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 강제이주 구상 논란 확산…이스라엘 전 총리 “인종청소”

입력 2025.07.14 (09:07) 수정 2025.07.14 (09: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 국방장관이 밝힌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 강제 이주 구상을 두고 “인종청소”라는 비판이 나오는 등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에후드 올메르트 이스라엘 전 총리 영국 일간 가디언에 이스라엘의 ‘인도주의 도시’ 건설 계획에 대해 “그것은 강제수용소”라며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그곳으로 강제이주된다면, 이는 인종청소의 일환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앞서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가자 남쪽의 중심도시 라파에 ‘인도주의 도시’라는 정착촌 건설을 군에 지시했다고 지난 7일 밝혔습니다.

초기에는 60만명을 이주시킨 뒤 최종적으로는 가자지구 인구 200만명 전체를 이주시킨다는 것으로, 이곳에 한 번 들어가면 다른 국가로 이주하는 경우 말고는 마음대로 떠날 수 없게 하겠다는 구상입니다.

올메르트 전 총리는 “그들이 만약 가자 지구의 절반 이상을 ‘청소’(clean)하려고 수용소를 짓는다면, 이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구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추방하고 밀어내고 버리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2006∼2009년 이스라엘 총리를 지낸 올메르트는 이스라엘 정부의 가자지구 침공 직후엔 정부를 지지하는 입장이었지만 이후 무고한 민간인이 살상되는 상황이 이어지자 이를 “전쟁범죄”라고 규탄해왔습니다.

올메르트 전 총리는 이스라엘이 이미 가자지구와 서안지구에서 전쟁범죄를 저지르고 있는 상황에서 이른바 ‘인도주의 도시’ 건설은 이 같은 범죄의 수위를 높일 뿐이라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또한 이스라엘에 대한 국제적 분노를 모두 반유대주의로 치부할 수는 없다는 점도 짚었습니다.

그는 “미국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증오 표현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며 “TV와 소셜미디어를 보면서 많은 사람이 반(反)이스라엘적이 된다. 이는 고통스럽지만, ‘너희가 모든 선을 넘었다’고 여기는 사람들의 정상적 반응”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가자·서안지구에서의 폭력을 지지하며 대규모 정착촌 확장을 추진해 온 극단주의 성향의 이스라엘 장관들에 대해 “내부의 적”이라며 장기적으로 외부의 적보다 더 큰 위협이라고도 말했습니다.

‘인도주의 도시’ 구상은 이스라엘 내부에서도 찬반 세력 간 논란이 거세지는 모습입니다.

이스라엘 정부는 해당 프로젝트가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이스라엘의 인권 변호사와 학자들은 이 구상을 ‘반인권 범죄의 청사진’이라며 비판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자 강제이주 구상 논란 확산…이스라엘 전 총리 “인종청소”
    • 입력 2025-07-14 09:07:27
    • 수정2025-07-14 09:14:49
    국제
이스라엘 국방장관이 밝힌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 강제 이주 구상을 두고 “인종청소”라는 비판이 나오는 등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에후드 올메르트 이스라엘 전 총리 영국 일간 가디언에 이스라엘의 ‘인도주의 도시’ 건설 계획에 대해 “그것은 강제수용소”라며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그곳으로 강제이주된다면, 이는 인종청소의 일환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앞서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가자 남쪽의 중심도시 라파에 ‘인도주의 도시’라는 정착촌 건설을 군에 지시했다고 지난 7일 밝혔습니다.

초기에는 60만명을 이주시킨 뒤 최종적으로는 가자지구 인구 200만명 전체를 이주시킨다는 것으로, 이곳에 한 번 들어가면 다른 국가로 이주하는 경우 말고는 마음대로 떠날 수 없게 하겠다는 구상입니다.

올메르트 전 총리는 “그들이 만약 가자 지구의 절반 이상을 ‘청소’(clean)하려고 수용소를 짓는다면, 이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구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추방하고 밀어내고 버리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2006∼2009년 이스라엘 총리를 지낸 올메르트는 이스라엘 정부의 가자지구 침공 직후엔 정부를 지지하는 입장이었지만 이후 무고한 민간인이 살상되는 상황이 이어지자 이를 “전쟁범죄”라고 규탄해왔습니다.

올메르트 전 총리는 이스라엘이 이미 가자지구와 서안지구에서 전쟁범죄를 저지르고 있는 상황에서 이른바 ‘인도주의 도시’ 건설은 이 같은 범죄의 수위를 높일 뿐이라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또한 이스라엘에 대한 국제적 분노를 모두 반유대주의로 치부할 수는 없다는 점도 짚었습니다.

그는 “미국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증오 표현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며 “TV와 소셜미디어를 보면서 많은 사람이 반(反)이스라엘적이 된다. 이는 고통스럽지만, ‘너희가 모든 선을 넘었다’고 여기는 사람들의 정상적 반응”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가자·서안지구에서의 폭력을 지지하며 대규모 정착촌 확장을 추진해 온 극단주의 성향의 이스라엘 장관들에 대해 “내부의 적”이라며 장기적으로 외부의 적보다 더 큰 위협이라고도 말했습니다.

‘인도주의 도시’ 구상은 이스라엘 내부에서도 찬반 세력 간 논란이 거세지는 모습입니다.

이스라엘 정부는 해당 프로젝트가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이스라엘의 인권 변호사와 학자들은 이 구상을 ‘반인권 범죄의 청사진’이라며 비판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