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 50%·의약품 200%·반도체도 곧…상호 관세 연장 없어”
입력 2025.07.09 (07:11)
수정 2025.07.09 (07: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각국에 상호 관세 서한을 보내며 연장은 없다고 거듭 강조한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엔 품목별 관세를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구리엔 50%, 의약품엔 최대 200%의 관세를 예고했는데, 우리 주력 산업인 반도체 관세도 곧 발표하겠다고 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이미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철강과 알루미늄에 품목 관세를 부과한 트럼프 대통령이 고율의 품목 관세를 또 예고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의약품, 반도체, 그리고 다른 몇 가지 다양한 관세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아시다시피, 큰 것들입니다."]
가장 먼저, 미국에 들어오는 구리에 대한 50%의 고율 관세가 발표됩니다.
발효 시점은 7월 말이나 8월 초가 거론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는 200%의 관세를 물리겠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제약업체들이 미국 내 생산시설을 갖출 수 있도록 1년에서 1년 반 정도의 시간을 줄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반도체 관세도 곧 발표할 거라고 못 박았습니다.
구체적인 관세율과 발표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르면 이달 말 결정될 전망입니다.
이들 품목은 미국이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관세 부과를 검토해 온 것으로 안보 영향 조사도 곧 완료됩니다.
[하워드 러트닉/미국 상무장관 : "의약품과 반도체 관련 안보 영향 조사가 이달 말에 완료될 예정입니다. 그래서 대통령은 그때 정책을 결정할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더 이상의 연장은 없다며 8월 1일부터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협상 진행 상황에 따라 추가 유예할 수 있다는 여지를 열어뒀다 하루 만에 또 번복한 겁니다.
불확실성을 키워 협상을 유리하게 끌고 가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상호 관세 발효까지 앞으로 남은 3주 동안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은 더 거세질 전망입니다.
특히 한국은 자동차과 철강, 반도체 주요 수출국이라 품목 관세에도 대응해야 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놓일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각국에 상호 관세 서한을 보내며 연장은 없다고 거듭 강조한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엔 품목별 관세를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구리엔 50%, 의약품엔 최대 200%의 관세를 예고했는데, 우리 주력 산업인 반도체 관세도 곧 발표하겠다고 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이미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철강과 알루미늄에 품목 관세를 부과한 트럼프 대통령이 고율의 품목 관세를 또 예고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의약품, 반도체, 그리고 다른 몇 가지 다양한 관세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아시다시피, 큰 것들입니다."]
가장 먼저, 미국에 들어오는 구리에 대한 50%의 고율 관세가 발표됩니다.
발효 시점은 7월 말이나 8월 초가 거론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는 200%의 관세를 물리겠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제약업체들이 미국 내 생산시설을 갖출 수 있도록 1년에서 1년 반 정도의 시간을 줄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반도체 관세도 곧 발표할 거라고 못 박았습니다.
구체적인 관세율과 발표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르면 이달 말 결정될 전망입니다.
이들 품목은 미국이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관세 부과를 검토해 온 것으로 안보 영향 조사도 곧 완료됩니다.
[하워드 러트닉/미국 상무장관 : "의약품과 반도체 관련 안보 영향 조사가 이달 말에 완료될 예정입니다. 그래서 대통령은 그때 정책을 결정할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더 이상의 연장은 없다며 8월 1일부터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협상 진행 상황에 따라 추가 유예할 수 있다는 여지를 열어뒀다 하루 만에 또 번복한 겁니다.
불확실성을 키워 협상을 유리하게 끌고 가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상호 관세 발효까지 앞으로 남은 3주 동안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은 더 거세질 전망입니다.
특히 한국은 자동차과 철강, 반도체 주요 수출국이라 품목 관세에도 대응해야 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놓일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구리 50%·의약품 200%·반도체도 곧…상호 관세 연장 없어”
-
- 입력 2025-07-09 07:11:22
- 수정2025-07-09 07:42:19

[앵커]
각국에 상호 관세 서한을 보내며 연장은 없다고 거듭 강조한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엔 품목별 관세를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구리엔 50%, 의약품엔 최대 200%의 관세를 예고했는데, 우리 주력 산업인 반도체 관세도 곧 발표하겠다고 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이미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철강과 알루미늄에 품목 관세를 부과한 트럼프 대통령이 고율의 품목 관세를 또 예고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의약품, 반도체, 그리고 다른 몇 가지 다양한 관세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아시다시피, 큰 것들입니다."]
가장 먼저, 미국에 들어오는 구리에 대한 50%의 고율 관세가 발표됩니다.
발효 시점은 7월 말이나 8월 초가 거론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는 200%의 관세를 물리겠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제약업체들이 미국 내 생산시설을 갖출 수 있도록 1년에서 1년 반 정도의 시간을 줄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반도체 관세도 곧 발표할 거라고 못 박았습니다.
구체적인 관세율과 발표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르면 이달 말 결정될 전망입니다.
이들 품목은 미국이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관세 부과를 검토해 온 것으로 안보 영향 조사도 곧 완료됩니다.
[하워드 러트닉/미국 상무장관 : "의약품과 반도체 관련 안보 영향 조사가 이달 말에 완료될 예정입니다. 그래서 대통령은 그때 정책을 결정할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더 이상의 연장은 없다며 8월 1일부터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협상 진행 상황에 따라 추가 유예할 수 있다는 여지를 열어뒀다 하루 만에 또 번복한 겁니다.
불확실성을 키워 협상을 유리하게 끌고 가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상호 관세 발효까지 앞으로 남은 3주 동안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은 더 거세질 전망입니다.
특히 한국은 자동차과 철강, 반도체 주요 수출국이라 품목 관세에도 대응해야 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놓일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각국에 상호 관세 서한을 보내며 연장은 없다고 거듭 강조한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엔 품목별 관세를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구리엔 50%, 의약품엔 최대 200%의 관세를 예고했는데, 우리 주력 산업인 반도체 관세도 곧 발표하겠다고 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이미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철강과 알루미늄에 품목 관세를 부과한 트럼프 대통령이 고율의 품목 관세를 또 예고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의약품, 반도체, 그리고 다른 몇 가지 다양한 관세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아시다시피, 큰 것들입니다."]
가장 먼저, 미국에 들어오는 구리에 대한 50%의 고율 관세가 발표됩니다.
발효 시점은 7월 말이나 8월 초가 거론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는 200%의 관세를 물리겠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제약업체들이 미국 내 생산시설을 갖출 수 있도록 1년에서 1년 반 정도의 시간을 줄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반도체 관세도 곧 발표할 거라고 못 박았습니다.
구체적인 관세율과 발표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르면 이달 말 결정될 전망입니다.
이들 품목은 미국이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관세 부과를 검토해 온 것으로 안보 영향 조사도 곧 완료됩니다.
[하워드 러트닉/미국 상무장관 : "의약품과 반도체 관련 안보 영향 조사가 이달 말에 완료될 예정입니다. 그래서 대통령은 그때 정책을 결정할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더 이상의 연장은 없다며 8월 1일부터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협상 진행 상황에 따라 추가 유예할 수 있다는 여지를 열어뒀다 하루 만에 또 번복한 겁니다.
불확실성을 키워 협상을 유리하게 끌고 가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상호 관세 발효까지 앞으로 남은 3주 동안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은 더 거세질 전망입니다.
특히 한국은 자동차과 철강, 반도체 주요 수출국이라 품목 관세에도 대응해야 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놓일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
-
김지숙 기자 jskim84@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