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번이 1234?”…개인정보위, 허술한 IP 카메라 운영 ‘경고’
입력 2025.07.10 (12:01)
수정 2025.07.10 (1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파트나 상가에서 CCTV처럼 사용되는 아이피(IP) 카메라를 허술하게 관리한 운영자들이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오늘(10일),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경각심 없이 안전 조치 의무를 소홀히 해 온 175개 IP카메라 운영자가 확인됐다며 엄중 경고하고, 보안 조치 개선을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개인정보위 조사 결과, 이들 운영자는 IP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NVR(네트워크 비디오 리코더)의 IP 주소를 ‘공개’로 설정하고, 관리자 계정(아이디/비밀번호)을 ‘admin/1234’ 등 추측하기 쉬운 단순한 형태로 설정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경우 권한이 없는 사람도 손쉽게 네트워크에 접속해 영상 정보를 관측할 수 있어, 개인 정보가 침해될 우려가 있다고 개인정보위는 설명했습니다.
개인정보위는 지난해 5월, 아파트와 상가, 공원, 도로 등 다중이용시설의 관제 목적으로 운영되는 네트워크 형태 IP 카메라의 보안이 취약하다는 공익 신고를 받고 조사에 나섰습니다.
다만 현재는 175개 운영자 모두 IP주소를 비공개로 전환하고 비밀번호를 바꾸는 등 보안 조치를 마쳤고, 추가로 확인된 피해 사례가 없어 엄중 경고로 마무리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시중에 ‘직구’ 형태로 유통되는 IP 카메라의 허술한 보안 수준도 조사 과정에서 함께 확인됐습니다.
개인정보위는 지난 2월부터 국내에 정식 발매된 IP카메라 3개와 해외 직구 제품 3개를 구매량이 가장 많은 순으로 골라 조사한 결과, 해외 직구 제품에서 개인정보 보호 조치가 전반적으로 미흡한 점이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개인정보위에 따르면, 국내 정식 발매 제품은 최초 접속 시 반드시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하고, 비밀번호도 최소 6자리 이상, 숫자와 영어 대·소문자 등을 섞어 써야 하는 등 설정 규칙이 까다로웠습니다.
또 특정 아이피에 대해 접속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도 갖추고 있었지만, 해외 직구 제품은 이러한 기능이 부재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초기 비밀번호 설정값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복잡한 규칙 없이 한 자리 숫자로도 비밀번호를 쓸 수 있는 경우가 있었고, 일부 직구 제품에선 비밀번호 없이도 네트워크에 들어가 IP 카메라 영상을 볼 수 있었습니다.
개인정보위는 국내 정식 유통 제품을 쓰도록 IP카메라 운영자와 사용자들의 경각심을 당부하는 한편, 주요 다중이용시설의 IP카메라 실태 점검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오늘(10일),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경각심 없이 안전 조치 의무를 소홀히 해 온 175개 IP카메라 운영자가 확인됐다며 엄중 경고하고, 보안 조치 개선을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개인정보위 조사 결과, 이들 운영자는 IP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NVR(네트워크 비디오 리코더)의 IP 주소를 ‘공개’로 설정하고, 관리자 계정(아이디/비밀번호)을 ‘admin/1234’ 등 추측하기 쉬운 단순한 형태로 설정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경우 권한이 없는 사람도 손쉽게 네트워크에 접속해 영상 정보를 관측할 수 있어, 개인 정보가 침해될 우려가 있다고 개인정보위는 설명했습니다.
개인정보위는 지난해 5월, 아파트와 상가, 공원, 도로 등 다중이용시설의 관제 목적으로 운영되는 네트워크 형태 IP 카메라의 보안이 취약하다는 공익 신고를 받고 조사에 나섰습니다.
다만 현재는 175개 운영자 모두 IP주소를 비공개로 전환하고 비밀번호를 바꾸는 등 보안 조치를 마쳤고, 추가로 확인된 피해 사례가 없어 엄중 경고로 마무리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시중에 ‘직구’ 형태로 유통되는 IP 카메라의 허술한 보안 수준도 조사 과정에서 함께 확인됐습니다.
개인정보위는 지난 2월부터 국내에 정식 발매된 IP카메라 3개와 해외 직구 제품 3개를 구매량이 가장 많은 순으로 골라 조사한 결과, 해외 직구 제품에서 개인정보 보호 조치가 전반적으로 미흡한 점이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개인정보위에 따르면, 국내 정식 발매 제품은 최초 접속 시 반드시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하고, 비밀번호도 최소 6자리 이상, 숫자와 영어 대·소문자 등을 섞어 써야 하는 등 설정 규칙이 까다로웠습니다.
또 특정 아이피에 대해 접속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도 갖추고 있었지만, 해외 직구 제품은 이러한 기능이 부재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초기 비밀번호 설정값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복잡한 규칙 없이 한 자리 숫자로도 비밀번호를 쓸 수 있는 경우가 있었고, 일부 직구 제품에선 비밀번호 없이도 네트워크에 들어가 IP 카메라 영상을 볼 수 있었습니다.
개인정보위는 국내 정식 유통 제품을 쓰도록 IP카메라 운영자와 사용자들의 경각심을 당부하는 한편, 주요 다중이용시설의 IP카메라 실태 점검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비번이 1234?”…개인정보위, 허술한 IP 카메라 운영 ‘경고’
-
- 입력 2025-07-10 12:01:10
- 수정2025-07-10 12:12:49

아파트나 상가에서 CCTV처럼 사용되는 아이피(IP) 카메라를 허술하게 관리한 운영자들이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오늘(10일),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경각심 없이 안전 조치 의무를 소홀히 해 온 175개 IP카메라 운영자가 확인됐다며 엄중 경고하고, 보안 조치 개선을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개인정보위 조사 결과, 이들 운영자는 IP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NVR(네트워크 비디오 리코더)의 IP 주소를 ‘공개’로 설정하고, 관리자 계정(아이디/비밀번호)을 ‘admin/1234’ 등 추측하기 쉬운 단순한 형태로 설정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경우 권한이 없는 사람도 손쉽게 네트워크에 접속해 영상 정보를 관측할 수 있어, 개인 정보가 침해될 우려가 있다고 개인정보위는 설명했습니다.
개인정보위는 지난해 5월, 아파트와 상가, 공원, 도로 등 다중이용시설의 관제 목적으로 운영되는 네트워크 형태 IP 카메라의 보안이 취약하다는 공익 신고를 받고 조사에 나섰습니다.
다만 현재는 175개 운영자 모두 IP주소를 비공개로 전환하고 비밀번호를 바꾸는 등 보안 조치를 마쳤고, 추가로 확인된 피해 사례가 없어 엄중 경고로 마무리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시중에 ‘직구’ 형태로 유통되는 IP 카메라의 허술한 보안 수준도 조사 과정에서 함께 확인됐습니다.
개인정보위는 지난 2월부터 국내에 정식 발매된 IP카메라 3개와 해외 직구 제품 3개를 구매량이 가장 많은 순으로 골라 조사한 결과, 해외 직구 제품에서 개인정보 보호 조치가 전반적으로 미흡한 점이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개인정보위에 따르면, 국내 정식 발매 제품은 최초 접속 시 반드시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하고, 비밀번호도 최소 6자리 이상, 숫자와 영어 대·소문자 등을 섞어 써야 하는 등 설정 규칙이 까다로웠습니다.
또 특정 아이피에 대해 접속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도 갖추고 있었지만, 해외 직구 제품은 이러한 기능이 부재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초기 비밀번호 설정값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복잡한 규칙 없이 한 자리 숫자로도 비밀번호를 쓸 수 있는 경우가 있었고, 일부 직구 제품에선 비밀번호 없이도 네트워크에 들어가 IP 카메라 영상을 볼 수 있었습니다.
개인정보위는 국내 정식 유통 제품을 쓰도록 IP카메라 운영자와 사용자들의 경각심을 당부하는 한편, 주요 다중이용시설의 IP카메라 실태 점검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오늘(10일),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경각심 없이 안전 조치 의무를 소홀히 해 온 175개 IP카메라 운영자가 확인됐다며 엄중 경고하고, 보안 조치 개선을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개인정보위 조사 결과, 이들 운영자는 IP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NVR(네트워크 비디오 리코더)의 IP 주소를 ‘공개’로 설정하고, 관리자 계정(아이디/비밀번호)을 ‘admin/1234’ 등 추측하기 쉬운 단순한 형태로 설정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경우 권한이 없는 사람도 손쉽게 네트워크에 접속해 영상 정보를 관측할 수 있어, 개인 정보가 침해될 우려가 있다고 개인정보위는 설명했습니다.
개인정보위는 지난해 5월, 아파트와 상가, 공원, 도로 등 다중이용시설의 관제 목적으로 운영되는 네트워크 형태 IP 카메라의 보안이 취약하다는 공익 신고를 받고 조사에 나섰습니다.
다만 현재는 175개 운영자 모두 IP주소를 비공개로 전환하고 비밀번호를 바꾸는 등 보안 조치를 마쳤고, 추가로 확인된 피해 사례가 없어 엄중 경고로 마무리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시중에 ‘직구’ 형태로 유통되는 IP 카메라의 허술한 보안 수준도 조사 과정에서 함께 확인됐습니다.
개인정보위는 지난 2월부터 국내에 정식 발매된 IP카메라 3개와 해외 직구 제품 3개를 구매량이 가장 많은 순으로 골라 조사한 결과, 해외 직구 제품에서 개인정보 보호 조치가 전반적으로 미흡한 점이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개인정보위에 따르면, 국내 정식 발매 제품은 최초 접속 시 반드시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하고, 비밀번호도 최소 6자리 이상, 숫자와 영어 대·소문자 등을 섞어 써야 하는 등 설정 규칙이 까다로웠습니다.
또 특정 아이피에 대해 접속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도 갖추고 있었지만, 해외 직구 제품은 이러한 기능이 부재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초기 비밀번호 설정값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복잡한 규칙 없이 한 자리 숫자로도 비밀번호를 쓸 수 있는 경우가 있었고, 일부 직구 제품에선 비밀번호 없이도 네트워크에 들어가 IP 카메라 영상을 볼 수 있었습니다.
개인정보위는 국내 정식 유통 제품을 쓰도록 IP카메라 운영자와 사용자들의 경각심을 당부하는 한편, 주요 다중이용시설의 IP카메라 실태 점검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