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 심판, 마이크 잡는다’ 축구협회, VAR 판독 결과 장내 방송 도입 추진
입력 2025.07.10 (14:00)
수정 2025.07.10 (14: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축구 K리그에서 비디오 판독(VAR) 이후 심판이 직접 장내 방송을 통해 관중들에게 설명하는 제도가 도입됩니다.
대한축구협회와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오늘(10일) 보도자료를 통해 K리그에서의 VAR 판독 결과 장내 방송(VAR Public Announcement, 이하 VAR PA) 도입을 위한 준비 작업을 본격화한다고 밝혔습니다.
VAR PA는 주심이 온필드 리뷰를 통해 판정을 내린 뒤 경기장 스피커를 통해 해당 판정의 이유를 관중에게 직접 설명하는 제도로, 판정의 투명성과 소통 강화를 목적으로 국제축구연맹(FIFA)을 비롯한 세계 주요 리그에서 단계적으로 도입되고 있습니다.
FIFA는 2023년 클럽월드컵에서 처음으로 VAR PA를 적용한 이후, 2023 FIFA 여자월드컵과 현재 열리고 있는 2025 클럽월드컵에서도 해당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미국 메이저리그사커(MLS) 역시 2023년부터 VAR PA를 도입했고, 독일 분데스리가는 2024/25 시즌 시범 운영을 거쳐 2025-26시즌 정식 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 잉글랜드도 카라바오컵 4강전부터 이를 시범 도입했으며, 프리미어리그에서는 2025-26시즌부터의 도입을 논의 중입니다.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협회와 연맹은 올 시즌 내 도입을 목표로 지난 4월부터 VAR PA 운영 방안을 공동 논의해 왔고, 지난달 26일 K리그 심판진을 대상으로 첫 교육을 실시한 바 있습니다. 협회는 교육과 매뉴얼 정비를, 연맹은 경기장 장비 구축을 담당해 도입 준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선 오는 13일 일요일 안산 와스타디움에서 개최되는 K리그2 안산과 서울 이랜드전에서의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점차 도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협회는 이번 시범 경기를 통해 실제 경기 상황에서 VAR PA의 기술적 완성도와 운영 가능성을 검증하고 향후 본격적인 도입 시의 범위와 방식 등을 구체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
VAR PA 도입을 위한 심판 교육은 7~8월 추가로 이어질 예정이며, 장비가 완비되지 않은 경기장에서는 무선 마이크를 활용한 판정 브리핑 방식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대한축구협회 김동기 심판팀장은 “VAR PA 도입은 판정에 대한 팬과 미디어의 이해도를 높이고 신뢰를 제고하기 위한 시도지만, 본격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심판 교육과 경기장 시설 및 장비 구축 등 선행되어야 할 부분들이 있다”면서 “시범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축구연맹과의 협의를 통해 도입 범위와 시점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대한축구협회와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오늘(10일) 보도자료를 통해 K리그에서의 VAR 판독 결과 장내 방송(VAR Public Announcement, 이하 VAR PA) 도입을 위한 준비 작업을 본격화한다고 밝혔습니다.
VAR PA는 주심이 온필드 리뷰를 통해 판정을 내린 뒤 경기장 스피커를 통해 해당 판정의 이유를 관중에게 직접 설명하는 제도로, 판정의 투명성과 소통 강화를 목적으로 국제축구연맹(FIFA)을 비롯한 세계 주요 리그에서 단계적으로 도입되고 있습니다.
FIFA는 2023년 클럽월드컵에서 처음으로 VAR PA를 적용한 이후, 2023 FIFA 여자월드컵과 현재 열리고 있는 2025 클럽월드컵에서도 해당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미국 메이저리그사커(MLS) 역시 2023년부터 VAR PA를 도입했고, 독일 분데스리가는 2024/25 시즌 시범 운영을 거쳐 2025-26시즌 정식 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 잉글랜드도 카라바오컵 4강전부터 이를 시범 도입했으며, 프리미어리그에서는 2025-26시즌부터의 도입을 논의 중입니다.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협회와 연맹은 올 시즌 내 도입을 목표로 지난 4월부터 VAR PA 운영 방안을 공동 논의해 왔고, 지난달 26일 K리그 심판진을 대상으로 첫 교육을 실시한 바 있습니다. 협회는 교육과 매뉴얼 정비를, 연맹은 경기장 장비 구축을 담당해 도입 준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선 오는 13일 일요일 안산 와스타디움에서 개최되는 K리그2 안산과 서울 이랜드전에서의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점차 도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협회는 이번 시범 경기를 통해 실제 경기 상황에서 VAR PA의 기술적 완성도와 운영 가능성을 검증하고 향후 본격적인 도입 시의 범위와 방식 등을 구체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
VAR PA 도입을 위한 심판 교육은 7~8월 추가로 이어질 예정이며, 장비가 완비되지 않은 경기장에서는 무선 마이크를 활용한 판정 브리핑 방식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대한축구협회 김동기 심판팀장은 “VAR PA 도입은 판정에 대한 팬과 미디어의 이해도를 높이고 신뢰를 제고하기 위한 시도지만, 본격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심판 교육과 경기장 시설 및 장비 구축 등 선행되어야 할 부분들이 있다”면서 “시범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축구연맹과의 협의를 통해 도입 범위와 시점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K리그 심판, 마이크 잡는다’ 축구협회, VAR 판독 결과 장내 방송 도입 추진
-
- 입력 2025-07-10 14:00:43
- 수정2025-07-10 14:01:06

프로축구 K리그에서 비디오 판독(VAR) 이후 심판이 직접 장내 방송을 통해 관중들에게 설명하는 제도가 도입됩니다.
대한축구협회와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오늘(10일) 보도자료를 통해 K리그에서의 VAR 판독 결과 장내 방송(VAR Public Announcement, 이하 VAR PA) 도입을 위한 준비 작업을 본격화한다고 밝혔습니다.
VAR PA는 주심이 온필드 리뷰를 통해 판정을 내린 뒤 경기장 스피커를 통해 해당 판정의 이유를 관중에게 직접 설명하는 제도로, 판정의 투명성과 소통 강화를 목적으로 국제축구연맹(FIFA)을 비롯한 세계 주요 리그에서 단계적으로 도입되고 있습니다.
FIFA는 2023년 클럽월드컵에서 처음으로 VAR PA를 적용한 이후, 2023 FIFA 여자월드컵과 현재 열리고 있는 2025 클럽월드컵에서도 해당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미국 메이저리그사커(MLS) 역시 2023년부터 VAR PA를 도입했고, 독일 분데스리가는 2024/25 시즌 시범 운영을 거쳐 2025-26시즌 정식 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 잉글랜드도 카라바오컵 4강전부터 이를 시범 도입했으며, 프리미어리그에서는 2025-26시즌부터의 도입을 논의 중입니다.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협회와 연맹은 올 시즌 내 도입을 목표로 지난 4월부터 VAR PA 운영 방안을 공동 논의해 왔고, 지난달 26일 K리그 심판진을 대상으로 첫 교육을 실시한 바 있습니다. 협회는 교육과 매뉴얼 정비를, 연맹은 경기장 장비 구축을 담당해 도입 준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선 오는 13일 일요일 안산 와스타디움에서 개최되는 K리그2 안산과 서울 이랜드전에서의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점차 도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협회는 이번 시범 경기를 통해 실제 경기 상황에서 VAR PA의 기술적 완성도와 운영 가능성을 검증하고 향후 본격적인 도입 시의 범위와 방식 등을 구체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
VAR PA 도입을 위한 심판 교육은 7~8월 추가로 이어질 예정이며, 장비가 완비되지 않은 경기장에서는 무선 마이크를 활용한 판정 브리핑 방식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대한축구협회 김동기 심판팀장은 “VAR PA 도입은 판정에 대한 팬과 미디어의 이해도를 높이고 신뢰를 제고하기 위한 시도지만, 본격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심판 교육과 경기장 시설 및 장비 구축 등 선행되어야 할 부분들이 있다”면서 “시범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축구연맹과의 협의를 통해 도입 범위와 시점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대한축구협회와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오늘(10일) 보도자료를 통해 K리그에서의 VAR 판독 결과 장내 방송(VAR Public Announcement, 이하 VAR PA) 도입을 위한 준비 작업을 본격화한다고 밝혔습니다.
VAR PA는 주심이 온필드 리뷰를 통해 판정을 내린 뒤 경기장 스피커를 통해 해당 판정의 이유를 관중에게 직접 설명하는 제도로, 판정의 투명성과 소통 강화를 목적으로 국제축구연맹(FIFA)을 비롯한 세계 주요 리그에서 단계적으로 도입되고 있습니다.
FIFA는 2023년 클럽월드컵에서 처음으로 VAR PA를 적용한 이후, 2023 FIFA 여자월드컵과 현재 열리고 있는 2025 클럽월드컵에서도 해당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미국 메이저리그사커(MLS) 역시 2023년부터 VAR PA를 도입했고, 독일 분데스리가는 2024/25 시즌 시범 운영을 거쳐 2025-26시즌 정식 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 잉글랜드도 카라바오컵 4강전부터 이를 시범 도입했으며, 프리미어리그에서는 2025-26시즌부터의 도입을 논의 중입니다.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협회와 연맹은 올 시즌 내 도입을 목표로 지난 4월부터 VAR PA 운영 방안을 공동 논의해 왔고, 지난달 26일 K리그 심판진을 대상으로 첫 교육을 실시한 바 있습니다. 협회는 교육과 매뉴얼 정비를, 연맹은 경기장 장비 구축을 담당해 도입 준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선 오는 13일 일요일 안산 와스타디움에서 개최되는 K리그2 안산과 서울 이랜드전에서의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점차 도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협회는 이번 시범 경기를 통해 실제 경기 상황에서 VAR PA의 기술적 완성도와 운영 가능성을 검증하고 향후 본격적인 도입 시의 범위와 방식 등을 구체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
VAR PA 도입을 위한 심판 교육은 7~8월 추가로 이어질 예정이며, 장비가 완비되지 않은 경기장에서는 무선 마이크를 활용한 판정 브리핑 방식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대한축구협회 김동기 심판팀장은 “VAR PA 도입은 판정에 대한 팬과 미디어의 이해도를 높이고 신뢰를 제고하기 위한 시도지만, 본격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심판 교육과 경기장 시설 및 장비 구축 등 선행되어야 할 부분들이 있다”면서 “시범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축구연맹과의 협의를 통해 도입 범위와 시점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화영 기자 hwa0@kbs.co.kr
김화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