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민해방군, 드론 대응 전투부대 창설 가능성”

입력 2025.07.07 (11:35) 수정 2025.07.07 (11: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인민해방군이 외부의 위협에 신속 대응할 수 있는 전문화한 드론 대응 전투부대를 창설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군 기관지 해방군보가 7일 보도했습니다.

이들 매체는 최근 몇 년 새 우크라이나 전쟁과 인도-파키스탄 분쟁, 이스라엘과 이란의 상호 공습 등에서 군 전력으로서 드론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중국군이 별도 드론 대응 전투부대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실제 미국이 드론을 활용한 ‘지옥도’(hellscape) 전략으로 타이완 방어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중국도 이에 대비한 드론 전략을 짜려 한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지옥도 전략은 중국군이 타이완 해협을 건너 돌발 공격을 해올 경우 미군이 타이완군과 함께 수천 대의 공중 드론과 무인 수상함·잠수함을 동원해 지옥 풍경이 그려질 정도로 가혹하게 대응하는 1차 방어선을 구축한다는 것이 골자입니다.

국제사회에선 시진핑 중국 주석의 5년간 ‘3기 집권’이 종료돼 제21차 공산당 전국 대표대회(당대회)에서 시 주석의 추가 집권 여부가 결정될 시점인 2027년 이전 중국의 타이완 침공 가능성을 우려합니다.

해방군보는 인민해방군 전문가들의 발언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베이징 당국이 타이완 해협을 통한 인민해방군의 공격을 억제하려는 미국의 지옥도 전략을 인지하고 있다”며 “드론 대응 (전담) 부대의 창설은 ‘장기적 목표’로, (인민해방군의) 현재 구조조정은 기존 전투 부대에 드론 대응 역량을 통합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이들 전문가는 전자전 부대를 업그레이드해 인공지능(AI) 기반 분석과 모바일 방해가 가능한 지능형 무인 대응 부대 창설 등을 제안했습니다.

이들은 이에 따라 “(미국·타이완의 지옥도 전략에 맞서려면) 딥러닝 등의 지능형 알고리즘을 활용해 방대한 데이터의 완전한 지능적인 융합 속 지휘를 바탕으로 대응책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무인 작전 대응을 국가 안보와 군사 전략으로 핵심으로 통합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해방군보는 “2016년 초 인민해방군 공군에 무인 소형 항공기를 탐지하고 무력화하는 임무를 맡은 특수부대를 창설했지만, 육군·공군·해군·로켓군 등에 아직 전문화한 대 드론 부대가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라고 보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홍콩 SCMP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인민해방군, 드론 대응 전투부대 창설 가능성”
    • 입력 2025-07-07 11:35:41
    • 수정2025-07-07 11:36:09
    국제
중국 인민해방군이 외부의 위협에 신속 대응할 수 있는 전문화한 드론 대응 전투부대를 창설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군 기관지 해방군보가 7일 보도했습니다.

이들 매체는 최근 몇 년 새 우크라이나 전쟁과 인도-파키스탄 분쟁, 이스라엘과 이란의 상호 공습 등에서 군 전력으로서 드론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중국군이 별도 드론 대응 전투부대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실제 미국이 드론을 활용한 ‘지옥도’(hellscape) 전략으로 타이완 방어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중국도 이에 대비한 드론 전략을 짜려 한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지옥도 전략은 중국군이 타이완 해협을 건너 돌발 공격을 해올 경우 미군이 타이완군과 함께 수천 대의 공중 드론과 무인 수상함·잠수함을 동원해 지옥 풍경이 그려질 정도로 가혹하게 대응하는 1차 방어선을 구축한다는 것이 골자입니다.

국제사회에선 시진핑 중국 주석의 5년간 ‘3기 집권’이 종료돼 제21차 공산당 전국 대표대회(당대회)에서 시 주석의 추가 집권 여부가 결정될 시점인 2027년 이전 중국의 타이완 침공 가능성을 우려합니다.

해방군보는 인민해방군 전문가들의 발언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베이징 당국이 타이완 해협을 통한 인민해방군의 공격을 억제하려는 미국의 지옥도 전략을 인지하고 있다”며 “드론 대응 (전담) 부대의 창설은 ‘장기적 목표’로, (인민해방군의) 현재 구조조정은 기존 전투 부대에 드론 대응 역량을 통합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이들 전문가는 전자전 부대를 업그레이드해 인공지능(AI) 기반 분석과 모바일 방해가 가능한 지능형 무인 대응 부대 창설 등을 제안했습니다.

이들은 이에 따라 “(미국·타이완의 지옥도 전략에 맞서려면) 딥러닝 등의 지능형 알고리즘을 활용해 방대한 데이터의 완전한 지능적인 융합 속 지휘를 바탕으로 대응책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무인 작전 대응을 국가 안보와 군사 전략으로 핵심으로 통합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해방군보는 “2016년 초 인민해방군 공군에 무인 소형 항공기를 탐지하고 무력화하는 임무를 맡은 특수부대를 창설했지만, 육군·공군·해군·로켓군 등에 아직 전문화한 대 드론 부대가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라고 보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홍콩 SCMP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