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단신] “김용태 ‘4·3 남로당 총파업’ 발언 역사 왜곡” 외
입력 2025.06.23 (19:24)
수정 2025.06.23 (19: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주요 단신입니다.
최근 제주를 찾은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4·3은 남로당 총파업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이라고 발언한 것을 놓고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국회의원은 논평을 내고 "역사적으로 남로당 총파업은 없었고 도민사회 전체가 좌우익 가리지 않고 함께 참여한 민·관 총파업만 있었다"며, "국가 공권력에 의해 자행된 무고한 희생을 공산 세력 진압 과정으로 치부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민주당 제주도당도 논평에서 "김 위원장의 망언은 진상조사보고서를 부정하고, 4·3 희생자와 유족의 명예를 짓밟은 행태"라며 사죄와 재발 방지 약속을 촉구했습니다.
4·3 일반재판 수형인 20명 29차 직권재심 청구
'제주4·3사건 직권재심 합동수행단'은 제주4·3사건 관련 일반재판 수형인 20명에 대한 29차 직권재심을 법원에 청구했다고 밝혔습니다.
합동수행단은 2023년 5월부터 현재까지 일반재판 수형인 412명에 대한 직권재심을 청구했고, 이 가운데 262명이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군사재판 수형인 역시 2022년부터 천711명에 대한 직권재심이 청구돼 전원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정부 협의 완료
제주도는 전국에서 처음 시행하는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 사업과 관련해 정부와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가 완료됐다고 밝혔습니다.
제주도는 이에따라 건강주치의 사업 시행을 위한 조례 정비와 예산 확보 등 후속 절차 진행에 나섰습니다.
다만 이번 사회보장제도 신설은 조건부로 협의가 된 만큼 2년 동안의 시범사업 뒤 성과를 평가해 사업의 지속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제주 해수욕장 10곳 조기 개장…불법촬영 점검
도내 지정 해수욕장 10곳이 내일 문을 엽니다.
제주도는 올해 해수욕장 조기 개장 대상을 기존 6곳에서 12곳으로 확대해 내일부터 함덕해수욕장 등 10곳에서 피서객들을 맞고, 안전관리요원도 투입합니다.
해수욕장 편의용품 가격도 파라솔 2만 원, 평상 3만 원으로 지난해 수준으로 동결했습니다.
한편, 해수욕장과 수영장에서의 불법촬영 피해를 막기 위해 제주도 자치경찰단은 서귀포시 해수욕장 5곳을 우선 점검한 뒤, 점검 대상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목뼈 부상 10명 중 1명 ‘얕은 물 다이빙’
제주한라병원 연구팀이 2018년 8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목뼈 손상으로 치료받은 환자 350여 명을 분석한 결과 34명이 수심 1.5m 이하 얕은 물에서 다이빙을 하다 사고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이빙 사고는 10건 중 6건꼴로 여름 휴가철인 7~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고, 다친 사람의 97%가 남성으로 특히 약 15%는 술을 마시고 뛰어들었다가 다친 사례였습니다.
최근 제주를 찾은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4·3은 남로당 총파업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이라고 발언한 것을 놓고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국회의원은 논평을 내고 "역사적으로 남로당 총파업은 없었고 도민사회 전체가 좌우익 가리지 않고 함께 참여한 민·관 총파업만 있었다"며, "국가 공권력에 의해 자행된 무고한 희생을 공산 세력 진압 과정으로 치부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민주당 제주도당도 논평에서 "김 위원장의 망언은 진상조사보고서를 부정하고, 4·3 희생자와 유족의 명예를 짓밟은 행태"라며 사죄와 재발 방지 약속을 촉구했습니다.
4·3 일반재판 수형인 20명 29차 직권재심 청구
'제주4·3사건 직권재심 합동수행단'은 제주4·3사건 관련 일반재판 수형인 20명에 대한 29차 직권재심을 법원에 청구했다고 밝혔습니다.
합동수행단은 2023년 5월부터 현재까지 일반재판 수형인 412명에 대한 직권재심을 청구했고, 이 가운데 262명이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군사재판 수형인 역시 2022년부터 천711명에 대한 직권재심이 청구돼 전원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정부 협의 완료
제주도는 전국에서 처음 시행하는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 사업과 관련해 정부와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가 완료됐다고 밝혔습니다.
제주도는 이에따라 건강주치의 사업 시행을 위한 조례 정비와 예산 확보 등 후속 절차 진행에 나섰습니다.
다만 이번 사회보장제도 신설은 조건부로 협의가 된 만큼 2년 동안의 시범사업 뒤 성과를 평가해 사업의 지속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제주 해수욕장 10곳 조기 개장…불법촬영 점검
도내 지정 해수욕장 10곳이 내일 문을 엽니다.
제주도는 올해 해수욕장 조기 개장 대상을 기존 6곳에서 12곳으로 확대해 내일부터 함덕해수욕장 등 10곳에서 피서객들을 맞고, 안전관리요원도 투입합니다.
해수욕장 편의용품 가격도 파라솔 2만 원, 평상 3만 원으로 지난해 수준으로 동결했습니다.
한편, 해수욕장과 수영장에서의 불법촬영 피해를 막기 위해 제주도 자치경찰단은 서귀포시 해수욕장 5곳을 우선 점검한 뒤, 점검 대상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목뼈 부상 10명 중 1명 ‘얕은 물 다이빙’
제주한라병원 연구팀이 2018년 8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목뼈 손상으로 치료받은 환자 350여 명을 분석한 결과 34명이 수심 1.5m 이하 얕은 물에서 다이빙을 하다 사고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이빙 사고는 10건 중 6건꼴로 여름 휴가철인 7~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고, 다친 사람의 97%가 남성으로 특히 약 15%는 술을 마시고 뛰어들었다가 다친 사례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요 단신] “김용태 ‘4·3 남로당 총파업’ 발언 역사 왜곡” 외
-
- 입력 2025-06-23 19:24:36
- 수정2025-06-23 19:33:12

오늘의 주요 단신입니다.
최근 제주를 찾은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4·3은 남로당 총파업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이라고 발언한 것을 놓고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국회의원은 논평을 내고 "역사적으로 남로당 총파업은 없었고 도민사회 전체가 좌우익 가리지 않고 함께 참여한 민·관 총파업만 있었다"며, "국가 공권력에 의해 자행된 무고한 희생을 공산 세력 진압 과정으로 치부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민주당 제주도당도 논평에서 "김 위원장의 망언은 진상조사보고서를 부정하고, 4·3 희생자와 유족의 명예를 짓밟은 행태"라며 사죄와 재발 방지 약속을 촉구했습니다.
4·3 일반재판 수형인 20명 29차 직권재심 청구
'제주4·3사건 직권재심 합동수행단'은 제주4·3사건 관련 일반재판 수형인 20명에 대한 29차 직권재심을 법원에 청구했다고 밝혔습니다.
합동수행단은 2023년 5월부터 현재까지 일반재판 수형인 412명에 대한 직권재심을 청구했고, 이 가운데 262명이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군사재판 수형인 역시 2022년부터 천711명에 대한 직권재심이 청구돼 전원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정부 협의 완료
제주도는 전국에서 처음 시행하는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 사업과 관련해 정부와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가 완료됐다고 밝혔습니다.
제주도는 이에따라 건강주치의 사업 시행을 위한 조례 정비와 예산 확보 등 후속 절차 진행에 나섰습니다.
다만 이번 사회보장제도 신설은 조건부로 협의가 된 만큼 2년 동안의 시범사업 뒤 성과를 평가해 사업의 지속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제주 해수욕장 10곳 조기 개장…불법촬영 점검
도내 지정 해수욕장 10곳이 내일 문을 엽니다.
제주도는 올해 해수욕장 조기 개장 대상을 기존 6곳에서 12곳으로 확대해 내일부터 함덕해수욕장 등 10곳에서 피서객들을 맞고, 안전관리요원도 투입합니다.
해수욕장 편의용품 가격도 파라솔 2만 원, 평상 3만 원으로 지난해 수준으로 동결했습니다.
한편, 해수욕장과 수영장에서의 불법촬영 피해를 막기 위해 제주도 자치경찰단은 서귀포시 해수욕장 5곳을 우선 점검한 뒤, 점검 대상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목뼈 부상 10명 중 1명 ‘얕은 물 다이빙’
제주한라병원 연구팀이 2018년 8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목뼈 손상으로 치료받은 환자 350여 명을 분석한 결과 34명이 수심 1.5m 이하 얕은 물에서 다이빙을 하다 사고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이빙 사고는 10건 중 6건꼴로 여름 휴가철인 7~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고, 다친 사람의 97%가 남성으로 특히 약 15%는 술을 마시고 뛰어들었다가 다친 사례였습니다.
최근 제주를 찾은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4·3은 남로당 총파업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이라고 발언한 것을 놓고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국회의원은 논평을 내고 "역사적으로 남로당 총파업은 없었고 도민사회 전체가 좌우익 가리지 않고 함께 참여한 민·관 총파업만 있었다"며, "국가 공권력에 의해 자행된 무고한 희생을 공산 세력 진압 과정으로 치부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민주당 제주도당도 논평에서 "김 위원장의 망언은 진상조사보고서를 부정하고, 4·3 희생자와 유족의 명예를 짓밟은 행태"라며 사죄와 재발 방지 약속을 촉구했습니다.
4·3 일반재판 수형인 20명 29차 직권재심 청구
'제주4·3사건 직권재심 합동수행단'은 제주4·3사건 관련 일반재판 수형인 20명에 대한 29차 직권재심을 법원에 청구했다고 밝혔습니다.
합동수행단은 2023년 5월부터 현재까지 일반재판 수형인 412명에 대한 직권재심을 청구했고, 이 가운데 262명이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군사재판 수형인 역시 2022년부터 천711명에 대한 직권재심이 청구돼 전원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정부 협의 완료
제주도는 전국에서 처음 시행하는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 사업과 관련해 정부와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가 완료됐다고 밝혔습니다.
제주도는 이에따라 건강주치의 사업 시행을 위한 조례 정비와 예산 확보 등 후속 절차 진행에 나섰습니다.
다만 이번 사회보장제도 신설은 조건부로 협의가 된 만큼 2년 동안의 시범사업 뒤 성과를 평가해 사업의 지속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제주 해수욕장 10곳 조기 개장…불법촬영 점검
도내 지정 해수욕장 10곳이 내일 문을 엽니다.
제주도는 올해 해수욕장 조기 개장 대상을 기존 6곳에서 12곳으로 확대해 내일부터 함덕해수욕장 등 10곳에서 피서객들을 맞고, 안전관리요원도 투입합니다.
해수욕장 편의용품 가격도 파라솔 2만 원, 평상 3만 원으로 지난해 수준으로 동결했습니다.
한편, 해수욕장과 수영장에서의 불법촬영 피해를 막기 위해 제주도 자치경찰단은 서귀포시 해수욕장 5곳을 우선 점검한 뒤, 점검 대상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목뼈 부상 10명 중 1명 ‘얕은 물 다이빙’
제주한라병원 연구팀이 2018년 8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목뼈 손상으로 치료받은 환자 350여 명을 분석한 결과 34명이 수심 1.5m 이하 얕은 물에서 다이빙을 하다 사고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이빙 사고는 10건 중 6건꼴로 여름 휴가철인 7~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고, 다친 사람의 97%가 남성으로 특히 약 15%는 술을 마시고 뛰어들었다가 다친 사례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