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부장 “미국 국무장관 회담 건설적…동등한 대화 나눠”
입력 2025.07.12 (19:18)
수정 2025.07.12 (19: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이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의 어제(11일) 회담에 대해 건설적이고 동등한 대화를 나눴으며, 미중 간 접촉강화·오판 방지·이견 관리 등 다음 단계 교류의 길을 마련했다고 현지 시각 오늘(12일) 밝혔습니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 주임은 10∼1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외교장관 회의 참석 후 이날 중국 언론들과 한 인터뷰에서 루비오 장관과의 양자 회담에 대해 “이번 회담은 건설적이었으며, 양측은 상호 존중의 정신에 따라 평등한 대화를 나눴다”고 말했습니다.
왕 주임은 “중국은 중미 관계에 대한 우리의 원칙적 입장을 전반적으로 설명했다. 이는 미국의 중국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양국 외교팀의 다음 단계 교류를 위한 길을 마련했다고 믿는다”고 부연했습니다.
그는 향후 양국 교류에 대해 “몇 가지 단어로 요약할 수 있다”면서 “그것은 바로 접촉 강화, 오판 방지, 이견 관리, 협력 확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왕 주임은 또 양국이 “광범위한 공동이익을 확실하게 가지고 있으며 넓은 협력 공간도 존재한다”면서 “양국은 책임을 지니며 새로운 시기에 중미가 지구에서 올바르게 함께할 수 있는 길을 찾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왕 주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앞서 루비오 장관은 전날 왕 주임과 회담 후 기자들에게 양국 정상 모두 “정상회담에 대한 강한 열망이 있다”며 상호 합의 가능한 날짜를 찾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왕 주임은 중국·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버전 3.0’ 업그레이드 협상이 완료된 것과 관련해서는 “올해 10월 열리는 정상회의에 (개정안을) 제출해 승인 및 서명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어 중국과 아세안이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향후 5년 행동계획에 합의해 이 기간 40여개 분야에서 전방위적 협력 목표와 과제를 명확히 했다”고 말했습니다.
왕 주임은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와 관련해 국가 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남중국해 행동강령’에 대해서는 “(중국과 아세안) 양측은 남중국해 행동강령 협상이 3차 심의를 마친 것을 환영하며 2026년 안으로 협상을 완료하도록 노력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다만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을 부정한 2016년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 판결과 관련해서는 “사실인정과 법률적용 등 방면에서 모두 심각한 결함이 있으며 정치적 조작”이라는 중국 측 입장을 아세안 회원국들에 설명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 주임은 10∼1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외교장관 회의 참석 후 이날 중국 언론들과 한 인터뷰에서 루비오 장관과의 양자 회담에 대해 “이번 회담은 건설적이었으며, 양측은 상호 존중의 정신에 따라 평등한 대화를 나눴다”고 말했습니다.
왕 주임은 “중국은 중미 관계에 대한 우리의 원칙적 입장을 전반적으로 설명했다. 이는 미국의 중국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양국 외교팀의 다음 단계 교류를 위한 길을 마련했다고 믿는다”고 부연했습니다.
그는 향후 양국 교류에 대해 “몇 가지 단어로 요약할 수 있다”면서 “그것은 바로 접촉 강화, 오판 방지, 이견 관리, 협력 확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왕 주임은 또 양국이 “광범위한 공동이익을 확실하게 가지고 있으며 넓은 협력 공간도 존재한다”면서 “양국은 책임을 지니며 새로운 시기에 중미가 지구에서 올바르게 함께할 수 있는 길을 찾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왕 주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앞서 루비오 장관은 전날 왕 주임과 회담 후 기자들에게 양국 정상 모두 “정상회담에 대한 강한 열망이 있다”며 상호 합의 가능한 날짜를 찾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왕 주임은 중국·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버전 3.0’ 업그레이드 협상이 완료된 것과 관련해서는 “올해 10월 열리는 정상회의에 (개정안을) 제출해 승인 및 서명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어 중국과 아세안이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향후 5년 행동계획에 합의해 이 기간 40여개 분야에서 전방위적 협력 목표와 과제를 명확히 했다”고 말했습니다.
왕 주임은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와 관련해 국가 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남중국해 행동강령’에 대해서는 “(중국과 아세안) 양측은 남중국해 행동강령 협상이 3차 심의를 마친 것을 환영하며 2026년 안으로 협상을 완료하도록 노력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다만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을 부정한 2016년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 판결과 관련해서는 “사실인정과 법률적용 등 방면에서 모두 심각한 결함이 있으며 정치적 조작”이라는 중국 측 입장을 아세안 회원국들에 설명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외교부장 “미국 국무장관 회담 건설적…동등한 대화 나눠”
-
- 입력 2025-07-12 19:18:17
- 수정2025-07-12 19:21:01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이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의 어제(11일) 회담에 대해 건설적이고 동등한 대화를 나눴으며, 미중 간 접촉강화·오판 방지·이견 관리 등 다음 단계 교류의 길을 마련했다고 현지 시각 오늘(12일) 밝혔습니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 주임은 10∼1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외교장관 회의 참석 후 이날 중국 언론들과 한 인터뷰에서 루비오 장관과의 양자 회담에 대해 “이번 회담은 건설적이었으며, 양측은 상호 존중의 정신에 따라 평등한 대화를 나눴다”고 말했습니다.
왕 주임은 “중국은 중미 관계에 대한 우리의 원칙적 입장을 전반적으로 설명했다. 이는 미국의 중국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양국 외교팀의 다음 단계 교류를 위한 길을 마련했다고 믿는다”고 부연했습니다.
그는 향후 양국 교류에 대해 “몇 가지 단어로 요약할 수 있다”면서 “그것은 바로 접촉 강화, 오판 방지, 이견 관리, 협력 확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왕 주임은 또 양국이 “광범위한 공동이익을 확실하게 가지고 있으며 넓은 협력 공간도 존재한다”면서 “양국은 책임을 지니며 새로운 시기에 중미가 지구에서 올바르게 함께할 수 있는 길을 찾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왕 주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앞서 루비오 장관은 전날 왕 주임과 회담 후 기자들에게 양국 정상 모두 “정상회담에 대한 강한 열망이 있다”며 상호 합의 가능한 날짜를 찾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왕 주임은 중국·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버전 3.0’ 업그레이드 협상이 완료된 것과 관련해서는 “올해 10월 열리는 정상회의에 (개정안을) 제출해 승인 및 서명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어 중국과 아세안이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향후 5년 행동계획에 합의해 이 기간 40여개 분야에서 전방위적 협력 목표와 과제를 명확히 했다”고 말했습니다.
왕 주임은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와 관련해 국가 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남중국해 행동강령’에 대해서는 “(중국과 아세안) 양측은 남중국해 행동강령 협상이 3차 심의를 마친 것을 환영하며 2026년 안으로 협상을 완료하도록 노력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다만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을 부정한 2016년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 판결과 관련해서는 “사실인정과 법률적용 등 방면에서 모두 심각한 결함이 있으며 정치적 조작”이라는 중국 측 입장을 아세안 회원국들에 설명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 주임은 10∼1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외교장관 회의 참석 후 이날 중국 언론들과 한 인터뷰에서 루비오 장관과의 양자 회담에 대해 “이번 회담은 건설적이었으며, 양측은 상호 존중의 정신에 따라 평등한 대화를 나눴다”고 말했습니다.
왕 주임은 “중국은 중미 관계에 대한 우리의 원칙적 입장을 전반적으로 설명했다. 이는 미국의 중국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양국 외교팀의 다음 단계 교류를 위한 길을 마련했다고 믿는다”고 부연했습니다.
그는 향후 양국 교류에 대해 “몇 가지 단어로 요약할 수 있다”면서 “그것은 바로 접촉 강화, 오판 방지, 이견 관리, 협력 확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왕 주임은 또 양국이 “광범위한 공동이익을 확실하게 가지고 있으며 넓은 협력 공간도 존재한다”면서 “양국은 책임을 지니며 새로운 시기에 중미가 지구에서 올바르게 함께할 수 있는 길을 찾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왕 주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앞서 루비오 장관은 전날 왕 주임과 회담 후 기자들에게 양국 정상 모두 “정상회담에 대한 강한 열망이 있다”며 상호 합의 가능한 날짜를 찾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왕 주임은 중국·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버전 3.0’ 업그레이드 협상이 완료된 것과 관련해서는 “올해 10월 열리는 정상회의에 (개정안을) 제출해 승인 및 서명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어 중국과 아세안이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향후 5년 행동계획에 합의해 이 기간 40여개 분야에서 전방위적 협력 목표와 과제를 명확히 했다”고 말했습니다.
왕 주임은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와 관련해 국가 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남중국해 행동강령’에 대해서는 “(중국과 아세안) 양측은 남중국해 행동강령 협상이 3차 심의를 마친 것을 환영하며 2026년 안으로 협상을 완료하도록 노력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다만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을 부정한 2016년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 판결과 관련해서는 “사실인정과 법률적용 등 방면에서 모두 심각한 결함이 있으며 정치적 조작”이라는 중국 측 입장을 아세안 회원국들에 설명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
유호윤 기자 live@kbs.co.kr
유호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