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사이트에 ‘평양-베이징’ 열차 스케줄…북중 관계 회복?

입력 2025.07.16 (12:18) 수정 2025.07.16 (13: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이 운영하는 여행 관련 사이트에 평양과 중국을 잇는 열차, 항공기 스케줄이 공개됐습니다.

실제 운행이 재개된다면, 코로나19 이후 5년 6개월 만에 다시 인적 왕래가 활발해지는 건데요.

소원했던 북중 관계가 회복될지 관심이 쏠립니다.

장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 국가관광총국이 운영하는 '조선관광' 사이트에 '국제열차시간표'라는 제목으로 왕복 열차 스케줄이 최근 올라왔습니다.

평양과 베이징, 평양과 단둥을 잇는 열차 운행 시간표입니다.

평양-베이징 노선의 경우 일주일에 4번, 오전과 오후에 각 도시에서 출발하는 일정입니다.

현재 운행이 실제 확인되는 건 지난달 재개된 평양-모스크바 직통 열차 뿐인데, 만약 북중 여객열차길이 다시 열린다면 2020년 1월 코로나19로 중단된지 5년 6개월 만입니다.

열차 뿐 아니라 매주 두 번, 평양과 상하이를 오가는 항공 노선도 함께 공개됐습니다.

두 도시를 불규칙하게 오가던 항공편은 있었지만, 일정표 대로라면 정기노선이 부활되는 겁니다.

이렇듯 양국을 잇는 열차·항공편이 재개 조짐을 보이면서, 북러 밀착으로 소원해졌던 북중 관계가 회복될지 관심이 쏠립니다.

북한과 중국은 최근 양국 우호조약 체결 64주년 기념 연회를 평양과 베이징에서 성대하게 열었고, 이전 행사보다 고위급 인사들이 참석했습니다.

이번달부터 북한이 원산갈마 해안 관광지구를 개장하는 등 관광 산업에 공을 들이는 가운데, 중국 관광객을 끌여들여 인적 교류가 활발해진다면 양국 관계가 긴밀해질 수 있습니다.

다만, 장기간 열차 노선이 끊겨 있었던 데다 정확한 운행 재개 시점도 공개되지는 않은 만큼, 실제 운행 여부 등은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영상편집:조완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사이트에 ‘평양-베이징’ 열차 스케줄…북중 관계 회복?
    • 입력 2025-07-16 12:18:50
    • 수정2025-07-16 13:11:18
    뉴스 12
[앵커]

북한이 운영하는 여행 관련 사이트에 평양과 중국을 잇는 열차, 항공기 스케줄이 공개됐습니다.

실제 운행이 재개된다면, 코로나19 이후 5년 6개월 만에 다시 인적 왕래가 활발해지는 건데요.

소원했던 북중 관계가 회복될지 관심이 쏠립니다.

장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 국가관광총국이 운영하는 '조선관광' 사이트에 '국제열차시간표'라는 제목으로 왕복 열차 스케줄이 최근 올라왔습니다.

평양과 베이징, 평양과 단둥을 잇는 열차 운행 시간표입니다.

평양-베이징 노선의 경우 일주일에 4번, 오전과 오후에 각 도시에서 출발하는 일정입니다.

현재 운행이 실제 확인되는 건 지난달 재개된 평양-모스크바 직통 열차 뿐인데, 만약 북중 여객열차길이 다시 열린다면 2020년 1월 코로나19로 중단된지 5년 6개월 만입니다.

열차 뿐 아니라 매주 두 번, 평양과 상하이를 오가는 항공 노선도 함께 공개됐습니다.

두 도시를 불규칙하게 오가던 항공편은 있었지만, 일정표 대로라면 정기노선이 부활되는 겁니다.

이렇듯 양국을 잇는 열차·항공편이 재개 조짐을 보이면서, 북러 밀착으로 소원해졌던 북중 관계가 회복될지 관심이 쏠립니다.

북한과 중국은 최근 양국 우호조약 체결 64주년 기념 연회를 평양과 베이징에서 성대하게 열었고, 이전 행사보다 고위급 인사들이 참석했습니다.

이번달부터 북한이 원산갈마 해안 관광지구를 개장하는 등 관광 산업에 공을 들이는 가운데, 중국 관광객을 끌여들여 인적 교류가 활발해진다면 양국 관계가 긴밀해질 수 있습니다.

다만, 장기간 열차 노선이 끊겨 있었던 데다 정확한 운행 재개 시점도 공개되지는 않은 만큼, 실제 운행 여부 등은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영상편집:조완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