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마포·광진구 공표이후 최대 상승폭…서울 아파트값 21주 상승세

입력 2025.06.26 (14:00) 수정 2025.06.26 (14: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이 21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성동, 마포, 광진구가 공표 이후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은 지난 2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이 전주보다 0.43% 상승했다고 오늘(26일) 밝혔습니다.

이는 2018년 9월 둘째 주(9월 10일 기준, 0.45%) 이후 약 6년 9개월(353주) 만에 최대 상승 폭입니다.

한강벨트 지역인 성동구와 마포구는 1%에 가까운 상승 폭을 기록했는데, 부동산원의 주간가격동향이 처음 공표된 2013년 이후 최대 상승 폭입니다.

성동구(0.76%→0.99%), 마포구(0.66%→0.98%), 광진구(0.42%→0.59%)는 공표 시점인 2013년 1월 첫째 주 이후 649주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강남3구와 용산구도 0.7% 넘는 상승 폭을 나타냈습니다.

서초구(0.65%→0.77%), 강남구(0.75%→0.84%), 송파구(0.70%→0.88%), 용산구(0.61%→0.74%)는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서초구와 강남구는 지난 2018년 1월 넷째 주(서초 0.78%·강남 0.93%) 이후 386주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송파구도 지난 2018년 1월 셋째 주(1.39%) 이후 387주 만에 최대 상승 폭입니다.

이외 종로구(0.21%), 성북구(0.16%), 구로구(0.14%) 등도 상승세를 유지하며 서울 전 지역으로 상승세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인천과 경기는 각각 0.01%, 0.05% 상승을 기록했으며, 수도권 전체 상승률도 전주 대비 0.16% 상승했습니다.

반면 지방은 0.03% 하락했습니다. 5대 광역시는 0.05% 하락했고, 8개도도 전주와 마찬가지로 0.02% 하락률을 나타냈습니다.

세종 지역은 0.04% 상승했지만, 지난주 대비(0.1%) 상승 폭은 축소됐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9% 상승하는 등 수도권은 0.04% 상승했지만, 지방은 0.01% 하락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성동·마포·광진구 공표이후 최대 상승폭…서울 아파트값 21주 상승세
    • 입력 2025-06-26 14:00:06
    • 수정2025-06-26 14:02:24
    경제
서울 아파트값이 21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성동, 마포, 광진구가 공표 이후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은 지난 2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이 전주보다 0.43% 상승했다고 오늘(26일) 밝혔습니다.

이는 2018년 9월 둘째 주(9월 10일 기준, 0.45%) 이후 약 6년 9개월(353주) 만에 최대 상승 폭입니다.

한강벨트 지역인 성동구와 마포구는 1%에 가까운 상승 폭을 기록했는데, 부동산원의 주간가격동향이 처음 공표된 2013년 이후 최대 상승 폭입니다.

성동구(0.76%→0.99%), 마포구(0.66%→0.98%), 광진구(0.42%→0.59%)는 공표 시점인 2013년 1월 첫째 주 이후 649주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강남3구와 용산구도 0.7% 넘는 상승 폭을 나타냈습니다.

서초구(0.65%→0.77%), 강남구(0.75%→0.84%), 송파구(0.70%→0.88%), 용산구(0.61%→0.74%)는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서초구와 강남구는 지난 2018년 1월 넷째 주(서초 0.78%·강남 0.93%) 이후 386주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송파구도 지난 2018년 1월 셋째 주(1.39%) 이후 387주 만에 최대 상승 폭입니다.

이외 종로구(0.21%), 성북구(0.16%), 구로구(0.14%) 등도 상승세를 유지하며 서울 전 지역으로 상승세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인천과 경기는 각각 0.01%, 0.05% 상승을 기록했으며, 수도권 전체 상승률도 전주 대비 0.16% 상승했습니다.

반면 지방은 0.03% 하락했습니다. 5대 광역시는 0.05% 하락했고, 8개도도 전주와 마찬가지로 0.02% 하락률을 나타냈습니다.

세종 지역은 0.04% 상승했지만, 지난주 대비(0.1%) 상승 폭은 축소됐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9% 상승하는 등 수도권은 0.04% 상승했지만, 지방은 0.01% 하락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