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9월 영국 국빈 방문…미 대통령 중 두번 국빈 초청은 최초

입력 2025.07.14 (09:49) 수정 2025.07.14 (09: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역대 미국 대통령 중 최초로 영국을 두 번째 국빈 방문합니다.

영국 버킹엄궁은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9월 17일부터 19일까지 영국을 국빈 자격으로 방문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지금까지 영국을 두 번 국빈 방문한 미국 대통령은 없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번째 임기였던 지난 2019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게 국빈으로 초청됐습니다.

영국 왕실의 국빈 초청은 전통적인 왕실 의전 때문에 국제 외교무대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방문 일정에는 군대 사열과 마차 행진, 국왕 주최의 국빈 만찬 등이 포함됩니다.

초청의 주체는 국왕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영국 정부의 조언에 따라 성사됩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관세와 안보 등 다양한 현안이 부각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의 국빈 초청을 추진한 것으로 보입니다.

취임 1년을 맞은 스타머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비교적 원만한 관계를 맺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입니다. 스타머 총리는 지난 2월 미국을 방문했을 당시 트럼프 대통령에게 직접 영국 왕실의 국빈 초청 의사를 전달했습니다.

영국 왕실에 대해 호의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국빈 방문 기간 런던 서쪽에 위치한 윈저성에 머문다는 사실에 기대감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다만 영국 여당 일각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을 국빈 초청하는 데 대해 반대 의견이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전쟁을 지지하고, 영국 연방 소속인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편입해야 한다는 발언까지 하는 상황에서 국빈으로 초청하는 것이 적절하느냐는 취지입니다.

캐나다의 국가 원수인 찰스 3세는 지난 5월 오타와에서 열린 의회 개원식 연설에서 캐나다의 고유한 정체성과 주권을 강조하면서 에둘러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반박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9월 영국 국빈 방문…미 대통령 중 두번 국빈 초청은 최초
    • 입력 2025-07-14 09:49:42
    • 수정2025-07-14 09:53:00
    국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역대 미국 대통령 중 최초로 영국을 두 번째 국빈 방문합니다.

영국 버킹엄궁은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9월 17일부터 19일까지 영국을 국빈 자격으로 방문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지금까지 영국을 두 번 국빈 방문한 미국 대통령은 없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번째 임기였던 지난 2019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게 국빈으로 초청됐습니다.

영국 왕실의 국빈 초청은 전통적인 왕실 의전 때문에 국제 외교무대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방문 일정에는 군대 사열과 마차 행진, 국왕 주최의 국빈 만찬 등이 포함됩니다.

초청의 주체는 국왕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영국 정부의 조언에 따라 성사됩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관세와 안보 등 다양한 현안이 부각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의 국빈 초청을 추진한 것으로 보입니다.

취임 1년을 맞은 스타머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비교적 원만한 관계를 맺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입니다. 스타머 총리는 지난 2월 미국을 방문했을 당시 트럼프 대통령에게 직접 영국 왕실의 국빈 초청 의사를 전달했습니다.

영국 왕실에 대해 호의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국빈 방문 기간 런던 서쪽에 위치한 윈저성에 머문다는 사실에 기대감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다만 영국 여당 일각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을 국빈 초청하는 데 대해 반대 의견이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전쟁을 지지하고, 영국 연방 소속인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편입해야 한다는 발언까지 하는 상황에서 국빈으로 초청하는 것이 적절하느냐는 취지입니다.

캐나다의 국가 원수인 찰스 3세는 지난 5월 오타와에서 열린 의회 개원식 연설에서 캐나다의 고유한 정체성과 주권을 강조하면서 에둘러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반박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