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농해수위 의원들 “대미 관세협상서 농업·농민 희생 안돼”
입력 2025.07.15 (19:05)
수정 2025.07.15 (19: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오늘(15일) 한미 관세협상에서 농산물 분야의 비관세 장벽 완화 검토 가능성이 제기된 것과 관련해 “농업·농촌·농민이 희생양이 돼선 안 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오늘 공동성명을 통해 “한미 통상협상 과정에서 농업은 결코 교환할 수 있는 협상 수단이 아니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의원들은 “소고기 수입 요건 완화, 쌀 시장 추가 개방, 유전자 변형 농산물의 수입 확대, 검역 기준 완화 등은 식량 주권과 국민 건강에 직결된 주요 사안”이라며 “정부가 미국의 요구를 사실상 수용 가능하다는 태도로 접근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는 국민 이익을 옹호하고 향후 통상 협상 과정에서 우리의 농업을 지키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며 “다른 산업 분야에서의 이익을 위해 일방적으로 농업을 양보하는 방식을 이제 멈춰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어제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미 협상 타결을 위해 농산물 분야의 비관세 장벽 완화 등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여 본부장은 “우리가 미국뿐 아니라 동남아나 어느 나라와 통상 협상하든 농산물이 고통스럽지 않은 협상이 없었고, 그러면서 우리 산업 경쟁력은 또 강화됐다”면서 “농산물 부분도 전략적 판단을 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들은 오늘 공동성명을 통해 “한미 통상협상 과정에서 농업은 결코 교환할 수 있는 협상 수단이 아니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의원들은 “소고기 수입 요건 완화, 쌀 시장 추가 개방, 유전자 변형 농산물의 수입 확대, 검역 기준 완화 등은 식량 주권과 국민 건강에 직결된 주요 사안”이라며 “정부가 미국의 요구를 사실상 수용 가능하다는 태도로 접근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는 국민 이익을 옹호하고 향후 통상 협상 과정에서 우리의 농업을 지키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며 “다른 산업 분야에서의 이익을 위해 일방적으로 농업을 양보하는 방식을 이제 멈춰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어제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미 협상 타결을 위해 농산물 분야의 비관세 장벽 완화 등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여 본부장은 “우리가 미국뿐 아니라 동남아나 어느 나라와 통상 협상하든 농산물이 고통스럽지 않은 협상이 없었고, 그러면서 우리 산업 경쟁력은 또 강화됐다”면서 “농산물 부분도 전략적 판단을 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민주당 농해수위 의원들 “대미 관세협상서 농업·농민 희생 안돼”
-
- 입력 2025-07-15 19:05:22
- 수정2025-07-15 19:07:51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오늘(15일) 한미 관세협상에서 농산물 분야의 비관세 장벽 완화 검토 가능성이 제기된 것과 관련해 “농업·농촌·농민이 희생양이 돼선 안 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오늘 공동성명을 통해 “한미 통상협상 과정에서 농업은 결코 교환할 수 있는 협상 수단이 아니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의원들은 “소고기 수입 요건 완화, 쌀 시장 추가 개방, 유전자 변형 농산물의 수입 확대, 검역 기준 완화 등은 식량 주권과 국민 건강에 직결된 주요 사안”이라며 “정부가 미국의 요구를 사실상 수용 가능하다는 태도로 접근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는 국민 이익을 옹호하고 향후 통상 협상 과정에서 우리의 농업을 지키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며 “다른 산업 분야에서의 이익을 위해 일방적으로 농업을 양보하는 방식을 이제 멈춰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어제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미 협상 타결을 위해 농산물 분야의 비관세 장벽 완화 등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여 본부장은 “우리가 미국뿐 아니라 동남아나 어느 나라와 통상 협상하든 농산물이 고통스럽지 않은 협상이 없었고, 그러면서 우리 산업 경쟁력은 또 강화됐다”면서 “농산물 부분도 전략적 판단을 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들은 오늘 공동성명을 통해 “한미 통상협상 과정에서 농업은 결코 교환할 수 있는 협상 수단이 아니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의원들은 “소고기 수입 요건 완화, 쌀 시장 추가 개방, 유전자 변형 농산물의 수입 확대, 검역 기준 완화 등은 식량 주권과 국민 건강에 직결된 주요 사안”이라며 “정부가 미국의 요구를 사실상 수용 가능하다는 태도로 접근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는 국민 이익을 옹호하고 향후 통상 협상 과정에서 우리의 농업을 지키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며 “다른 산업 분야에서의 이익을 위해 일방적으로 농업을 양보하는 방식을 이제 멈춰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어제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미 협상 타결을 위해 농산물 분야의 비관세 장벽 완화 등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여 본부장은 “우리가 미국뿐 아니라 동남아나 어느 나라와 통상 협상하든 농산물이 고통스럽지 않은 협상이 없었고, 그러면서 우리 산업 경쟁력은 또 강화됐다”면서 “농산물 부분도 전략적 판단을 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정아연 기자 niche@kbs.co.kr
정아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