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들에 달러 인기 ‘뚝’…기축통화 위상 흔들

입력 2025.06.25 (16:20) 수정 2025.06.25 (16: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 중앙은행들이 달러에서 벗어나 금, 유로, 중국 위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금융 시장에서 기축통화로서의 달러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는 평가 속에, 외환보유액을 관리하는 중앙은행들도 달러보다 금과 유로 등을 선호하는 모습입니다.

현지시각 24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싱크탱크인 ‘공식 통화와 금융 기관 포럼’(OMFIF)이 지난 3~5월 전 세계 75개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3곳 중 1곳이 향후 1~2년 내 금 보유를 늘릴 계획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는 금 보유를 줄일 계획이라고 답한 기관들을 제외한 수치로, 최근 5년 내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장기적으로도 금 보유는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나, 40%가 향후 10년에 걸쳐 금 보유를 늘릴 계획이라고 답했습니다.

해당 싱크탱크 보고서에서 “수년 동안 기록적인 중앙은행의 금 구매가 지속된 가운데 중앙은행들이 금에 투자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바면 지난해 조사에서 가장 선호됐던 달러는 올해 7위로 떨어졌습니다.

향후 1~2년 내 달러 보유를 늘리겠다는 응답 비율은 5%를 조금 밑돌았습니다.

70%가 미국 정치 환경이 달러 투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답했는데, 이는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 많아진 답변입니다.

중앙은행들의 달러 자산의 다각화로 유로와 위안이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설문조사에서 향후 1~2년 내 보유를 늘릴 것이라는 응답 비중을 보면 유로(16%)와 위안(14%)이 1, 2위를 차지했습니다.

유로화 보유를 확대할 계획이라는 비중은 지난해 7%의 배 이상으로 증가했습니다.

다만 향후 10년으로 확대하면 위안화가 더 선호됐습니다.

30%가 위안화 보유를 늘릴 것으로 예상했으며 글로벌 외환보유액에서 위안화 비중이 현재의 세 배인 6%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앙은행들에 달러 인기 ‘뚝’…기축통화 위상 흔들
    • 입력 2025-06-25 16:20:54
    • 수정2025-06-25 16:32:45
    국제
세계 중앙은행들이 달러에서 벗어나 금, 유로, 중국 위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금융 시장에서 기축통화로서의 달러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는 평가 속에, 외환보유액을 관리하는 중앙은행들도 달러보다 금과 유로 등을 선호하는 모습입니다.

현지시각 24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싱크탱크인 ‘공식 통화와 금융 기관 포럼’(OMFIF)이 지난 3~5월 전 세계 75개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3곳 중 1곳이 향후 1~2년 내 금 보유를 늘릴 계획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는 금 보유를 줄일 계획이라고 답한 기관들을 제외한 수치로, 최근 5년 내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장기적으로도 금 보유는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나, 40%가 향후 10년에 걸쳐 금 보유를 늘릴 계획이라고 답했습니다.

해당 싱크탱크 보고서에서 “수년 동안 기록적인 중앙은행의 금 구매가 지속된 가운데 중앙은행들이 금에 투자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바면 지난해 조사에서 가장 선호됐던 달러는 올해 7위로 떨어졌습니다.

향후 1~2년 내 달러 보유를 늘리겠다는 응답 비율은 5%를 조금 밑돌았습니다.

70%가 미국 정치 환경이 달러 투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답했는데, 이는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 많아진 답변입니다.

중앙은행들의 달러 자산의 다각화로 유로와 위안이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설문조사에서 향후 1~2년 내 보유를 늘릴 것이라는 응답 비중을 보면 유로(16%)와 위안(14%)이 1, 2위를 차지했습니다.

유로화 보유를 확대할 계획이라는 비중은 지난해 7%의 배 이상으로 증가했습니다.

다만 향후 10년으로 확대하면 위안화가 더 선호됐습니다.

30%가 위안화 보유를 늘릴 것으로 예상했으며 글로벌 외환보유액에서 위안화 비중이 현재의 세 배인 6%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