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소환된 드론사령관, 기자들에게 “헌법을 찾아보시고…” [지금뉴스]
입력 2025.07.17 (16:25)
수정 2025.07.17 (16: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혐의를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평양 무인기 투입 의혹'과 관련해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을 소환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등에 의한 내란·외환 행위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팀(특별검사 조은석)은 오늘(17일) 오전 김 사령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입니다.
김 사령관은 조사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제 모든 행동은 국가와 국민을 위한 것이지 개인적 이득을 취하려 한 적은 한 번도 없다"며, "특검 조사를 받는다는 것 자체가 저에게는 참 참담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지난해 9월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만났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전혀 사실이 아니고 근거 자료가 있다"며, "'V(대통령) 지시다' 이런 내용이 있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 직접 지시받은 적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사령관의 변호인은 "이번 사건은 역사적으로 기록돼야 할 사안인 만큼 영상 녹화 조사가 꼭 필요하다"며 "임의로 작성되는 조서에 대해서는 형사소송법과 대검찰청·경찰청 인권 규칙에 비춰 적절한 수사 기법이 아닌 부당한 수사라고 말씀드릴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특검팀은 김 사령관을 상대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 목적으로 작년 10월쯤 드론사에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직접 지시했는지, 이를 은폐하기 위해 군이 조직적으로 개입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 중입니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해 10∼11월 윤 전 대통령이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를 건너뛰고 직접 드론사에 평양 무인기 투입 준비를 지시했다는 취지의 현역 장교 녹취록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당 녹취록에는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V(대통령을 의미)의 지시라고 했다", "국방부와 합참 모르게 해야 한다고 했다", "삐라(전단) 살포도 해야 하고, 불안감 조성을 위해 일부러 드론을 노출할 필요가 있었다"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후 드론사가 무인기 작전에 관여한 정보작전처장 등 25명을 국방부 장관과 합참의장, 합참 작전본부장 명의 표창 대상으로 추천했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특검팀은 드론사가 추락 가능성을 알면서도 고의로 전단통을 달아 개조한 무인기를 띄워 북한의 도발을 유도하려 했는지도 살펴보고 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등에 의한 내란·외환 행위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팀(특별검사 조은석)은 오늘(17일) 오전 김 사령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입니다.
김 사령관은 조사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제 모든 행동은 국가와 국민을 위한 것이지 개인적 이득을 취하려 한 적은 한 번도 없다"며, "특검 조사를 받는다는 것 자체가 저에게는 참 참담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지난해 9월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만났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전혀 사실이 아니고 근거 자료가 있다"며, "'V(대통령) 지시다' 이런 내용이 있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 직접 지시받은 적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사령관의 변호인은 "이번 사건은 역사적으로 기록돼야 할 사안인 만큼 영상 녹화 조사가 꼭 필요하다"며 "임의로 작성되는 조서에 대해서는 형사소송법과 대검찰청·경찰청 인권 규칙에 비춰 적절한 수사 기법이 아닌 부당한 수사라고 말씀드릴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특검팀은 김 사령관을 상대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 목적으로 작년 10월쯤 드론사에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직접 지시했는지, 이를 은폐하기 위해 군이 조직적으로 개입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 중입니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해 10∼11월 윤 전 대통령이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를 건너뛰고 직접 드론사에 평양 무인기 투입 준비를 지시했다는 취지의 현역 장교 녹취록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당 녹취록에는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V(대통령을 의미)의 지시라고 했다", "국방부와 합참 모르게 해야 한다고 했다", "삐라(전단) 살포도 해야 하고, 불안감 조성을 위해 일부러 드론을 노출할 필요가 있었다"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후 드론사가 무인기 작전에 관여한 정보작전처장 등 25명을 국방부 장관과 합참의장, 합참 작전본부장 명의 표창 대상으로 추천했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특검팀은 드론사가 추락 가능성을 알면서도 고의로 전단통을 달아 개조한 무인기를 띄워 북한의 도발을 유도하려 했는지도 살펴보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특검 소환된 드론사령관, 기자들에게 “헌법을 찾아보시고…” [지금뉴스]
-
- 입력 2025-07-17 16:25:21
- 수정2025-07-17 16:26:39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혐의를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평양 무인기 투입 의혹'과 관련해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을 소환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등에 의한 내란·외환 행위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팀(특별검사 조은석)은 오늘(17일) 오전 김 사령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입니다.
김 사령관은 조사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제 모든 행동은 국가와 국민을 위한 것이지 개인적 이득을 취하려 한 적은 한 번도 없다"며, "특검 조사를 받는다는 것 자체가 저에게는 참 참담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지난해 9월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만났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전혀 사실이 아니고 근거 자료가 있다"며, "'V(대통령) 지시다' 이런 내용이 있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 직접 지시받은 적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사령관의 변호인은 "이번 사건은 역사적으로 기록돼야 할 사안인 만큼 영상 녹화 조사가 꼭 필요하다"며 "임의로 작성되는 조서에 대해서는 형사소송법과 대검찰청·경찰청 인권 규칙에 비춰 적절한 수사 기법이 아닌 부당한 수사라고 말씀드릴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특검팀은 김 사령관을 상대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 목적으로 작년 10월쯤 드론사에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직접 지시했는지, 이를 은폐하기 위해 군이 조직적으로 개입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 중입니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해 10∼11월 윤 전 대통령이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를 건너뛰고 직접 드론사에 평양 무인기 투입 준비를 지시했다는 취지의 현역 장교 녹취록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당 녹취록에는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V(대통령을 의미)의 지시라고 했다", "국방부와 합참 모르게 해야 한다고 했다", "삐라(전단) 살포도 해야 하고, 불안감 조성을 위해 일부러 드론을 노출할 필요가 있었다"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후 드론사가 무인기 작전에 관여한 정보작전처장 등 25명을 국방부 장관과 합참의장, 합참 작전본부장 명의 표창 대상으로 추천했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특검팀은 드론사가 추락 가능성을 알면서도 고의로 전단통을 달아 개조한 무인기를 띄워 북한의 도발을 유도하려 했는지도 살펴보고 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등에 의한 내란·외환 행위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팀(특별검사 조은석)은 오늘(17일) 오전 김 사령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입니다.
김 사령관은 조사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제 모든 행동은 국가와 국민을 위한 것이지 개인적 이득을 취하려 한 적은 한 번도 없다"며, "특검 조사를 받는다는 것 자체가 저에게는 참 참담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지난해 9월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만났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전혀 사실이 아니고 근거 자료가 있다"며, "'V(대통령) 지시다' 이런 내용이 있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 직접 지시받은 적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사령관의 변호인은 "이번 사건은 역사적으로 기록돼야 할 사안인 만큼 영상 녹화 조사가 꼭 필요하다"며 "임의로 작성되는 조서에 대해서는 형사소송법과 대검찰청·경찰청 인권 규칙에 비춰 적절한 수사 기법이 아닌 부당한 수사라고 말씀드릴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특검팀은 김 사령관을 상대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 목적으로 작년 10월쯤 드론사에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직접 지시했는지, 이를 은폐하기 위해 군이 조직적으로 개입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 중입니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해 10∼11월 윤 전 대통령이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를 건너뛰고 직접 드론사에 평양 무인기 투입 준비를 지시했다는 취지의 현역 장교 녹취록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당 녹취록에는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V(대통령을 의미)의 지시라고 했다", "국방부와 합참 모르게 해야 한다고 했다", "삐라(전단) 살포도 해야 하고, 불안감 조성을 위해 일부러 드론을 노출할 필요가 있었다"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후 드론사가 무인기 작전에 관여한 정보작전처장 등 25명을 국방부 장관과 합참의장, 합참 작전본부장 명의 표창 대상으로 추천했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특검팀은 드론사가 추락 가능성을 알면서도 고의로 전단통을 달아 개조한 무인기를 띄워 북한의 도발을 유도하려 했는지도 살펴보고 있습니다.
-
-
김세정 기자 mabelle@kbs.co.kr
김세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특검 수사’ 본격화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