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 가격 17% 급등…“관세 50%” 트럼프 발표에
입력 2025.07.09 (08:31)
수정 2025.07.09 (08: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 시각 8일 구리에 50%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히면서 구리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로이터·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이날 구리 선물 가격은 전날 종가보다 17%까지 뛰며 기록적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종가는 파운드당 5.6855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13.12% 오른 것으로, 일일 상승률 기준 1989년 이후 최고치라고 CNBC는 보도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구리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은 어느 정도 예견돼 있었으나, 발표 시기는 갑작스러웠고 관세율도 시장 예상보다 높았다고 로이터는 짚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으로 수입되는 구리에 대한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면서 관세율은 50%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뉴욕 주식시장에서 구리 광산업체 ‘프리포트 맥모런’(Freeport-McMoRan)은 ‘관세 부과 수혜 주’에 들면서 주가가 5%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전기·건설·정보기술(IT) 분야 핵심 재료인 구리는 철과 알루미늄에 이어 미국에서 3번째로 많이 소비되는 금속으로 꼽힙니다.
수입량 기준 칠레산이 가장 많으며, 그 뒤를 캐나다산과 멕시코산이 잇고 있다고 로이터는 미국 지질조사국(USGS)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칠레 외교부는 이날 “미국 측으로부터 아직 통지받지 못해 세부 사항을 확인하지 못했다”는 입장을 냈습니다. 칠레 구리공사인 코델코(Codelco) 역시 별다른 입장을 내진 않았다고 현지 일간 라테르세라는 보도했습니다.
구리 관세는 향후 10년간 구리 금속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는 전망과 맞물려 나왔습니다.
블룸버그는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자동차와 전력 부문 업계는 전기차 생산이나 전력망 용량 확대를 위한 원자재인 구리 확보에 지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수출업체들은 최근 몇 달간 관세 부과를 미리 대비해 미국으로의 선적량을 늘리는 추세였다고 합니다.
구리 가격 급등은 관세 도입 전 수출 물량을 신속히 미국으로 실어 놓으려는 추가 유인을 제공할 것으로 블룸버그는 내다봤습니다.
국제 유가 역시 관세와 중동 지역 긴장 상황 등 영향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브렌트유 9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57달러(0.82%) 오른 배럴당 70.15달러에 마감했고, 서부텍사스산원유 8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40달러(0.59%) 상승한 배럴당 68.33달러에 장을 마쳤습니다.
이는 6월 23일 이후 2거래일 연속 최고가 마감입니다.
이날 유가 시장 전반에 불확실성이 높아진 가운데 글로벌 경제와 원유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이어졌다고 CNBC는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이날 구리 선물 가격은 전날 종가보다 17%까지 뛰며 기록적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종가는 파운드당 5.6855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13.12% 오른 것으로, 일일 상승률 기준 1989년 이후 최고치라고 CNBC는 보도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구리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은 어느 정도 예견돼 있었으나, 발표 시기는 갑작스러웠고 관세율도 시장 예상보다 높았다고 로이터는 짚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으로 수입되는 구리에 대한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면서 관세율은 50%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뉴욕 주식시장에서 구리 광산업체 ‘프리포트 맥모런’(Freeport-McMoRan)은 ‘관세 부과 수혜 주’에 들면서 주가가 5%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전기·건설·정보기술(IT) 분야 핵심 재료인 구리는 철과 알루미늄에 이어 미국에서 3번째로 많이 소비되는 금속으로 꼽힙니다.
수입량 기준 칠레산이 가장 많으며, 그 뒤를 캐나다산과 멕시코산이 잇고 있다고 로이터는 미국 지질조사국(USGS)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칠레 외교부는 이날 “미국 측으로부터 아직 통지받지 못해 세부 사항을 확인하지 못했다”는 입장을 냈습니다. 칠레 구리공사인 코델코(Codelco) 역시 별다른 입장을 내진 않았다고 현지 일간 라테르세라는 보도했습니다.
구리 관세는 향후 10년간 구리 금속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는 전망과 맞물려 나왔습니다.
블룸버그는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자동차와 전력 부문 업계는 전기차 생산이나 전력망 용량 확대를 위한 원자재인 구리 확보에 지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수출업체들은 최근 몇 달간 관세 부과를 미리 대비해 미국으로의 선적량을 늘리는 추세였다고 합니다.
구리 가격 급등은 관세 도입 전 수출 물량을 신속히 미국으로 실어 놓으려는 추가 유인을 제공할 것으로 블룸버그는 내다봤습니다.
국제 유가 역시 관세와 중동 지역 긴장 상황 등 영향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브렌트유 9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57달러(0.82%) 오른 배럴당 70.15달러에 마감했고, 서부텍사스산원유 8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40달러(0.59%) 상승한 배럴당 68.33달러에 장을 마쳤습니다.
이는 6월 23일 이후 2거래일 연속 최고가 마감입니다.
이날 유가 시장 전반에 불확실성이 높아진 가운데 글로벌 경제와 원유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이어졌다고 CNBC는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구리 가격 17% 급등…“관세 50%” 트럼프 발표에
-
- 입력 2025-07-09 08:31:04
- 수정2025-07-09 08:36:5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 시각 8일 구리에 50%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히면서 구리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로이터·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이날 구리 선물 가격은 전날 종가보다 17%까지 뛰며 기록적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종가는 파운드당 5.6855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13.12% 오른 것으로, 일일 상승률 기준 1989년 이후 최고치라고 CNBC는 보도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구리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은 어느 정도 예견돼 있었으나, 발표 시기는 갑작스러웠고 관세율도 시장 예상보다 높았다고 로이터는 짚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으로 수입되는 구리에 대한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면서 관세율은 50%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뉴욕 주식시장에서 구리 광산업체 ‘프리포트 맥모런’(Freeport-McMoRan)은 ‘관세 부과 수혜 주’에 들면서 주가가 5%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전기·건설·정보기술(IT) 분야 핵심 재료인 구리는 철과 알루미늄에 이어 미국에서 3번째로 많이 소비되는 금속으로 꼽힙니다.
수입량 기준 칠레산이 가장 많으며, 그 뒤를 캐나다산과 멕시코산이 잇고 있다고 로이터는 미국 지질조사국(USGS)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칠레 외교부는 이날 “미국 측으로부터 아직 통지받지 못해 세부 사항을 확인하지 못했다”는 입장을 냈습니다. 칠레 구리공사인 코델코(Codelco) 역시 별다른 입장을 내진 않았다고 현지 일간 라테르세라는 보도했습니다.
구리 관세는 향후 10년간 구리 금속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는 전망과 맞물려 나왔습니다.
블룸버그는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자동차와 전력 부문 업계는 전기차 생산이나 전력망 용량 확대를 위한 원자재인 구리 확보에 지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수출업체들은 최근 몇 달간 관세 부과를 미리 대비해 미국으로의 선적량을 늘리는 추세였다고 합니다.
구리 가격 급등은 관세 도입 전 수출 물량을 신속히 미국으로 실어 놓으려는 추가 유인을 제공할 것으로 블룸버그는 내다봤습니다.
국제 유가 역시 관세와 중동 지역 긴장 상황 등 영향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브렌트유 9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57달러(0.82%) 오른 배럴당 70.15달러에 마감했고, 서부텍사스산원유 8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40달러(0.59%) 상승한 배럴당 68.33달러에 장을 마쳤습니다.
이는 6월 23일 이후 2거래일 연속 최고가 마감입니다.
이날 유가 시장 전반에 불확실성이 높아진 가운데 글로벌 경제와 원유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이어졌다고 CNBC는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이날 구리 선물 가격은 전날 종가보다 17%까지 뛰며 기록적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종가는 파운드당 5.6855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13.12% 오른 것으로, 일일 상승률 기준 1989년 이후 최고치라고 CNBC는 보도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구리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은 어느 정도 예견돼 있었으나, 발표 시기는 갑작스러웠고 관세율도 시장 예상보다 높았다고 로이터는 짚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으로 수입되는 구리에 대한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면서 관세율은 50%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뉴욕 주식시장에서 구리 광산업체 ‘프리포트 맥모런’(Freeport-McMoRan)은 ‘관세 부과 수혜 주’에 들면서 주가가 5%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전기·건설·정보기술(IT) 분야 핵심 재료인 구리는 철과 알루미늄에 이어 미국에서 3번째로 많이 소비되는 금속으로 꼽힙니다.
수입량 기준 칠레산이 가장 많으며, 그 뒤를 캐나다산과 멕시코산이 잇고 있다고 로이터는 미국 지질조사국(USGS)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칠레 외교부는 이날 “미국 측으로부터 아직 통지받지 못해 세부 사항을 확인하지 못했다”는 입장을 냈습니다. 칠레 구리공사인 코델코(Codelco) 역시 별다른 입장을 내진 않았다고 현지 일간 라테르세라는 보도했습니다.
구리 관세는 향후 10년간 구리 금속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는 전망과 맞물려 나왔습니다.
블룸버그는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자동차와 전력 부문 업계는 전기차 생산이나 전력망 용량 확대를 위한 원자재인 구리 확보에 지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수출업체들은 최근 몇 달간 관세 부과를 미리 대비해 미국으로의 선적량을 늘리는 추세였다고 합니다.
구리 가격 급등은 관세 도입 전 수출 물량을 신속히 미국으로 실어 놓으려는 추가 유인을 제공할 것으로 블룸버그는 내다봤습니다.
국제 유가 역시 관세와 중동 지역 긴장 상황 등 영향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브렌트유 9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57달러(0.82%) 오른 배럴당 70.15달러에 마감했고, 서부텍사스산원유 8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40달러(0.59%) 상승한 배럴당 68.33달러에 장을 마쳤습니다.
이는 6월 23일 이후 2거래일 연속 최고가 마감입니다.
이날 유가 시장 전반에 불확실성이 높아진 가운데 글로벌 경제와 원유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이어졌다고 CNBC는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