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초등 1~2학년 ‘등하교 동행돌봄’ 시범 운영
입력 2025.07.07 (15:38)
수정 2025.07.07 (15: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 수원시는 ‘초등학교 저학년 등하교 동행돌봄 서비스’ 시범 사업을 이달부터 10개 동에서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초등학교 1∼2학년 자녀를 둔 보호자가 갑작스러운 사정으로 자녀 등하교 동행이 어려울 때 지역의 특성을 잘 알고 활동 경험이 풍부한 통장,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등이 등교와 하교 시 동행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시범 운영은 장안구 율천·정자3동, 권선구 평·권선2·호매실동, 팔달구 매교·화서1동, 영통구 매탄3·원천·영통3동에서 이뤄집니다.
해당 동에 거주하는 학부모는 올해 12월까지 연간 최대 30일, 하루 최대 2시간 이용할 수 있으며 요금은 시간당 1만6천900원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에는 연 100만 원 이내 서비스 비용이 지원되고 150% 초과 가구는 본인이 부담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학부모는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에 전화 또는 방문 신청하면 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수원시 제공]
초등학교 1∼2학년 자녀를 둔 보호자가 갑작스러운 사정으로 자녀 등하교 동행이 어려울 때 지역의 특성을 잘 알고 활동 경험이 풍부한 통장,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등이 등교와 하교 시 동행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시범 운영은 장안구 율천·정자3동, 권선구 평·권선2·호매실동, 팔달구 매교·화서1동, 영통구 매탄3·원천·영통3동에서 이뤄집니다.
해당 동에 거주하는 학부모는 올해 12월까지 연간 최대 30일, 하루 최대 2시간 이용할 수 있으며 요금은 시간당 1만6천900원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에는 연 100만 원 이내 서비스 비용이 지원되고 150% 초과 가구는 본인이 부담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학부모는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에 전화 또는 방문 신청하면 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수원시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원시, 초등 1~2학년 ‘등하교 동행돌봄’ 시범 운영
-
- 입력 2025-07-07 15:38:43
- 수정2025-07-07 15:46:06

경기 수원시는 ‘초등학교 저학년 등하교 동행돌봄 서비스’ 시범 사업을 이달부터 10개 동에서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초등학교 1∼2학년 자녀를 둔 보호자가 갑작스러운 사정으로 자녀 등하교 동행이 어려울 때 지역의 특성을 잘 알고 활동 경험이 풍부한 통장,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등이 등교와 하교 시 동행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시범 운영은 장안구 율천·정자3동, 권선구 평·권선2·호매실동, 팔달구 매교·화서1동, 영통구 매탄3·원천·영통3동에서 이뤄집니다.
해당 동에 거주하는 학부모는 올해 12월까지 연간 최대 30일, 하루 최대 2시간 이용할 수 있으며 요금은 시간당 1만6천900원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에는 연 100만 원 이내 서비스 비용이 지원되고 150% 초과 가구는 본인이 부담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학부모는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에 전화 또는 방문 신청하면 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수원시 제공]
초등학교 1∼2학년 자녀를 둔 보호자가 갑작스러운 사정으로 자녀 등하교 동행이 어려울 때 지역의 특성을 잘 알고 활동 경험이 풍부한 통장,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등이 등교와 하교 시 동행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시범 운영은 장안구 율천·정자3동, 권선구 평·권선2·호매실동, 팔달구 매교·화서1동, 영통구 매탄3·원천·영통3동에서 이뤄집니다.
해당 동에 거주하는 학부모는 올해 12월까지 연간 최대 30일, 하루 최대 2시간 이용할 수 있으며 요금은 시간당 1만6천900원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에는 연 100만 원 이내 서비스 비용이 지원되고 150% 초과 가구는 본인이 부담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학부모는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에 전화 또는 방문 신청하면 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수원시 제공]
-
-
송명희 기자 thimble@kbs.co.kr
송명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