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3분기 제조업 매출 둔화 전망…바이오·디스플레이는 호전 기대
입력 2025.07.13 (11:11)
수정 2025.07.13 (11: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 3분기 대부분 분야의 제조업 매출이 전 분기보다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다만 바이오헬스, 디스플레이 등 일부 분야 실적은 호전될 것으로 기대됐습니다.
산업연구원은 지난달 9~20일 국내 1천500개 제조업체를 상대로 경기실사지수(BSI) 조사를 한 결과, 3분기 매출 전망 BSI가 전 분기와 같은 95로 집계됐다고 오늘(13일) 밝혔습니다.
BSI는 100(전 분기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 분기보다 증가(개선)한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0에 근접할수록 감소(악화)했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뜻합니다.
이로써 분기별 매출 전망 BSI는 지난해 2분기 이후 5개 분기 연속으로 기준선인 100을 밑돌았습니다.
매출을 제외한 시황(93), 수출(94), 설비투자(97), 고용(97), 자금 사정(90) 등 다른 주요 항목의 4분기 전망 BSI도 기준인 100에 미치지 못 했습니다.
매출 전망 BSI를 업종별로 보면 바이오헬스(108), 무선통신기기(106), 디스플레이(102) 세 업종은 100 이상을 나타내 전 분기보다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됐습니다.
하지만 주력 산업인 반도체(97)를 비롯해 가전(94), 자동차(91), 조선(97), 일반기계(94), 정유(97), 화학(94), 철강(93) 등 대부분 업종이 기준선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2분기 제조업 매출 현황 BSI는 88로 전 분기보다는 11포인트 오른 것으로 조사됐지만, 여전히 기준선인 100에 미치지는 못 했습니다.
함께 실시된 설문조사에서 제조업체들은 내수 부진·재고 누증(53%·이하 복수 응답 가능), 대외 공급망 불확실성(37%), 금융시장 변동성(28%) 등을 경영 활동에 영향을 주는 부정적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새 정부에 기대하는 정책 지원을 묻자 내수 안정화 지원(50.9%), 금융시장 안정화 지원(37.9%), 물가 관리 강화(34.1%) 순으로 답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LG디스플레이 제공]
다만 바이오헬스, 디스플레이 등 일부 분야 실적은 호전될 것으로 기대됐습니다.
산업연구원은 지난달 9~20일 국내 1천500개 제조업체를 상대로 경기실사지수(BSI) 조사를 한 결과, 3분기 매출 전망 BSI가 전 분기와 같은 95로 집계됐다고 오늘(13일) 밝혔습니다.
BSI는 100(전 분기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 분기보다 증가(개선)한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0에 근접할수록 감소(악화)했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뜻합니다.
이로써 분기별 매출 전망 BSI는 지난해 2분기 이후 5개 분기 연속으로 기준선인 100을 밑돌았습니다.
매출을 제외한 시황(93), 수출(94), 설비투자(97), 고용(97), 자금 사정(90) 등 다른 주요 항목의 4분기 전망 BSI도 기준인 100에 미치지 못 했습니다.
매출 전망 BSI를 업종별로 보면 바이오헬스(108), 무선통신기기(106), 디스플레이(102) 세 업종은 100 이상을 나타내 전 분기보다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됐습니다.
하지만 주력 산업인 반도체(97)를 비롯해 가전(94), 자동차(91), 조선(97), 일반기계(94), 정유(97), 화학(94), 철강(93) 등 대부분 업종이 기준선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2분기 제조업 매출 현황 BSI는 88로 전 분기보다는 11포인트 오른 것으로 조사됐지만, 여전히 기준선인 100에 미치지는 못 했습니다.
함께 실시된 설문조사에서 제조업체들은 내수 부진·재고 누증(53%·이하 복수 응답 가능), 대외 공급망 불확실성(37%), 금융시장 변동성(28%) 등을 경영 활동에 영향을 주는 부정적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새 정부에 기대하는 정책 지원을 묻자 내수 안정화 지원(50.9%), 금융시장 안정화 지원(37.9%), 물가 관리 강화(34.1%) 순으로 답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LG디스플레이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올 3분기 제조업 매출 둔화 전망…바이오·디스플레이는 호전 기대
-
- 입력 2025-07-13 11:11:18
- 수정2025-07-13 11:30:46

올 3분기 대부분 분야의 제조업 매출이 전 분기보다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다만 바이오헬스, 디스플레이 등 일부 분야 실적은 호전될 것으로 기대됐습니다.
산업연구원은 지난달 9~20일 국내 1천500개 제조업체를 상대로 경기실사지수(BSI) 조사를 한 결과, 3분기 매출 전망 BSI가 전 분기와 같은 95로 집계됐다고 오늘(13일) 밝혔습니다.
BSI는 100(전 분기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 분기보다 증가(개선)한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0에 근접할수록 감소(악화)했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뜻합니다.
이로써 분기별 매출 전망 BSI는 지난해 2분기 이후 5개 분기 연속으로 기준선인 100을 밑돌았습니다.
매출을 제외한 시황(93), 수출(94), 설비투자(97), 고용(97), 자금 사정(90) 등 다른 주요 항목의 4분기 전망 BSI도 기준인 100에 미치지 못 했습니다.
매출 전망 BSI를 업종별로 보면 바이오헬스(108), 무선통신기기(106), 디스플레이(102) 세 업종은 100 이상을 나타내 전 분기보다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됐습니다.
하지만 주력 산업인 반도체(97)를 비롯해 가전(94), 자동차(91), 조선(97), 일반기계(94), 정유(97), 화학(94), 철강(93) 등 대부분 업종이 기준선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2분기 제조업 매출 현황 BSI는 88로 전 분기보다는 11포인트 오른 것으로 조사됐지만, 여전히 기준선인 100에 미치지는 못 했습니다.
함께 실시된 설문조사에서 제조업체들은 내수 부진·재고 누증(53%·이하 복수 응답 가능), 대외 공급망 불확실성(37%), 금융시장 변동성(28%) 등을 경영 활동에 영향을 주는 부정적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새 정부에 기대하는 정책 지원을 묻자 내수 안정화 지원(50.9%), 금융시장 안정화 지원(37.9%), 물가 관리 강화(34.1%) 순으로 답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LG디스플레이 제공]
다만 바이오헬스, 디스플레이 등 일부 분야 실적은 호전될 것으로 기대됐습니다.
산업연구원은 지난달 9~20일 국내 1천500개 제조업체를 상대로 경기실사지수(BSI) 조사를 한 결과, 3분기 매출 전망 BSI가 전 분기와 같은 95로 집계됐다고 오늘(13일) 밝혔습니다.
BSI는 100(전 분기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 분기보다 증가(개선)한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0에 근접할수록 감소(악화)했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뜻합니다.
이로써 분기별 매출 전망 BSI는 지난해 2분기 이후 5개 분기 연속으로 기준선인 100을 밑돌았습니다.
매출을 제외한 시황(93), 수출(94), 설비투자(97), 고용(97), 자금 사정(90) 등 다른 주요 항목의 4분기 전망 BSI도 기준인 100에 미치지 못 했습니다.
매출 전망 BSI를 업종별로 보면 바이오헬스(108), 무선통신기기(106), 디스플레이(102) 세 업종은 100 이상을 나타내 전 분기보다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됐습니다.
하지만 주력 산업인 반도체(97)를 비롯해 가전(94), 자동차(91), 조선(97), 일반기계(94), 정유(97), 화학(94), 철강(93) 등 대부분 업종이 기준선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2분기 제조업 매출 현황 BSI는 88로 전 분기보다는 11포인트 오른 것으로 조사됐지만, 여전히 기준선인 100에 미치지는 못 했습니다.
함께 실시된 설문조사에서 제조업체들은 내수 부진·재고 누증(53%·이하 복수 응답 가능), 대외 공급망 불확실성(37%), 금융시장 변동성(28%) 등을 경영 활동에 영향을 주는 부정적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새 정부에 기대하는 정책 지원을 묻자 내수 안정화 지원(50.9%), 금융시장 안정화 지원(37.9%), 물가 관리 강화(34.1%) 순으로 답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LG디스플레이 제공]
-
-
김채린 기자 dig@kbs.co.kr
김채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