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이진숙 논문 의혹, 청문회서 해명 가능…김건희 수준 아냐”
입력 2025.07.09 (09:21)
수정 2025.07.09 (09: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이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 등과 관련해 “청문회를 통해서 해명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오늘(9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표절이란 말을 어떤 기준으로 볼 것인지에 따라서 좀 달라진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표절이 아닐 수도 있고 맞을 수도 있고 약간 그 경계에 있는 것 같다”며 “김건희 여사 수준의 표절이 아니다. 그 정도 되면 당에서도 막을 수 없겠지만 그런 건 아니라고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국회 교육위원회에서도 청문회를 통해서 해명 가능하다고 들었다”며 “표절 프로그램을 돌렸을 때 그렇게 높게 나오지는 않는다고 한다”고 전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이 후보자의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과 관련해선 “다 아시겠지만, 학계에서 관행처럼 이뤄지는 일들이기 때문에 실상은 그렇진 않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청문회 과정에서 소명이 될 것”이라며 “진짜 가로챈 건지 관행적으로 공동 연구를 해서 같이 논문을 써서 1 저자로 올린 것인지 그런 부분이 소명될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그래서 인사청문회 제도도 도덕성은 비공개로 검증하고 정책 검증 위주로 하면 좋을 것 같은데 법을 바꿔야 한다”며 ‘인사청문회법’ 개정 필요성을 재차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아울러 “인재난에 시달리고 있어서 정부에서도 차라리 검증된 정치인들이 낫겠다고 한다”며 “근데 정치인들이 많은 것도 아니다. (의석수가) 170명 가까이 되는데 이 정도 숫자는 많은 것도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 “이 대통령, 재정 필요한 법안은 ‘부처와 상의’ 지시”
문 수석부대표는 이재명 대통령이 그제(7일) 민주당 소속 상임위원장·간사단 만찬에서 “재정이 들어가는 법안은 부처와 상의해서 추진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장관이 새로 오면 장관들하고 재정이 수반되는 법안들은 논의해서 진행하면 좋겠다는 취지였다”며 “이미 그렇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특정 법안을 염두에 두고 발언한 것이냐는 질문엔 “개별 법안에 대한 지침은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검찰개혁 4법’ 추진 일정에 대해서는 “3개월 이내에 다 하겠다는 것”이라며 “(법안에 대한) 그림만 그려지면 본회의 통과는 시간이 안 걸릴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상법 개정안’ 추가 보완 입법에 대해선 “배임죄 문제와 함께 7월 국회에서 처리하는 게 맞다고 원내대표가 얘기했다”며 “모레(11일) 상법 개정안 공청회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대북전단 금지법, 7월 국회 통과가 목표”
‘대북전단 살포금지법’도 “가능하면 7월 국회에서 통과시키는 게 목표”라고 말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남북관계발전법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가 우리 상임위가 아니기 때문에 (국민의힘 소속) 상임위원장이 동의를 안 해주면 법안 심사 자체도 어렵고 통과도 어려워지니까 패스트트랙 지정 생각은 있다”며 “언제 지정할지는 고민해 보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민주당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오늘(9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표절이란 말을 어떤 기준으로 볼 것인지에 따라서 좀 달라진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표절이 아닐 수도 있고 맞을 수도 있고 약간 그 경계에 있는 것 같다”며 “김건희 여사 수준의 표절이 아니다. 그 정도 되면 당에서도 막을 수 없겠지만 그런 건 아니라고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국회 교육위원회에서도 청문회를 통해서 해명 가능하다고 들었다”며 “표절 프로그램을 돌렸을 때 그렇게 높게 나오지는 않는다고 한다”고 전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이 후보자의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과 관련해선 “다 아시겠지만, 학계에서 관행처럼 이뤄지는 일들이기 때문에 실상은 그렇진 않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청문회 과정에서 소명이 될 것”이라며 “진짜 가로챈 건지 관행적으로 공동 연구를 해서 같이 논문을 써서 1 저자로 올린 것인지 그런 부분이 소명될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그래서 인사청문회 제도도 도덕성은 비공개로 검증하고 정책 검증 위주로 하면 좋을 것 같은데 법을 바꿔야 한다”며 ‘인사청문회법’ 개정 필요성을 재차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아울러 “인재난에 시달리고 있어서 정부에서도 차라리 검증된 정치인들이 낫겠다고 한다”며 “근데 정치인들이 많은 것도 아니다. (의석수가) 170명 가까이 되는데 이 정도 숫자는 많은 것도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 “이 대통령, 재정 필요한 법안은 ‘부처와 상의’ 지시”
문 수석부대표는 이재명 대통령이 그제(7일) 민주당 소속 상임위원장·간사단 만찬에서 “재정이 들어가는 법안은 부처와 상의해서 추진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장관이 새로 오면 장관들하고 재정이 수반되는 법안들은 논의해서 진행하면 좋겠다는 취지였다”며 “이미 그렇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특정 법안을 염두에 두고 발언한 것이냐는 질문엔 “개별 법안에 대한 지침은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검찰개혁 4법’ 추진 일정에 대해서는 “3개월 이내에 다 하겠다는 것”이라며 “(법안에 대한) 그림만 그려지면 본회의 통과는 시간이 안 걸릴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상법 개정안’ 추가 보완 입법에 대해선 “배임죄 문제와 함께 7월 국회에서 처리하는 게 맞다고 원내대표가 얘기했다”며 “모레(11일) 상법 개정안 공청회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대북전단 금지법, 7월 국회 통과가 목표”
‘대북전단 살포금지법’도 “가능하면 7월 국회에서 통과시키는 게 목표”라고 말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남북관계발전법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가 우리 상임위가 아니기 때문에 (국민의힘 소속) 상임위원장이 동의를 안 해주면 법안 심사 자체도 어렵고 통과도 어려워지니까 패스트트랙 지정 생각은 있다”며 “언제 지정할지는 고민해 보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민주당 “이진숙 논문 의혹, 청문회서 해명 가능…김건희 수준 아냐”
-
- 입력 2025-07-09 09:21:46
- 수정2025-07-09 09:26:13

더불어민주당이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 등과 관련해 “청문회를 통해서 해명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오늘(9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표절이란 말을 어떤 기준으로 볼 것인지에 따라서 좀 달라진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표절이 아닐 수도 있고 맞을 수도 있고 약간 그 경계에 있는 것 같다”며 “김건희 여사 수준의 표절이 아니다. 그 정도 되면 당에서도 막을 수 없겠지만 그런 건 아니라고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국회 교육위원회에서도 청문회를 통해서 해명 가능하다고 들었다”며 “표절 프로그램을 돌렸을 때 그렇게 높게 나오지는 않는다고 한다”고 전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이 후보자의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과 관련해선 “다 아시겠지만, 학계에서 관행처럼 이뤄지는 일들이기 때문에 실상은 그렇진 않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청문회 과정에서 소명이 될 것”이라며 “진짜 가로챈 건지 관행적으로 공동 연구를 해서 같이 논문을 써서 1 저자로 올린 것인지 그런 부분이 소명될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그래서 인사청문회 제도도 도덕성은 비공개로 검증하고 정책 검증 위주로 하면 좋을 것 같은데 법을 바꿔야 한다”며 ‘인사청문회법’ 개정 필요성을 재차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아울러 “인재난에 시달리고 있어서 정부에서도 차라리 검증된 정치인들이 낫겠다고 한다”며 “근데 정치인들이 많은 것도 아니다. (의석수가) 170명 가까이 되는데 이 정도 숫자는 많은 것도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 “이 대통령, 재정 필요한 법안은 ‘부처와 상의’ 지시”
문 수석부대표는 이재명 대통령이 그제(7일) 민주당 소속 상임위원장·간사단 만찬에서 “재정이 들어가는 법안은 부처와 상의해서 추진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장관이 새로 오면 장관들하고 재정이 수반되는 법안들은 논의해서 진행하면 좋겠다는 취지였다”며 “이미 그렇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특정 법안을 염두에 두고 발언한 것이냐는 질문엔 “개별 법안에 대한 지침은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검찰개혁 4법’ 추진 일정에 대해서는 “3개월 이내에 다 하겠다는 것”이라며 “(법안에 대한) 그림만 그려지면 본회의 통과는 시간이 안 걸릴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상법 개정안’ 추가 보완 입법에 대해선 “배임죄 문제와 함께 7월 국회에서 처리하는 게 맞다고 원내대표가 얘기했다”며 “모레(11일) 상법 개정안 공청회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대북전단 금지법, 7월 국회 통과가 목표”
‘대북전단 살포금지법’도 “가능하면 7월 국회에서 통과시키는 게 목표”라고 말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남북관계발전법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가 우리 상임위가 아니기 때문에 (국민의힘 소속) 상임위원장이 동의를 안 해주면 법안 심사 자체도 어렵고 통과도 어려워지니까 패스트트랙 지정 생각은 있다”며 “언제 지정할지는 고민해 보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민주당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오늘(9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표절이란 말을 어떤 기준으로 볼 것인지에 따라서 좀 달라진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표절이 아닐 수도 있고 맞을 수도 있고 약간 그 경계에 있는 것 같다”며 “김건희 여사 수준의 표절이 아니다. 그 정도 되면 당에서도 막을 수 없겠지만 그런 건 아니라고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국회 교육위원회에서도 청문회를 통해서 해명 가능하다고 들었다”며 “표절 프로그램을 돌렸을 때 그렇게 높게 나오지는 않는다고 한다”고 전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이 후보자의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과 관련해선 “다 아시겠지만, 학계에서 관행처럼 이뤄지는 일들이기 때문에 실상은 그렇진 않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청문회 과정에서 소명이 될 것”이라며 “진짜 가로챈 건지 관행적으로 공동 연구를 해서 같이 논문을 써서 1 저자로 올린 것인지 그런 부분이 소명될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그래서 인사청문회 제도도 도덕성은 비공개로 검증하고 정책 검증 위주로 하면 좋을 것 같은데 법을 바꿔야 한다”며 ‘인사청문회법’ 개정 필요성을 재차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아울러 “인재난에 시달리고 있어서 정부에서도 차라리 검증된 정치인들이 낫겠다고 한다”며 “근데 정치인들이 많은 것도 아니다. (의석수가) 170명 가까이 되는데 이 정도 숫자는 많은 것도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 “이 대통령, 재정 필요한 법안은 ‘부처와 상의’ 지시”
문 수석부대표는 이재명 대통령이 그제(7일) 민주당 소속 상임위원장·간사단 만찬에서 “재정이 들어가는 법안은 부처와 상의해서 추진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장관이 새로 오면 장관들하고 재정이 수반되는 법안들은 논의해서 진행하면 좋겠다는 취지였다”며 “이미 그렇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특정 법안을 염두에 두고 발언한 것이냐는 질문엔 “개별 법안에 대한 지침은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검찰개혁 4법’ 추진 일정에 대해서는 “3개월 이내에 다 하겠다는 것”이라며 “(법안에 대한) 그림만 그려지면 본회의 통과는 시간이 안 걸릴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상법 개정안’ 추가 보완 입법에 대해선 “배임죄 문제와 함께 7월 국회에서 처리하는 게 맞다고 원내대표가 얘기했다”며 “모레(11일) 상법 개정안 공청회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대북전단 금지법, 7월 국회 통과가 목표”
‘대북전단 살포금지법’도 “가능하면 7월 국회에서 통과시키는 게 목표”라고 말했습니다.
문 수석부대표는 “남북관계발전법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가 우리 상임위가 아니기 때문에 (국민의힘 소속) 상임위원장이 동의를 안 해주면 법안 심사 자체도 어렵고 통과도 어려워지니까 패스트트랙 지정 생각은 있다”며 “언제 지정할지는 고민해 보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최유경 기자 60@kbs.co.kr
최유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