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혁신도시 지역물품 구매 감소…지역 상인 분통
입력 2025.06.30 (10:49)
수정 2025.06.30 (15: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원주에 있는 강원혁신도시의 공공기관들이 지역 물품 구매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그런데, 올해 구매액이 지난해보다 188억 원이나 줄였습니다.
전국 12개 혁신도시 가운데 가장 큰 감소 폭입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358만㎡ 규모의 드넓은 신도시.
8년 전 준공된 강원혁신도십니다.
840억 원이 투입됐습니다.
현재 입주한 공공기관만 12개.
기업은 300개가 넘고, 상가도 가득합니다.
하지만, 지역 상인들은 불만이 큽니다.
경영난 속에 공공기관의 물품 구매마저 줄었기 때문입니다.
[양수현/원주 혁신도시 상인회장 : "힘든 입장에 있는 건 사실입니다. 공공 기업이라도 물품이라든가 구매를 지역사회에서 조금이라도 구매를 해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실제, 강원혁신도시 12개 공공기관은 올해 지역 물품 우선 구매 목표를 478억 원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실적보다 188억 원, 28%나 줄인 겁니다.
전국 12개 혁신도시에서 감소 폭이 가장 큽니다.
이는 규모가 비슷한 충북혁신도시가 4.8% 늘린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확연합니다.
공공기관들은 사업 규모 조정 등 불가피한 경영 사정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강원혁신도시 관계자/음성변조 : "지역에서 경비 시스템을 사용한다든지, 공사 자재를 산다든지, 소모품을 구매한다든지 했었는데 수요가 많이 줄어서."]
공공기관의 구매액은 앞으로 더 줄 수도 있다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지역과의 상생을 위한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최무현/상지대학교 공공인재학과 교수 : "처음에는 기대들이 있기 때문에 반짝 지역 경제가 활성화된다고 볼 수 있는데, 그것들이 유지가 되려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 강원도와 원주시는 공공기관과의 상생 협의체를 통해 지역 물품 구입을 확대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원주에 있는 강원혁신도시의 공공기관들이 지역 물품 구매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그런데, 올해 구매액이 지난해보다 188억 원이나 줄였습니다.
전국 12개 혁신도시 가운데 가장 큰 감소 폭입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358만㎡ 규모의 드넓은 신도시.
8년 전 준공된 강원혁신도십니다.
840억 원이 투입됐습니다.
현재 입주한 공공기관만 12개.
기업은 300개가 넘고, 상가도 가득합니다.
하지만, 지역 상인들은 불만이 큽니다.
경영난 속에 공공기관의 물품 구매마저 줄었기 때문입니다.
[양수현/원주 혁신도시 상인회장 : "힘든 입장에 있는 건 사실입니다. 공공 기업이라도 물품이라든가 구매를 지역사회에서 조금이라도 구매를 해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실제, 강원혁신도시 12개 공공기관은 올해 지역 물품 우선 구매 목표를 478억 원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실적보다 188억 원, 28%나 줄인 겁니다.
전국 12개 혁신도시에서 감소 폭이 가장 큽니다.
이는 규모가 비슷한 충북혁신도시가 4.8% 늘린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확연합니다.
공공기관들은 사업 규모 조정 등 불가피한 경영 사정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강원혁신도시 관계자/음성변조 : "지역에서 경비 시스템을 사용한다든지, 공사 자재를 산다든지, 소모품을 구매한다든지 했었는데 수요가 많이 줄어서."]
공공기관의 구매액은 앞으로 더 줄 수도 있다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지역과의 상생을 위한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최무현/상지대학교 공공인재학과 교수 : "처음에는 기대들이 있기 때문에 반짝 지역 경제가 활성화된다고 볼 수 있는데, 그것들이 유지가 되려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 강원도와 원주시는 공공기관과의 상생 협의체를 통해 지역 물품 구입을 확대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원혁신도시 지역물품 구매 감소…지역 상인 분통
-
- 입력 2025-06-30 10:49:25
- 수정2025-06-30 15:45:16

[앵커]
원주에 있는 강원혁신도시의 공공기관들이 지역 물품 구매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그런데, 올해 구매액이 지난해보다 188억 원이나 줄였습니다.
전국 12개 혁신도시 가운데 가장 큰 감소 폭입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358만㎡ 규모의 드넓은 신도시.
8년 전 준공된 강원혁신도십니다.
840억 원이 투입됐습니다.
현재 입주한 공공기관만 12개.
기업은 300개가 넘고, 상가도 가득합니다.
하지만, 지역 상인들은 불만이 큽니다.
경영난 속에 공공기관의 물품 구매마저 줄었기 때문입니다.
[양수현/원주 혁신도시 상인회장 : "힘든 입장에 있는 건 사실입니다. 공공 기업이라도 물품이라든가 구매를 지역사회에서 조금이라도 구매를 해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실제, 강원혁신도시 12개 공공기관은 올해 지역 물품 우선 구매 목표를 478억 원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실적보다 188억 원, 28%나 줄인 겁니다.
전국 12개 혁신도시에서 감소 폭이 가장 큽니다.
이는 규모가 비슷한 충북혁신도시가 4.8% 늘린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확연합니다.
공공기관들은 사업 규모 조정 등 불가피한 경영 사정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강원혁신도시 관계자/음성변조 : "지역에서 경비 시스템을 사용한다든지, 공사 자재를 산다든지, 소모품을 구매한다든지 했었는데 수요가 많이 줄어서."]
공공기관의 구매액은 앞으로 더 줄 수도 있다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지역과의 상생을 위한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최무현/상지대학교 공공인재학과 교수 : "처음에는 기대들이 있기 때문에 반짝 지역 경제가 활성화된다고 볼 수 있는데, 그것들이 유지가 되려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 강원도와 원주시는 공공기관과의 상생 협의체를 통해 지역 물품 구입을 확대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원주에 있는 강원혁신도시의 공공기관들이 지역 물품 구매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그런데, 올해 구매액이 지난해보다 188억 원이나 줄였습니다.
전국 12개 혁신도시 가운데 가장 큰 감소 폭입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358만㎡ 규모의 드넓은 신도시.
8년 전 준공된 강원혁신도십니다.
840억 원이 투입됐습니다.
현재 입주한 공공기관만 12개.
기업은 300개가 넘고, 상가도 가득합니다.
하지만, 지역 상인들은 불만이 큽니다.
경영난 속에 공공기관의 물품 구매마저 줄었기 때문입니다.
[양수현/원주 혁신도시 상인회장 : "힘든 입장에 있는 건 사실입니다. 공공 기업이라도 물품이라든가 구매를 지역사회에서 조금이라도 구매를 해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실제, 강원혁신도시 12개 공공기관은 올해 지역 물품 우선 구매 목표를 478억 원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실적보다 188억 원, 28%나 줄인 겁니다.
전국 12개 혁신도시에서 감소 폭이 가장 큽니다.
이는 규모가 비슷한 충북혁신도시가 4.8% 늘린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확연합니다.
공공기관들은 사업 규모 조정 등 불가피한 경영 사정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강원혁신도시 관계자/음성변조 : "지역에서 경비 시스템을 사용한다든지, 공사 자재를 산다든지, 소모품을 구매한다든지 했었는데 수요가 많이 줄어서."]
공공기관의 구매액은 앞으로 더 줄 수도 있다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지역과의 상생을 위한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최무현/상지대학교 공공인재학과 교수 : "처음에는 기대들이 있기 때문에 반짝 지역 경제가 활성화된다고 볼 수 있는데, 그것들이 유지가 되려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 강원도와 원주시는 공공기관과의 상생 협의체를 통해 지역 물품 구입을 확대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
-
김영준 기자 yjkim1@kbs.co.kr
김영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