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태평양 누벨칼레도니, 프랑스 내 ‘국가 지위’ 부여받아

입력 2025.07.13 (20:59) 수정 2025.07.13 (21: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랑스와 남태평양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영어명 뉴칼레도니아)의 정치 세력들이 프랑스 헌법 내 ‘누벨칼레도니 국가’ 지위를 부여하는 방안에 합의했습니다.

프랑스와 결합은 유지하되 누벨칼레도니의 독립성을 크게 강화하는 방향입니다.

프랑스 정부와 누벨칼레도니의 분리독립파, 반독립파는 지난 열흘간 파리 근교에 모여 토론을 거친 끝에 현지 시각 12일 이 같은 내용의 협정에 서명했다고 일간 르몽드가 전했습니다.

호주 동쪽, 프랑스 본토에서 1만 7천㎞ 떨어진 누벨칼레도니는 1853년 프랑스의 식민지로 병합됐습니다. 이후 1988년 마티뇽 협정, 1998년 누메아 협정으로 상당 부분 자치권을 넘겨받았으나 국방, 외교, 교육 등은 프랑스의 통제를 받았습니다.

이후 누벨칼레도니는 누메아 협정에 따라 2018년과 2020년, 2021년 3차례에 걸쳐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 투표를 했으나 세 번 모두 프랑스 잔류로 결론 났습니다.

그러나 누벨칼레도니 내 분리독립파의 불만이 계속 이어져 내부 갈등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특히 지난해 프랑스 정부가 누벨칼레도니에서 10년 이상 거주한 사람에게도 투표권을 주는 방안을 추진하자 누벨칼레도니 전체 인구 28만 명 중 약 40%를 차지하는 원주민 카나크족이 반발하며 대규모 소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이에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현지를 찾아 분리독립파와 반독립파를 모두 만난 뒤 누벨칼레도니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정치적 합의를 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그 결과 이들은 프랑스 헌법에 ‘누벨칼레도니 국가’라는 특수 지위를 명시하기로 했습니다. 이와 함께 누벨칼레도니 국적도 새로 만들어 현지 주민이 프랑스와 이중 국적을 보유할 수 있게 했습니다. 누벨칼레도니 의회는 자치 능력을 보장하는 기본법을 제정하게 됩니다.

외교권도 즉시 프랑스 정부에서 이양받기로 했습니다. 다만 누벨칼레도니가 유엔 내 별도 의석을 갖는 걸 의미하진 않는다고 르몽드는 지적했습니다.

국방, 통화, 치안·공공질서, 사법 및 법적 통제와 관련된 기타 주권 권한의 이양은 누벨칼레도니 의회와 프랑스 정부 간 논의와 누벨칼레도니 주민투표를 거쳐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마크롱 대통령은 12일 저녁 엘리제궁에 합의 서명자들을 초청해 역사적인 합의를 이뤄냈다며 축하했습니다.

마크롱 대통령은 “두 개의 협정과 세 번의 국민투표 이후 누벨칼레도니는 여러분이 서명한 이 협정을 통해 프랑스와 평화로운 관계 속에서 미래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협정이 실제 발효되기까진 여러 절차가 남아있습니다.

우선 협정에 서명한 이들이 현지에서 각 정치 세력의 내부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프랑스 헌법 내 누벨칼레도니의 지위를 새로 명시하는 만큼 올가을 헌법 개정 작업도 거쳐야 합니다. 이후 내년 2월쯤 누벨칼레도니 주민투표를 통해 합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협정에 서명한 이들은 작지 않은 반발에 부딪힐 것으로 예상합니다.

분리독립파인 카나크 사회주의 해방전선(FLNKS)을 대표한 에마뉘엘 티바우 의원은 이번 협정이 “비판의 시험대에 오를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반독립파 진영도 이번 협정이 역사적 합의이자 새로운 안정의 시대를 열 수 있는 계기라고 평가하면서도 현지 주민들에게 받아들여지는 건 또 다른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태평양 누벨칼레도니, 프랑스 내 ‘국가 지위’ 부여받아
    • 입력 2025-07-13 20:59:45
    • 수정2025-07-13 21:54:15
    국제
프랑스와 남태평양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영어명 뉴칼레도니아)의 정치 세력들이 프랑스 헌법 내 ‘누벨칼레도니 국가’ 지위를 부여하는 방안에 합의했습니다.

프랑스와 결합은 유지하되 누벨칼레도니의 독립성을 크게 강화하는 방향입니다.

프랑스 정부와 누벨칼레도니의 분리독립파, 반독립파는 지난 열흘간 파리 근교에 모여 토론을 거친 끝에 현지 시각 12일 이 같은 내용의 협정에 서명했다고 일간 르몽드가 전했습니다.

호주 동쪽, 프랑스 본토에서 1만 7천㎞ 떨어진 누벨칼레도니는 1853년 프랑스의 식민지로 병합됐습니다. 이후 1988년 마티뇽 협정, 1998년 누메아 협정으로 상당 부분 자치권을 넘겨받았으나 국방, 외교, 교육 등은 프랑스의 통제를 받았습니다.

이후 누벨칼레도니는 누메아 협정에 따라 2018년과 2020년, 2021년 3차례에 걸쳐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 투표를 했으나 세 번 모두 프랑스 잔류로 결론 났습니다.

그러나 누벨칼레도니 내 분리독립파의 불만이 계속 이어져 내부 갈등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특히 지난해 프랑스 정부가 누벨칼레도니에서 10년 이상 거주한 사람에게도 투표권을 주는 방안을 추진하자 누벨칼레도니 전체 인구 28만 명 중 약 40%를 차지하는 원주민 카나크족이 반발하며 대규모 소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이에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현지를 찾아 분리독립파와 반독립파를 모두 만난 뒤 누벨칼레도니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정치적 합의를 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그 결과 이들은 프랑스 헌법에 ‘누벨칼레도니 국가’라는 특수 지위를 명시하기로 했습니다. 이와 함께 누벨칼레도니 국적도 새로 만들어 현지 주민이 프랑스와 이중 국적을 보유할 수 있게 했습니다. 누벨칼레도니 의회는 자치 능력을 보장하는 기본법을 제정하게 됩니다.

외교권도 즉시 프랑스 정부에서 이양받기로 했습니다. 다만 누벨칼레도니가 유엔 내 별도 의석을 갖는 걸 의미하진 않는다고 르몽드는 지적했습니다.

국방, 통화, 치안·공공질서, 사법 및 법적 통제와 관련된 기타 주권 권한의 이양은 누벨칼레도니 의회와 프랑스 정부 간 논의와 누벨칼레도니 주민투표를 거쳐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마크롱 대통령은 12일 저녁 엘리제궁에 합의 서명자들을 초청해 역사적인 합의를 이뤄냈다며 축하했습니다.

마크롱 대통령은 “두 개의 협정과 세 번의 국민투표 이후 누벨칼레도니는 여러분이 서명한 이 협정을 통해 프랑스와 평화로운 관계 속에서 미래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협정이 실제 발효되기까진 여러 절차가 남아있습니다.

우선 협정에 서명한 이들이 현지에서 각 정치 세력의 내부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프랑스 헌법 내 누벨칼레도니의 지위를 새로 명시하는 만큼 올가을 헌법 개정 작업도 거쳐야 합니다. 이후 내년 2월쯤 누벨칼레도니 주민투표를 통해 합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협정에 서명한 이들은 작지 않은 반발에 부딪힐 것으로 예상합니다.

분리독립파인 카나크 사회주의 해방전선(FLNKS)을 대표한 에마뉘엘 티바우 의원은 이번 협정이 “비판의 시험대에 오를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반독립파 진영도 이번 협정이 역사적 합의이자 새로운 안정의 시대를 열 수 있는 계기라고 평가하면서도 현지 주민들에게 받아들여지는 건 또 다른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