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 반정부시위 유혈진압에 따른 사망자 31명으로 늘어”
입력 2025.07.09 (05:04)
수정 2025.07.09 (05: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케냐 전역에서 현지 시각 지난 7일 벌어진 반정부 시위의 강경 진압에 따른 사망자가 31명으로 늘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케냐인권위원회(KNHCR)는 8일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이 전하며 단일 날짜 기준 가장 많은 사망자 수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107명이 부상하고 약 530명이 체포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케냐 경찰은 애초 사망자를 11명으로 집계했었습니다.
유엔은 케냐 경찰과 시위대의 충돌 과정에서 치명적 무력 사용으로 최소 31명이 사망한 이번 사건을 규탄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했습니다.
유엔은 이날 이메일 성명에서 "경찰이 폭력 시위에 대응하는 과정에 발생한 살인 사건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며 "치명적인 탄약과 고무총, 최루탄, 물대포가 사용됐다"고 지적했습니다.
지난 7일 수도 나이로비를 비롯한 케냐 전역에서는 정부의 부패와 경찰의 가혹행위, 정부 비판자들에 대한 탄압 등에 저항하는 반정부 시위가 열렸습니다.
7월 7일은 35년 전인 1990년 케냐에서 다당제 민주주의로의 전환을 요구한 대규모 민주화 시위가 열린 날로 '사바 사바'(스와힐리어로 '7·7')라고도 불립니다.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은 지난 7일 시위나 그 피해에 대해 아직 언급하지 않았다고 AP통신은 덧붙였습니다.
케냐에서는 지난달 25일에도 증세 반대 시위 1주년을 맞아 대규모 시위가 열려 진압 과정에서 최소 19명이 숨지는 등 최근 2주 동안 시위에서 50명이 숨졌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AP통신 등에 따르면 케냐인권위원회(KNHCR)는 8일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이 전하며 단일 날짜 기준 가장 많은 사망자 수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107명이 부상하고 약 530명이 체포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케냐 경찰은 애초 사망자를 11명으로 집계했었습니다.
유엔은 케냐 경찰과 시위대의 충돌 과정에서 치명적 무력 사용으로 최소 31명이 사망한 이번 사건을 규탄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했습니다.
유엔은 이날 이메일 성명에서 "경찰이 폭력 시위에 대응하는 과정에 발생한 살인 사건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며 "치명적인 탄약과 고무총, 최루탄, 물대포가 사용됐다"고 지적했습니다.
지난 7일 수도 나이로비를 비롯한 케냐 전역에서는 정부의 부패와 경찰의 가혹행위, 정부 비판자들에 대한 탄압 등에 저항하는 반정부 시위가 열렸습니다.
7월 7일은 35년 전인 1990년 케냐에서 다당제 민주주의로의 전환을 요구한 대규모 민주화 시위가 열린 날로 '사바 사바'(스와힐리어로 '7·7')라고도 불립니다.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은 지난 7일 시위나 그 피해에 대해 아직 언급하지 않았다고 AP통신은 덧붙였습니다.
케냐에서는 지난달 25일에도 증세 반대 시위 1주년을 맞아 대규모 시위가 열려 진압 과정에서 최소 19명이 숨지는 등 최근 2주 동안 시위에서 50명이 숨졌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케냐 반정부시위 유혈진압에 따른 사망자 31명으로 늘어”
-
- 입력 2025-07-09 05:04:06
- 수정2025-07-09 05:07:15

케냐 전역에서 현지 시각 지난 7일 벌어진 반정부 시위의 강경 진압에 따른 사망자가 31명으로 늘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케냐인권위원회(KNHCR)는 8일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이 전하며 단일 날짜 기준 가장 많은 사망자 수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107명이 부상하고 약 530명이 체포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케냐 경찰은 애초 사망자를 11명으로 집계했었습니다.
유엔은 케냐 경찰과 시위대의 충돌 과정에서 치명적 무력 사용으로 최소 31명이 사망한 이번 사건을 규탄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했습니다.
유엔은 이날 이메일 성명에서 "경찰이 폭력 시위에 대응하는 과정에 발생한 살인 사건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며 "치명적인 탄약과 고무총, 최루탄, 물대포가 사용됐다"고 지적했습니다.
지난 7일 수도 나이로비를 비롯한 케냐 전역에서는 정부의 부패와 경찰의 가혹행위, 정부 비판자들에 대한 탄압 등에 저항하는 반정부 시위가 열렸습니다.
7월 7일은 35년 전인 1990년 케냐에서 다당제 민주주의로의 전환을 요구한 대규모 민주화 시위가 열린 날로 '사바 사바'(스와힐리어로 '7·7')라고도 불립니다.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은 지난 7일 시위나 그 피해에 대해 아직 언급하지 않았다고 AP통신은 덧붙였습니다.
케냐에서는 지난달 25일에도 증세 반대 시위 1주년을 맞아 대규모 시위가 열려 진압 과정에서 최소 19명이 숨지는 등 최근 2주 동안 시위에서 50명이 숨졌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AP통신 등에 따르면 케냐인권위원회(KNHCR)는 8일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이 전하며 단일 날짜 기준 가장 많은 사망자 수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107명이 부상하고 약 530명이 체포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케냐 경찰은 애초 사망자를 11명으로 집계했었습니다.
유엔은 케냐 경찰과 시위대의 충돌 과정에서 치명적 무력 사용으로 최소 31명이 사망한 이번 사건을 규탄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했습니다.
유엔은 이날 이메일 성명에서 "경찰이 폭력 시위에 대응하는 과정에 발생한 살인 사건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며 "치명적인 탄약과 고무총, 최루탄, 물대포가 사용됐다"고 지적했습니다.
지난 7일 수도 나이로비를 비롯한 케냐 전역에서는 정부의 부패와 경찰의 가혹행위, 정부 비판자들에 대한 탄압 등에 저항하는 반정부 시위가 열렸습니다.
7월 7일은 35년 전인 1990년 케냐에서 다당제 민주주의로의 전환을 요구한 대규모 민주화 시위가 열린 날로 '사바 사바'(스와힐리어로 '7·7')라고도 불립니다.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은 지난 7일 시위나 그 피해에 대해 아직 언급하지 않았다고 AP통신은 덧붙였습니다.
케냐에서는 지난달 25일에도 증세 반대 시위 1주년을 맞아 대규모 시위가 열려 진압 과정에서 최소 19명이 숨지는 등 최근 2주 동안 시위에서 50명이 숨졌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
계현우 기자 kye@kbs.co.kr
계현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