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무선이어폰 통화품질, 제품별 격차…가격 최대 14.5배 차이”

입력 2025.07.07 (12:00) 수정 2025.07.07 (1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선이어폰 제품마다 통화 품질이 크게 다르고, 가격은 최대 14.5배 차이 난다는 소비자원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유통 중인 무선이어폰 10개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 등을 시험·평가한 결과를 오늘(7일) 발표했습니다.

시험·평가 대상 제품은 보스의 QC Ultra Earbuds, 삼성전자의 Galaxy Buds3 Pro, 소니의 WF-1000XM5, 애플의 AirPods Pro 2세대, JBL의 TOUR PRO 3(이상 고가형), 브리츠의 AcousticANC7, 샤오미의 Redmi Buds 6 Lite, 아이리버의 IB-TWA9, LG전자의 xboom Buds, QCY의 HT08 MeloBuds Pro였습니다.

먼저 무선이어폰이 원음을 왜곡하지 않고 재생하는지를 보는 ‘음향품질’ 평가에서는 10개 가운데 8개 제품이 ‘우수’ 판정을 받았습니다.

뒤이어 샤오미 제품이 ‘양호’, 아이리버 제품은 ‘보통’으로 평가됐습니다.

무선이어폰이 외부 소음을 얼마나 잘 제거하는지 평가한 결과, 고가형인 보스, 삼성전자, 소니, 애플, JBL 제품이 우수했습니다.

중저가형에 해당되는 브리츠, 샤오미, LG전자, QCY 제품은 소음 제거 기능 ‘양호’, 아이리버 제품은 ‘보통’ 수준이었습니다.

주변 환경에 따른 통화 품질 평가에선 제품별 차이가 두드러졌습니다.

조용한 환경에서는 삼성전자, 소니, 애플, 브리츠, 샤오미 제품을 사용할 때, 사용자의 음성이 상대방에게 명료하게 잘 들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버스와 기차 등 시끄러운 환경에서는 삼성전자와 애플, LG전자 제품의 통화 품질이 우수했습니다.

보스와 JBL, 아이리버 제품은 조용한 환경, 시끄러운 환경에서 모두 ‘통화 품질 양호’ 점수를 받았습니다.

시끄러운 환경에서는 중저가형인 브리츠, 샤오미, QCY 제품의 통화 품질이 ‘보통’으로 제일 좋지 않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연속 재생시간은 제품 간 최대 3.1배 차이가 났습니다.

소니 제품의 연속 재생시간이 15시간 10분으로 가장 길었고, JBL(11시간 40분)과 LG전자(11시간 10분) 제품도 10시간을 넘었습니다.

이어 애플 9시간, 삼성전자 7시간 20분, QCY 7시간 10분, 샤오미 7시간, 보스 6시간 30분, 브리츠 6시간 10분 순이었습니다.

연속 재생시간이 제일 짧은 건 아이리버(4시간 50분) 제품이었습니다.

가격은 2025년 2월 온·오프라인 구입가 기준 JBL 제품이 35만 9천 원으로 가장 비쌌고, 애플(34만 9천 원)과 소니(30만 9천 원)도 제품가가 30만 원을 넘었습니다.

다음으로 보스 29만 9천 원, 삼성전자 24만 9천 원, LG전자 14만 9천 원, 브리츠 6만9천9백 원, 아이리버 4만2천210원, QCY 4만1천500원 순이었고 가장 싼 제품은 샤오미(2만4천8백 원)였습니다.

안전성 면에서는 정전기 내성, 표시사항 모두 전 제품에 문제가 없는 걸로 평가됐습니다.

다만 아이리버 제품의 최대 음량이 유럽연합 안전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원은 무선이어폰을 사용할 땐 최대 음량의 60% 이하로 설정하고, 하루에 1시간 내외로 사용해야 청력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한국소비자원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비자원 “무선이어폰 통화품질, 제품별 격차…가격 최대 14.5배 차이”
    • 입력 2025-07-07 12:00:20
    • 수정2025-07-07 12:03:41
    경제
무선이어폰 제품마다 통화 품질이 크게 다르고, 가격은 최대 14.5배 차이 난다는 소비자원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유통 중인 무선이어폰 10개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 등을 시험·평가한 결과를 오늘(7일) 발표했습니다.

시험·평가 대상 제품은 보스의 QC Ultra Earbuds, 삼성전자의 Galaxy Buds3 Pro, 소니의 WF-1000XM5, 애플의 AirPods Pro 2세대, JBL의 TOUR PRO 3(이상 고가형), 브리츠의 AcousticANC7, 샤오미의 Redmi Buds 6 Lite, 아이리버의 IB-TWA9, LG전자의 xboom Buds, QCY의 HT08 MeloBuds Pro였습니다.

먼저 무선이어폰이 원음을 왜곡하지 않고 재생하는지를 보는 ‘음향품질’ 평가에서는 10개 가운데 8개 제품이 ‘우수’ 판정을 받았습니다.

뒤이어 샤오미 제품이 ‘양호’, 아이리버 제품은 ‘보통’으로 평가됐습니다.

무선이어폰이 외부 소음을 얼마나 잘 제거하는지 평가한 결과, 고가형인 보스, 삼성전자, 소니, 애플, JBL 제품이 우수했습니다.

중저가형에 해당되는 브리츠, 샤오미, LG전자, QCY 제품은 소음 제거 기능 ‘양호’, 아이리버 제품은 ‘보통’ 수준이었습니다.

주변 환경에 따른 통화 품질 평가에선 제품별 차이가 두드러졌습니다.

조용한 환경에서는 삼성전자, 소니, 애플, 브리츠, 샤오미 제품을 사용할 때, 사용자의 음성이 상대방에게 명료하게 잘 들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버스와 기차 등 시끄러운 환경에서는 삼성전자와 애플, LG전자 제품의 통화 품질이 우수했습니다.

보스와 JBL, 아이리버 제품은 조용한 환경, 시끄러운 환경에서 모두 ‘통화 품질 양호’ 점수를 받았습니다.

시끄러운 환경에서는 중저가형인 브리츠, 샤오미, QCY 제품의 통화 품질이 ‘보통’으로 제일 좋지 않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연속 재생시간은 제품 간 최대 3.1배 차이가 났습니다.

소니 제품의 연속 재생시간이 15시간 10분으로 가장 길었고, JBL(11시간 40분)과 LG전자(11시간 10분) 제품도 10시간을 넘었습니다.

이어 애플 9시간, 삼성전자 7시간 20분, QCY 7시간 10분, 샤오미 7시간, 보스 6시간 30분, 브리츠 6시간 10분 순이었습니다.

연속 재생시간이 제일 짧은 건 아이리버(4시간 50분) 제품이었습니다.

가격은 2025년 2월 온·오프라인 구입가 기준 JBL 제품이 35만 9천 원으로 가장 비쌌고, 애플(34만 9천 원)과 소니(30만 9천 원)도 제품가가 30만 원을 넘었습니다.

다음으로 보스 29만 9천 원, 삼성전자 24만 9천 원, LG전자 14만 9천 원, 브리츠 6만9천9백 원, 아이리버 4만2천210원, QCY 4만1천500원 순이었고 가장 싼 제품은 샤오미(2만4천8백 원)였습니다.

안전성 면에서는 정전기 내성, 표시사항 모두 전 제품에 문제가 없는 걸로 평가됐습니다.

다만 아이리버 제품의 최대 음량이 유럽연합 안전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원은 무선이어폰을 사용할 땐 최대 음량의 60% 이하로 설정하고, 하루에 1시간 내외로 사용해야 청력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한국소비자원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