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투자업계, 우크라이나 오데사항 곡물터미널 인수

입력 2025.07.14 (18:54) 수정 2025.07.14 (21: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투자기업 2곳이 우크라이나 기업과의 오랜 법적 분쟁 끝에 흑해 오데사항의 곡물 수출 터미널을 인수해 이르면 올여름 재운영에 나섭니다.

현지시각 14일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미 투자사 아르젠템 크리크 파트너스와 이노바투스 캐피털 파트너스는 지난 9일 우크라이나 대법원에서 우크라이나 기업 GNT 소유의 오데사항 올림펙투스 터미널 인수를 승인받았습니다.

이 터미널은 우크라이나 최대 규모로, 연 500만톤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앞서 신흥시장 투자 전문기업 아르젠템 크리크 파트너스와 이노바투스 캐피털 파트너스는 오랫동안 우크라이나에 투자해왔으며, 2019년부터 2021년까지 GNT에 투자했다가 이를 돌려받지 못했다고 밝히는 등 GNT의 대출 사기 혐의를 주장하며 국제 중재기관과 영국 법원에서 소를 제기해 승소했습니다.

과거 올림펙투스 터미널을 소유했던 GNT는 대출을 상환하지 못했고,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혼란 속에 담보 곡물을 속였다는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최근 두 업체가 GNT로부터 9,500만달러 상당의 채무 강제집행을 하도록 도왔고, 지난 5월엔 GNT 소유주 중 한 명인 볼로디미르 나우멘코를 사기 혐의로 체포했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이를 전쟁 중 국제 투자 유치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대출 사기 사건이라 규정하며, 전쟁 4년차인 우크라이나의 경제 재건을 위한 자본 유치 능력이 시험대에 올랐다고 지적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고위험 프로젝트의 경우 민간 투자자들이 맡길 원하지만, 이를 위해선 투자자들에게 우크라이나가 법적 보호를 제공하고 있다는 확신을 주는 한편 내부 부패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강조했습니다.

안드리 예르마크 우크라이나 대통령 비서실장도 "이 사건은 우크라이나가 법치주의 국가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투자업계, 우크라이나 오데사항 곡물터미널 인수
    • 입력 2025-07-14 18:54:19
    • 수정2025-07-14 21:59:37
    국제
미국 투자기업 2곳이 우크라이나 기업과의 오랜 법적 분쟁 끝에 흑해 오데사항의 곡물 수출 터미널을 인수해 이르면 올여름 재운영에 나섭니다.

현지시각 14일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미 투자사 아르젠템 크리크 파트너스와 이노바투스 캐피털 파트너스는 지난 9일 우크라이나 대법원에서 우크라이나 기업 GNT 소유의 오데사항 올림펙투스 터미널 인수를 승인받았습니다.

이 터미널은 우크라이나 최대 규모로, 연 500만톤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앞서 신흥시장 투자 전문기업 아르젠템 크리크 파트너스와 이노바투스 캐피털 파트너스는 오랫동안 우크라이나에 투자해왔으며, 2019년부터 2021년까지 GNT에 투자했다가 이를 돌려받지 못했다고 밝히는 등 GNT의 대출 사기 혐의를 주장하며 국제 중재기관과 영국 법원에서 소를 제기해 승소했습니다.

과거 올림펙투스 터미널을 소유했던 GNT는 대출을 상환하지 못했고,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혼란 속에 담보 곡물을 속였다는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최근 두 업체가 GNT로부터 9,500만달러 상당의 채무 강제집행을 하도록 도왔고, 지난 5월엔 GNT 소유주 중 한 명인 볼로디미르 나우멘코를 사기 혐의로 체포했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이를 전쟁 중 국제 투자 유치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대출 사기 사건이라 규정하며, 전쟁 4년차인 우크라이나의 경제 재건을 위한 자본 유치 능력이 시험대에 올랐다고 지적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고위험 프로젝트의 경우 민간 투자자들이 맡길 원하지만, 이를 위해선 투자자들에게 우크라이나가 법적 보호를 제공하고 있다는 확신을 주는 한편 내부 부패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강조했습니다.

안드리 예르마크 우크라이나 대통령 비서실장도 "이 사건은 우크라이나가 법치주의 국가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