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규제로 서울 집값 ‘주춤’…풍선효과?
입력 2025.07.11 (08:32)
수정 2025.07.11 (08: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의 대출 규제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줄었습니다.
이 때문에 투자 수요가 지방으로 쏠리는 이른바 '풍선 효과'가 나타날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데요,
전문가들은 지역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주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한 주 전에 비해 0.4% 올랐습니다.
7주 연속 이어지던 상승세가 주춤해진 겁니다.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는 등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로 과열 분위기가 진정된 겁니다.
반면 울산은 한 주전에 비해 0.03% 오르며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수도권에 집중된 투자 수요가 지방으로 쏠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하지만 전문가들은 과거와 달리 풍선 효과가 없거나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울산의 3천백여 가구 등 전국 미분양 주택의 80%가 지역에 몰려 있어 여전히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겁니다.
[이영래/부동산서베이 대표 : "취득세 중과 부분 때문에 여전히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상황인데, 서울 지역 내에 전세나 임대로 거주하면서 내 집 마련을 할 시기를 기다리는 형태로 바뀔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이 때문에 침체한 지역 부동산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선 양도소득세 감면 등의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심형석/우대빵부동산연구소 소장 : "뭔가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가야 되겠죠? 대출을 더 해 준다든지 5년 양도세 면제와 같이 세금을 과감하게 깎아준다든지 이런 정책들이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강력한 대출 규제로 수도권 집값 잡기에 나선 정부가 지역 부동산 시장에는 어떻게 대응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김근영
정부의 대출 규제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줄었습니다.
이 때문에 투자 수요가 지방으로 쏠리는 이른바 '풍선 효과'가 나타날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데요,
전문가들은 지역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주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한 주 전에 비해 0.4% 올랐습니다.
7주 연속 이어지던 상승세가 주춤해진 겁니다.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는 등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로 과열 분위기가 진정된 겁니다.
반면 울산은 한 주전에 비해 0.03% 오르며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수도권에 집중된 투자 수요가 지방으로 쏠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하지만 전문가들은 과거와 달리 풍선 효과가 없거나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울산의 3천백여 가구 등 전국 미분양 주택의 80%가 지역에 몰려 있어 여전히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겁니다.
[이영래/부동산서베이 대표 : "취득세 중과 부분 때문에 여전히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상황인데, 서울 지역 내에 전세나 임대로 거주하면서 내 집 마련을 할 시기를 기다리는 형태로 바뀔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이 때문에 침체한 지역 부동산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선 양도소득세 감면 등의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심형석/우대빵부동산연구소 소장 : "뭔가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가야 되겠죠? 대출을 더 해 준다든지 5년 양도세 면제와 같이 세금을 과감하게 깎아준다든지 이런 정책들이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강력한 대출 규제로 수도권 집값 잡기에 나선 정부가 지역 부동산 시장에는 어떻게 대응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김근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강도 규제로 서울 집값 ‘주춤’…풍선효과?
-
- 입력 2025-07-11 08:32:47
- 수정2025-07-11 08:40:09

[앵커]
정부의 대출 규제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줄었습니다.
이 때문에 투자 수요가 지방으로 쏠리는 이른바 '풍선 효과'가 나타날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데요,
전문가들은 지역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주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한 주 전에 비해 0.4% 올랐습니다.
7주 연속 이어지던 상승세가 주춤해진 겁니다.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는 등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로 과열 분위기가 진정된 겁니다.
반면 울산은 한 주전에 비해 0.03% 오르며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수도권에 집중된 투자 수요가 지방으로 쏠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하지만 전문가들은 과거와 달리 풍선 효과가 없거나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울산의 3천백여 가구 등 전국 미분양 주택의 80%가 지역에 몰려 있어 여전히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겁니다.
[이영래/부동산서베이 대표 : "취득세 중과 부분 때문에 여전히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상황인데, 서울 지역 내에 전세나 임대로 거주하면서 내 집 마련을 할 시기를 기다리는 형태로 바뀔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이 때문에 침체한 지역 부동산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선 양도소득세 감면 등의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심형석/우대빵부동산연구소 소장 : "뭔가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가야 되겠죠? 대출을 더 해 준다든지 5년 양도세 면제와 같이 세금을 과감하게 깎아준다든지 이런 정책들이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강력한 대출 규제로 수도권 집값 잡기에 나선 정부가 지역 부동산 시장에는 어떻게 대응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김근영
정부의 대출 규제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줄었습니다.
이 때문에 투자 수요가 지방으로 쏠리는 이른바 '풍선 효과'가 나타날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데요,
전문가들은 지역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주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한 주 전에 비해 0.4% 올랐습니다.
7주 연속 이어지던 상승세가 주춤해진 겁니다.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는 등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로 과열 분위기가 진정된 겁니다.
반면 울산은 한 주전에 비해 0.03% 오르며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수도권에 집중된 투자 수요가 지방으로 쏠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하지만 전문가들은 과거와 달리 풍선 효과가 없거나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울산의 3천백여 가구 등 전국 미분양 주택의 80%가 지역에 몰려 있어 여전히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겁니다.
[이영래/부동산서베이 대표 : "취득세 중과 부분 때문에 여전히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상황인데, 서울 지역 내에 전세나 임대로 거주하면서 내 집 마련을 할 시기를 기다리는 형태로 바뀔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이 때문에 침체한 지역 부동산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선 양도소득세 감면 등의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심형석/우대빵부동산연구소 소장 : "뭔가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가야 되겠죠? 대출을 더 해 준다든지 5년 양도세 면제와 같이 세금을 과감하게 깎아준다든지 이런 정책들이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강력한 대출 규제로 수도권 집값 잡기에 나선 정부가 지역 부동산 시장에는 어떻게 대응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김근영
-
-
박중관 기자 jkp@kbs.co.kr
박중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