 오늘 기본급 3% 인상과 정년 1년 연장에 합의했습니다.
시내버스 운행은 내일 첫차부터 정상화 될 예정입니다.
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5일 첫 파업에 돌입한 광주 시내버스 노조.
파업 2주만에 사측과 임금 및 단체협약에 합의하고 내일 첫차부터 정상 운행하기로 했습니다.
노사는 기본급 3% 인상과 정년을 62세로 1년 연장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월 평균 459만 원 수준인 운전원 임금은 13만 원가량 오르게 됩니다.
[한진욱/광주지역버스노조 부위원장 : "시민들의 불편도 너무 크고 광주시가 시내버스 기사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서 최선을 다해서 노력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에."]
파업은 종료됐지만, 시내버스 준공영제 등 구조적인 문제는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광주시는 가칭 대중교통혁신회의를 구성해 준공영제 개선 방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근로자 처우 개선과 버스 요금 현실화 등을 논의합니다.
광주 시내버스 요금은 카드 기준 천 250원으로 전국 특광역시 중 가장 낮습니다.
[강기정/광주시장 : "전국에서 가장 낮은 요금을 동결해놓고 버스 노동자들의 요구나 준공영제 지원금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생각에 도달했습니다."]
대중교통, 자전거, 보행자 중심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광주시, 광주의 교통 여건에 맞는 합리적인 준공영제 개편안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영상편집:이성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주 만에 파업 종료…기본급 3% 인상 합의
-
- 입력 2025-06-20 19:31:36
- 수정2025-06-20 20:03:39

[앵커]
광주 시내버스 파업이 2주 만에 끝났습니다.
임금 인상폭을 두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던 노사가 오늘 기본급 3% 인상과 정년 1년 연장에 합의했습니다.
시내버스 운행은 내일 첫차부터 정상화 될 예정입니다.
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5일 첫 파업에 돌입한 광주 시내버스 노조.
파업 2주만에 사측과 임금 및 단체협약에 합의하고 내일 첫차부터 정상 운행하기로 했습니다.
노사는 기본급 3% 인상과 정년을 62세로 1년 연장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월 평균 459만 원 수준인 운전원 임금은 13만 원가량 오르게 됩니다.
[한진욱/광주지역버스노조 부위원장 : "시민들의 불편도 너무 크고 광주시가 시내버스 기사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서 최선을 다해서 노력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에."]
파업은 종료됐지만, 시내버스 준공영제 등 구조적인 문제는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광주시는 가칭 대중교통혁신회의를 구성해 준공영제 개선 방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근로자 처우 개선과 버스 요금 현실화 등을 논의합니다.
광주 시내버스 요금은 카드 기준 천 250원으로 전국 특광역시 중 가장 낮습니다.
[강기정/광주시장 : "전국에서 가장 낮은 요금을 동결해놓고 버스 노동자들의 요구나 준공영제 지원금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생각에 도달했습니다."]
대중교통, 자전거, 보행자 중심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광주시, 광주의 교통 여건에 맞는 합리적인 준공영제 개편안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영상편집:이성훈
광주 시내버스 파업이 2주 만에 끝났습니다.
임금 인상폭을 두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던 노사가 오늘 기본급 3% 인상과 정년 1년 연장에 합의했습니다.
시내버스 운행은 내일 첫차부터 정상화 될 예정입니다.
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5일 첫 파업에 돌입한 광주 시내버스 노조.
파업 2주만에 사측과 임금 및 단체협약에 합의하고 내일 첫차부터 정상 운행하기로 했습니다.
노사는 기본급 3% 인상과 정년을 62세로 1년 연장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월 평균 459만 원 수준인 운전원 임금은 13만 원가량 오르게 됩니다.
[한진욱/광주지역버스노조 부위원장 : "시민들의 불편도 너무 크고 광주시가 시내버스 기사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서 최선을 다해서 노력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에."]
파업은 종료됐지만, 시내버스 준공영제 등 구조적인 문제는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광주시는 가칭 대중교통혁신회의를 구성해 준공영제 개선 방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근로자 처우 개선과 버스 요금 현실화 등을 논의합니다.
광주 시내버스 요금은 카드 기준 천 250원으로 전국 특광역시 중 가장 낮습니다.
[강기정/광주시장 : "전국에서 가장 낮은 요금을 동결해놓고 버스 노동자들의 요구나 준공영제 지원금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생각에 도달했습니다."]
대중교통, 자전거, 보행자 중심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광주시, 광주의 교통 여건에 맞는 합리적인 준공영제 개편안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영상편집:이성훈
-
-
김호 기자 kh@kbs.co.kr
김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