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북한 표류주민 6명 조만간 ‘해상 송환’ 가닥
입력 2025.07.07 (15:47)
수정 2025.07.07 (15: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해상에서 표류하다 구조된 북한 주민 6명을 조속히 해상을 통해 북한으로 돌려보내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통일부 구병삼 대변인은 오늘(7일) 정례브리핑에서 “동해와 서해상에서 구조된 북한 주민 6명 모두 북한으로 귀환을 적극 희망하고 있다”며 “인도주의적 견지에서 조속하고 안전하게 이들을 송환한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송환 관련 구체적 사항에 대해서는 확인해 드릴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송환은 북한 주민들이 타고 온 목선에 이들을 태워 해상 북방한계선(NLL)까지 인도한 뒤 자율 항해해 NLL 넘어 북한으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북한이 ‘해상 송환’ 계획에 응답하지 않더라도 기상 상황이 허락하면 이르면 이번 주 내로 송환 시기를 잡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북한 주민 2명이 지난 3월 7일 서해상에서, 4명이 지난 5월 27일 동해상에서 표류하다 각각 구조됐습니다. 이들은 정부 당국의 조사 초기부터 북한 귀환 의사를 강력히 밝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정부는 남북 연락채널이 끊긴 가운데 주민 송환 의사를 유엔군사령부를 통해 북한에 전달하거나 언론 발표 등을 통해 밝혔지만, 북한으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없어 이들은 길게는 넉 달째 한국에 체류하고 있습니다.
북한 주민 송환은 선박 상태에 따라 해상 또는 판문점을 통해 이뤄졌는데, 유엔사는 북한과 사전 조율 없이 육로로 돌려보내는 데 부정적이어서 정부는 해상 송환을 검토해 왔습니다.
지금처럼 남북 연락 채널이 단절됐던 지난 2017년 5월 31일에도 북한과 사전 협의 없이 조난한 북한 주민 6명을 배에 태워 동해 해상으로 송환한 전례도 있습니다.
당시에도 북한 선박을 동해안 NLL 근처까지 예인했고 이후 선박이 자력으로 북측으로 귀환했습니다.
통일부 구병삼 대변인은 오늘(7일) 정례브리핑에서 “동해와 서해상에서 구조된 북한 주민 6명 모두 북한으로 귀환을 적극 희망하고 있다”며 “인도주의적 견지에서 조속하고 안전하게 이들을 송환한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송환 관련 구체적 사항에 대해서는 확인해 드릴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송환은 북한 주민들이 타고 온 목선에 이들을 태워 해상 북방한계선(NLL)까지 인도한 뒤 자율 항해해 NLL 넘어 북한으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북한이 ‘해상 송환’ 계획에 응답하지 않더라도 기상 상황이 허락하면 이르면 이번 주 내로 송환 시기를 잡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북한 주민 2명이 지난 3월 7일 서해상에서, 4명이 지난 5월 27일 동해상에서 표류하다 각각 구조됐습니다. 이들은 정부 당국의 조사 초기부터 북한 귀환 의사를 강력히 밝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정부는 남북 연락채널이 끊긴 가운데 주민 송환 의사를 유엔군사령부를 통해 북한에 전달하거나 언론 발표 등을 통해 밝혔지만, 북한으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없어 이들은 길게는 넉 달째 한국에 체류하고 있습니다.
북한 주민 송환은 선박 상태에 따라 해상 또는 판문점을 통해 이뤄졌는데, 유엔사는 북한과 사전 조율 없이 육로로 돌려보내는 데 부정적이어서 정부는 해상 송환을 검토해 왔습니다.
지금처럼 남북 연락 채널이 단절됐던 지난 2017년 5월 31일에도 북한과 사전 협의 없이 조난한 북한 주민 6명을 배에 태워 동해 해상으로 송환한 전례도 있습니다.
당시에도 북한 선박을 동해안 NLL 근처까지 예인했고 이후 선박이 자력으로 북측으로 귀환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북한 표류주민 6명 조만간 ‘해상 송환’ 가닥
-
- 입력 2025-07-07 15:47:29
- 수정2025-07-07 15:50:17

정부가 해상에서 표류하다 구조된 북한 주민 6명을 조속히 해상을 통해 북한으로 돌려보내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통일부 구병삼 대변인은 오늘(7일) 정례브리핑에서 “동해와 서해상에서 구조된 북한 주민 6명 모두 북한으로 귀환을 적극 희망하고 있다”며 “인도주의적 견지에서 조속하고 안전하게 이들을 송환한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송환 관련 구체적 사항에 대해서는 확인해 드릴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송환은 북한 주민들이 타고 온 목선에 이들을 태워 해상 북방한계선(NLL)까지 인도한 뒤 자율 항해해 NLL 넘어 북한으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북한이 ‘해상 송환’ 계획에 응답하지 않더라도 기상 상황이 허락하면 이르면 이번 주 내로 송환 시기를 잡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북한 주민 2명이 지난 3월 7일 서해상에서, 4명이 지난 5월 27일 동해상에서 표류하다 각각 구조됐습니다. 이들은 정부 당국의 조사 초기부터 북한 귀환 의사를 강력히 밝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정부는 남북 연락채널이 끊긴 가운데 주민 송환 의사를 유엔군사령부를 통해 북한에 전달하거나 언론 발표 등을 통해 밝혔지만, 북한으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없어 이들은 길게는 넉 달째 한국에 체류하고 있습니다.
북한 주민 송환은 선박 상태에 따라 해상 또는 판문점을 통해 이뤄졌는데, 유엔사는 북한과 사전 조율 없이 육로로 돌려보내는 데 부정적이어서 정부는 해상 송환을 검토해 왔습니다.
지금처럼 남북 연락 채널이 단절됐던 지난 2017년 5월 31일에도 북한과 사전 협의 없이 조난한 북한 주민 6명을 배에 태워 동해 해상으로 송환한 전례도 있습니다.
당시에도 북한 선박을 동해안 NLL 근처까지 예인했고 이후 선박이 자력으로 북측으로 귀환했습니다.
통일부 구병삼 대변인은 오늘(7일) 정례브리핑에서 “동해와 서해상에서 구조된 북한 주민 6명 모두 북한으로 귀환을 적극 희망하고 있다”며 “인도주의적 견지에서 조속하고 안전하게 이들을 송환한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송환 관련 구체적 사항에 대해서는 확인해 드릴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송환은 북한 주민들이 타고 온 목선에 이들을 태워 해상 북방한계선(NLL)까지 인도한 뒤 자율 항해해 NLL 넘어 북한으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북한이 ‘해상 송환’ 계획에 응답하지 않더라도 기상 상황이 허락하면 이르면 이번 주 내로 송환 시기를 잡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북한 주민 2명이 지난 3월 7일 서해상에서, 4명이 지난 5월 27일 동해상에서 표류하다 각각 구조됐습니다. 이들은 정부 당국의 조사 초기부터 북한 귀환 의사를 강력히 밝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정부는 남북 연락채널이 끊긴 가운데 주민 송환 의사를 유엔군사령부를 통해 북한에 전달하거나 언론 발표 등을 통해 밝혔지만, 북한으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없어 이들은 길게는 넉 달째 한국에 체류하고 있습니다.
북한 주민 송환은 선박 상태에 따라 해상 또는 판문점을 통해 이뤄졌는데, 유엔사는 북한과 사전 조율 없이 육로로 돌려보내는 데 부정적이어서 정부는 해상 송환을 검토해 왔습니다.
지금처럼 남북 연락 채널이 단절됐던 지난 2017년 5월 31일에도 북한과 사전 협의 없이 조난한 북한 주민 6명을 배에 태워 동해 해상으로 송환한 전례도 있습니다.
당시에도 북한 선박을 동해안 NLL 근처까지 예인했고 이후 선박이 자력으로 북측으로 귀환했습니다.
-
-
김기화 기자 kimkoon@kbs.co.kr
김기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