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픽] 초저가 왕좌 놓고 격돌…일·중 공습에 다이소 천하 무너지나

입력 2025.07.15 (18:05) 수정 2025.07.15 (18: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990년대 일본 100엔숍 풍경입니다.

우리 돈 1000원 정도, 초저가 상품을 내세운 100엔숍이 일본에 들어선 건 1920년대지만 본격 자리매김한 건 1990년댑니다.

버블 붕괴 후 장기 디플레에 접어든 시점과 일치합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끝 모를 고물가에 가성비를 강조한 제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그래서겠죠.

이미 국내에 자리 잡은 다이소를 넘어, 일본, 중국 기업들까지 새롭게 우리나라 저가 유통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일본 여행 시 꼭 들러야 하는 쇼핑몰로 알려진 '돈키호테'.

[권은비/가수/유튜브 '권은비 KWON EUNBI' : "일본 오면 돈키호테를 자주 가는데."]

일본 돈키호테의 한국 상륙 소식에 평일 아침 8시부터 대기 줄이 길게 늘어섰습니다.

이 팝업 스토어에는 단 일주일 동안 만 명 가까운 방문객이 다녀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선협/경기 이천시/KBS 뉴스/지난 13일 : "일본 가고 싶었는데 돈키호테 온다고 그래서 여기서 사야겠다 해서 왔습니다."]

일본의 300엔숍인 쓰리피 역시 최근 국내에서 상표권 출원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여기에 중국 브랜드들까지 국내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김은정/경기 화성시/KBS 뉴스/지난 13일 : "다이소보다 조금 더 고급스러운 느낌. 캐릭터가 예쁜 것도 많고."]

지난 2016년 짝퉁 다이소라는 오명을 받으며 한국 시장에 진출했던 중국의 미니소.

결국 2021년, 철수했는데요.

4년 만에 다시 돌아왔고요.

중국에서 잘 팔리는 아기자기한 캐릭터 상품 등을 대표로 내세워 사업 확장을 노리고 있습니다.

중국판 다이소로 알려진 '요요소' 또한 전북 군산에 이달 내 매장을 열 예정입니다.

우리나라가 일본, 중국의 저가 용품 브랜드들의 새로운 격전지로 떠오르는 상황.

그 중심엔 규모의 경제를 앞세운 다이소의 성공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다이소의 매장은 전국적으로 1500여 개 4조 원 가까운 매출에, 영업이익도 3천억 원이 넘습니다.

[이종우/아주대 경영학과 교수/KBS 뉴스/지난 13일 : "여러 가지 상품을 제공하는 게 (국내 시장의) 트렌드가 되고 있어요. 잡화점 가면 이것저것 다양한 물건이 많고. 그걸 타깃으로 하는 해외 리테일 기업들이 한국을 공략하고 있는 겁니다."]

한·중·일 저가 브랜드들의 새로운 경쟁 구도에 소비자들은 더 많은 선택지를, 시장은 더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최정연 신남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픽] 초저가 왕좌 놓고 격돌…일·중 공습에 다이소 천하 무너지나
    • 입력 2025-07-15 18:05:23
    • 수정2025-07-15 18:57:06
    경제콘서트
1990년대 일본 100엔숍 풍경입니다.

우리 돈 1000원 정도, 초저가 상품을 내세운 100엔숍이 일본에 들어선 건 1920년대지만 본격 자리매김한 건 1990년댑니다.

버블 붕괴 후 장기 디플레에 접어든 시점과 일치합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끝 모를 고물가에 가성비를 강조한 제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그래서겠죠.

이미 국내에 자리 잡은 다이소를 넘어, 일본, 중국 기업들까지 새롭게 우리나라 저가 유통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일본 여행 시 꼭 들러야 하는 쇼핑몰로 알려진 '돈키호테'.

[권은비/가수/유튜브 '권은비 KWON EUNBI' : "일본 오면 돈키호테를 자주 가는데."]

일본 돈키호테의 한국 상륙 소식에 평일 아침 8시부터 대기 줄이 길게 늘어섰습니다.

이 팝업 스토어에는 단 일주일 동안 만 명 가까운 방문객이 다녀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선협/경기 이천시/KBS 뉴스/지난 13일 : "일본 가고 싶었는데 돈키호테 온다고 그래서 여기서 사야겠다 해서 왔습니다."]

일본의 300엔숍인 쓰리피 역시 최근 국내에서 상표권 출원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여기에 중국 브랜드들까지 국내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김은정/경기 화성시/KBS 뉴스/지난 13일 : "다이소보다 조금 더 고급스러운 느낌. 캐릭터가 예쁜 것도 많고."]

지난 2016년 짝퉁 다이소라는 오명을 받으며 한국 시장에 진출했던 중국의 미니소.

결국 2021년, 철수했는데요.

4년 만에 다시 돌아왔고요.

중국에서 잘 팔리는 아기자기한 캐릭터 상품 등을 대표로 내세워 사업 확장을 노리고 있습니다.

중국판 다이소로 알려진 '요요소' 또한 전북 군산에 이달 내 매장을 열 예정입니다.

우리나라가 일본, 중국의 저가 용품 브랜드들의 새로운 격전지로 떠오르는 상황.

그 중심엔 규모의 경제를 앞세운 다이소의 성공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다이소의 매장은 전국적으로 1500여 개 4조 원 가까운 매출에, 영업이익도 3천억 원이 넘습니다.

[이종우/아주대 경영학과 교수/KBS 뉴스/지난 13일 : "여러 가지 상품을 제공하는 게 (국내 시장의) 트렌드가 되고 있어요. 잡화점 가면 이것저것 다양한 물건이 많고. 그걸 타깃으로 하는 해외 리테일 기업들이 한국을 공략하고 있는 겁니다."]

한·중·일 저가 브랜드들의 새로운 경쟁 구도에 소비자들은 더 많은 선택지를, 시장은 더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최정연 신남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