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에티오피아산 대두박도 수입 승인…농산물 수입선 다변화
입력 2025.07.07 (16:24)
수정 2025.07.07 (16: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는 중국이 에티오피아산 대두박 수입을 승인하며 농산물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7일 중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 공고를 인용해 중국이 에티오피아로부터 대두박 수입을 승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해관총서는 이달 3일부터 에티오피아에서 재배한 대두를 압착하고 용출해 기름을 분리한 부산물인 대두박이 요건을 충족하면 수입이 즉시 허용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상하이의 농업 컨설팅업체 관계자는 "이는 공급선을 다변화하고 수입 대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전략의 하나"라며 "다만, 수입량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중국 사료업체들은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대두 수입에 혼란을 빚자 지난달 말 아르헨티나 업체와 대두박 수입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중국 당국이 2019년 아르헨티나산 대두박 수입을 승인한 이후 처음 이뤄진 계약입니다.
또 지난달 우루과이산 대두박 수입을 승인해 수입국을 기존 아르헨티나, 브라질, 러시아, 벨라루스 등에서 확대한 바 있습니다.
지난 몇년간 중국은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면서 농산물 수입선 다변화를 모색해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1기 때인 2017년에는 중국의 대두 수입량 중 약 40%를 미국산이 차지했지만, 지난해에는 이 비중이 20% 정도로 떨어졌고 같은 기간 브라질산 비중은 50%에서 70%로 늘었습니다.
올해 들어서도 지난 3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10+10%' 대중 관세 인상 조치에 맞서 중국은 대두를 비롯한 미국산 농축산물에 10∼15%의 보복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로이터 통신은 7일 중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 공고를 인용해 중국이 에티오피아로부터 대두박 수입을 승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해관총서는 이달 3일부터 에티오피아에서 재배한 대두를 압착하고 용출해 기름을 분리한 부산물인 대두박이 요건을 충족하면 수입이 즉시 허용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상하이의 농업 컨설팅업체 관계자는 "이는 공급선을 다변화하고 수입 대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전략의 하나"라며 "다만, 수입량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중국 사료업체들은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대두 수입에 혼란을 빚자 지난달 말 아르헨티나 업체와 대두박 수입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중국 당국이 2019년 아르헨티나산 대두박 수입을 승인한 이후 처음 이뤄진 계약입니다.
또 지난달 우루과이산 대두박 수입을 승인해 수입국을 기존 아르헨티나, 브라질, 러시아, 벨라루스 등에서 확대한 바 있습니다.
지난 몇년간 중국은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면서 농산물 수입선 다변화를 모색해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1기 때인 2017년에는 중국의 대두 수입량 중 약 40%를 미국산이 차지했지만, 지난해에는 이 비중이 20% 정도로 떨어졌고 같은 기간 브라질산 비중은 50%에서 70%로 늘었습니다.
올해 들어서도 지난 3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10+10%' 대중 관세 인상 조치에 맞서 중국은 대두를 비롯한 미국산 농축산물에 10∼15%의 보복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에티오피아산 대두박도 수입 승인…농산물 수입선 다변화
-
- 입력 2025-07-07 16:24:25
- 수정2025-07-07 16:31:31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는 중국이 에티오피아산 대두박 수입을 승인하며 농산물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7일 중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 공고를 인용해 중국이 에티오피아로부터 대두박 수입을 승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해관총서는 이달 3일부터 에티오피아에서 재배한 대두를 압착하고 용출해 기름을 분리한 부산물인 대두박이 요건을 충족하면 수입이 즉시 허용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상하이의 농업 컨설팅업체 관계자는 "이는 공급선을 다변화하고 수입 대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전략의 하나"라며 "다만, 수입량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중국 사료업체들은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대두 수입에 혼란을 빚자 지난달 말 아르헨티나 업체와 대두박 수입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중국 당국이 2019년 아르헨티나산 대두박 수입을 승인한 이후 처음 이뤄진 계약입니다.
또 지난달 우루과이산 대두박 수입을 승인해 수입국을 기존 아르헨티나, 브라질, 러시아, 벨라루스 등에서 확대한 바 있습니다.
지난 몇년간 중국은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면서 농산물 수입선 다변화를 모색해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1기 때인 2017년에는 중국의 대두 수입량 중 약 40%를 미국산이 차지했지만, 지난해에는 이 비중이 20% 정도로 떨어졌고 같은 기간 브라질산 비중은 50%에서 70%로 늘었습니다.
올해 들어서도 지난 3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10+10%' 대중 관세 인상 조치에 맞서 중국은 대두를 비롯한 미국산 농축산물에 10∼15%의 보복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로이터 통신은 7일 중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 공고를 인용해 중국이 에티오피아로부터 대두박 수입을 승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해관총서는 이달 3일부터 에티오피아에서 재배한 대두를 압착하고 용출해 기름을 분리한 부산물인 대두박이 요건을 충족하면 수입이 즉시 허용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상하이의 농업 컨설팅업체 관계자는 "이는 공급선을 다변화하고 수입 대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전략의 하나"라며 "다만, 수입량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중국 사료업체들은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대두 수입에 혼란을 빚자 지난달 말 아르헨티나 업체와 대두박 수입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중국 당국이 2019년 아르헨티나산 대두박 수입을 승인한 이후 처음 이뤄진 계약입니다.
또 지난달 우루과이산 대두박 수입을 승인해 수입국을 기존 아르헨티나, 브라질, 러시아, 벨라루스 등에서 확대한 바 있습니다.
지난 몇년간 중국은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면서 농산물 수입선 다변화를 모색해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1기 때인 2017년에는 중국의 대두 수입량 중 약 40%를 미국산이 차지했지만, 지난해에는 이 비중이 20% 정도로 떨어졌고 같은 기간 브라질산 비중은 50%에서 70%로 늘었습니다.
올해 들어서도 지난 3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10+10%' 대중 관세 인상 조치에 맞서 중국은 대두를 비롯한 미국산 농축산물에 10∼15%의 보복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