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C+ 증산 중단 가능성에 수요 우려…WTI, 2.7% 하락
입력 2025.07.11 (04:35)
수정 2025.07.11 (04: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욕 유가가 주요 산유국의 증산 중단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2% 넘게 하락했습니다.
미국 동부시간 10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보다 1.81달러, 2.65% 하락한 배럴당 66.5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브렌트유 9월물은 1.55달러, 2.21% 내린 68.64달러에 마감했습니다.
외신들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으로 구성된 OPEC+가 오는 10월부터 더는 증산하지 않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OPEC+는 올해 4월부터 원유 생산량을 꾸준히 늘려왔고, 8월에는 하루에 54만8천배럴을 늘리기로 합의했는데 보도에 따르면 OPEC+는 오는 9월까지 증산을 추진한 뒤, 10월부터는 더 늘리지 않고 유지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JP모건체이스와 씨티그룹은 OPEC+의 원유 공급과잉으로 국제유가가 올해 말 배럴당 60달러까지 내림세를 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컨설팅 회사인 FGE는 OPEC+가 공급과잉을 고려할 때 올해 말부터 2026년까지 다시 감산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여기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경한 무역 정책 때문에 수요 둔화가 우려되면서 유가에 약세 압력을 준 것으로 풀이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라틴아메리카 최대 경제국인 브라질을 상대로 오는 8월 1일부터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필리핀과 이라크 등 여러 국가에 관세 부과를 예고하는 서한을 추가로 발송했고 구리, 반도체, 의약품 등 주요 품목에 대한 관세 계획도 제시한 상태입니다.
오닉스 캐피털 그룹의 해리 칠링귀리안 리서치 총괄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일관성이 부족하고 자주 번복돼 시장의 반응이 점점 둔감해지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많은 투자자가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동부시간 10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보다 1.81달러, 2.65% 하락한 배럴당 66.5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브렌트유 9월물은 1.55달러, 2.21% 내린 68.64달러에 마감했습니다.
외신들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으로 구성된 OPEC+가 오는 10월부터 더는 증산하지 않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OPEC+는 올해 4월부터 원유 생산량을 꾸준히 늘려왔고, 8월에는 하루에 54만8천배럴을 늘리기로 합의했는데 보도에 따르면 OPEC+는 오는 9월까지 증산을 추진한 뒤, 10월부터는 더 늘리지 않고 유지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JP모건체이스와 씨티그룹은 OPEC+의 원유 공급과잉으로 국제유가가 올해 말 배럴당 60달러까지 내림세를 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컨설팅 회사인 FGE는 OPEC+가 공급과잉을 고려할 때 올해 말부터 2026년까지 다시 감산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여기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경한 무역 정책 때문에 수요 둔화가 우려되면서 유가에 약세 압력을 준 것으로 풀이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라틴아메리카 최대 경제국인 브라질을 상대로 오는 8월 1일부터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필리핀과 이라크 등 여러 국가에 관세 부과를 예고하는 서한을 추가로 발송했고 구리, 반도체, 의약품 등 주요 품목에 대한 관세 계획도 제시한 상태입니다.
오닉스 캐피털 그룹의 해리 칠링귀리안 리서치 총괄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일관성이 부족하고 자주 번복돼 시장의 반응이 점점 둔감해지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많은 투자자가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OPEC+ 증산 중단 가능성에 수요 우려…WTI, 2.7% 하락
-
- 입력 2025-07-11 04:35:16
- 수정2025-07-11 04:38:57

뉴욕 유가가 주요 산유국의 증산 중단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2% 넘게 하락했습니다.
미국 동부시간 10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보다 1.81달러, 2.65% 하락한 배럴당 66.5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브렌트유 9월물은 1.55달러, 2.21% 내린 68.64달러에 마감했습니다.
외신들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으로 구성된 OPEC+가 오는 10월부터 더는 증산하지 않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OPEC+는 올해 4월부터 원유 생산량을 꾸준히 늘려왔고, 8월에는 하루에 54만8천배럴을 늘리기로 합의했는데 보도에 따르면 OPEC+는 오는 9월까지 증산을 추진한 뒤, 10월부터는 더 늘리지 않고 유지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JP모건체이스와 씨티그룹은 OPEC+의 원유 공급과잉으로 국제유가가 올해 말 배럴당 60달러까지 내림세를 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컨설팅 회사인 FGE는 OPEC+가 공급과잉을 고려할 때 올해 말부터 2026년까지 다시 감산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여기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경한 무역 정책 때문에 수요 둔화가 우려되면서 유가에 약세 압력을 준 것으로 풀이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라틴아메리카 최대 경제국인 브라질을 상대로 오는 8월 1일부터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필리핀과 이라크 등 여러 국가에 관세 부과를 예고하는 서한을 추가로 발송했고 구리, 반도체, 의약품 등 주요 품목에 대한 관세 계획도 제시한 상태입니다.
오닉스 캐피털 그룹의 해리 칠링귀리안 리서치 총괄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일관성이 부족하고 자주 번복돼 시장의 반응이 점점 둔감해지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많은 투자자가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동부시간 10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보다 1.81달러, 2.65% 하락한 배럴당 66.5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브렌트유 9월물은 1.55달러, 2.21% 내린 68.64달러에 마감했습니다.
외신들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으로 구성된 OPEC+가 오는 10월부터 더는 증산하지 않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OPEC+는 올해 4월부터 원유 생산량을 꾸준히 늘려왔고, 8월에는 하루에 54만8천배럴을 늘리기로 합의했는데 보도에 따르면 OPEC+는 오는 9월까지 증산을 추진한 뒤, 10월부터는 더 늘리지 않고 유지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JP모건체이스와 씨티그룹은 OPEC+의 원유 공급과잉으로 국제유가가 올해 말 배럴당 60달러까지 내림세를 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컨설팅 회사인 FGE는 OPEC+가 공급과잉을 고려할 때 올해 말부터 2026년까지 다시 감산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여기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경한 무역 정책 때문에 수요 둔화가 우려되면서 유가에 약세 압력을 준 것으로 풀이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라틴아메리카 최대 경제국인 브라질을 상대로 오는 8월 1일부터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필리핀과 이라크 등 여러 국가에 관세 부과를 예고하는 서한을 추가로 발송했고 구리, 반도체, 의약품 등 주요 품목에 대한 관세 계획도 제시한 상태입니다.
오닉스 캐피털 그룹의 해리 칠링귀리안 리서치 총괄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일관성이 부족하고 자주 번복돼 시장의 반응이 점점 둔감해지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많은 투자자가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오수호 기자 odd@kbs.co.kr
오수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